효행과 수행의 사찰 용주사 소개 > 자유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참여마당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효행과 수행의 사찰 용주사 소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조항원 작성일2009.05.03 조회3,611회 댓글2건

첨부파일


본문

<html>

<head>
<meta http-equiv="content-type" content="text/html; charset=euc-kr">
<title> </title>
<meta name="generator" content="Namo WebEditor">
</head>

<body bgcolor="white" text="black" link="blue" vlink="purple" alink="red">

<A NAME="[문서의 처음]"></A>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left;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00";line-height:21.333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left;'><대불동 53명찰 3번째 대순례></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left;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00";line-height:21.333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left;'><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4.000pt;color:"#000000";text-align:center;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font color="red"><span style="font-family:바탕; font-size:16.8pt; color:black; letter-spacing:0px; text-align:center; line-height:29.867px;">효심과 수행이 간직된 사찰</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 color:black; text-align:center;">
</span></font></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00";text-align:center;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font color="red"><span style="font-family:바탕; font-size:14.4pt; color:black; letter-spacing:0px; text-align:center; line-height:25.6px;">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용주사 효찰 대본산</span></font><font color="red"><span style="font-family:바탕; color:black; text-align:center;"></span></font>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4.000pt;color:"#000000";text-align:center;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font color="red"><span style="font-family:바탕; font-size:16.8pt; color:black; letter-spacing:0px; text-align:center; line-height:29.867px;">화산 </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 font-size:20pt; color:black; letter-spacing:-1.333px; text-align:center; line-height:42.667px;">용주사</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 font-size:24pt; color:black; letter-spacing:0px; text-align:center; line-height:42.667px;">(龍珠寺)</span></font><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20.000pt;color:"#000000";font-weight:"bold";line-height:42.667px;letter-spacing:-1.333px;text-align:cente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center;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6.500pt;color:"#000000";font-weight:"bold";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center;'><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font-weight:"bold";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일시</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 : 대불동 2009년 5월 3일 오전 10시 방문</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font-weight:"bold";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장소</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 : 경기도 화성시 송산동 168  전화 031-234-0040</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font-weight:"bold";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교통</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 : 서울 지하철 → 병점역 하차(종로3가↔병점 75분) 버스 탑승(용주사행)</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52.000px;margin-left:72.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font-weight:"bold";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소개</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 : 이 절은 통일 신라 시기인 854년에 지어졌고, 원래 이름은 괄양사였다. 고려 때인 10세기에 확장되었다. 조선 때에 친아버지인 사도세자를 기리기 위해서 정조의 명으로 18세기에 다시 지어졌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52.000px;margin-left:72.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font-weight:"bold";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A HREF="http://yongjoosa.or.kr" TARGET="_self"><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font-weight:"bold";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홈피</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 : </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text-decoration:"underline";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http://yongjoosa.or.kr</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SPAN></A>  </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font-weight:"bold";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이메일</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 : <A HREF="mailto:yongjoosa@yongjoosa.or.kr"><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text-decoration:"underline";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yongjoosa@yongjoosa.or.kr</SPAN><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SPAN></A></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52.000px;margin-left:72.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2.000pt;color:"#0000ff";line-height:25.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본래 용주사는 신라 문성왕 16년(854년)에 창건된 갈양사로써 청정하고 이름 높은 도량이었으나 병자호란 때 소실된 후 폐사되었다가 조선시대 제22대 임금인 정조(正祖)가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화산으로 옮기면서 절을 다시 일으켜 원찰로 삼았습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28세의 젊은 나이에 부왕에 의해 뒤주에 갇힌 채 8일 만에 숨을 거둔 사도세자의 영혼이 구천을 맴도는 것 같아 괴로워하던 정조는 보경스님으로부터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설법을 듣게 되고 이에 크게 감동, 부친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절을 세울 것을 결심하면서 경기도 양주 배봉산에 있던 부친의 묘를 천하제일의 복지(福地)라 하는 이곳 화산으로 옮겨와 현릉원(뒤에 융릉으로 승격)이라 하고, 보경스님을
팔도도화주로 삼아 이곳에 절을 지어 현릉원의 능사(陵寺)로서 비명에 숨진 아버지 사도세자의 능을 수호하고 그의 명복을 빌게 하였습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불교가 정치적 사회적으로 억압을 당하고 있던 당시에 국가적 관심을 기울여 세웠다는 점에서 역사적인 큰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낙성식 날 저녁에 정조가 꿈을 꾸었는데 용이 여의주를 물고 승천했다 하여 절 이름을 용주사라 불렀고 그리하여 용주사는 효심의 본찰로서 불심과 효심이 한데 어우러지게 되었습니다. 전국 5규정소(糾正所 : 승려의 생활을 감독하는 곳) 중의 하나가 되어 승풍을 규정했으며,
팔로도승원(八路都僧院)을 두어 전국의 사찰을 통제했습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또한 일찍이 31본산의 하나였으며 현재는 수원, 용인, 안양 등 경기도 남부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80여개의 말사, 암자를 거느리고 있습니다. 현재 절의 신도는 약 7천여 세대에 달하며 정기, 비정기적으로 많은 법회가 이루어지고 또 법회를 통해 교화활동을 행하고 있습니다. 용주사는 이와 같은 수행자들이 모여 면벽참선하면서 진리를 찾고 한편으로는 다양한 대중포교 활동을 통해 부처님의 지혜를 전하며,
또한 정조의 뜻을 받들어 효행교육원을 설립, 운영을 통해 불자교육을 서원으로 일반인도 누구든지 쉽게 공감할 수 있는 효행교육으로 불교 신행관과 인성교육을 사회로 회향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SPAN><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A NAME="#40854ddd"></A></SPAN>
<TABLE border="1" width="100%" height="328.267px" cellspacing="0.000px" cellpadding="0.000px" style='border-collapse:collapse;border:none;'>
    <TR>
        <TD height="328.267px" width="100%" valign="middle" style='border-left-width:1.000px;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none;border-right-width:1.000px;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none;border-top-width:1.000px;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none;border-bottom-width:1.000px;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none;'>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center;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center;'><A NAME="#40854dde"></A><IMG src="C:\DOCUME~1\Owner\LOCALS~1\Temp\Hnc\BinData\EMB000007d8b099.jpg"  width=265px  height=235px border=0> </SPAN>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17.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용주사는 불교가 정치적&middot;사회적으로 억압을 당하고 있던 당시에 국가적 관심을 기울여 세웠다는 점에 역사적 의미를 갖습니다. 조선전기에는 고려의 전통을 이어, 왕이나 왕실의 무덤을 수호하고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한 사찰이 간혹 세워지기는 하였으나, 조선후기에 와서 사림세력이 부각되고 성리학이 성행하면서 왕실에서의 사찰건립이 쉽지 않았던 것입니다.</SPAN>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17.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용주사를 마지막으로 하여 조선왕조에서의 왕실의 원찰은 더 이상 세워지지 못했으며 이처럼 사회적 여건이 좋지 못하던 시대에 거대한 왕실의 원찰이 세워지게 되었던 연유는 정조의 지극한 효성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입니다.</SPAN>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17.6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이처럼 용주사는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을 수호하고 그의 명복을 비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능 중에 하나인 것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용주사는 창건이후 지금까지 가람의 구조가 크게 변모되지 않고, 창건당시의 상량문을 비롯하여 발원문등 용주사의 창건과 관련된 문헌 자료들이 많이 남아 있는 편입니다.</SPAN></TD>
    </TR>
</TABLE>
<SPAN></SPAN>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A NAME="#40854ddf"></A><IMG src="C:\DOCUME~1\Owner\LOCALS~1\Temp\Hnc\BinData\EMB000007d8b09a.gif"  width=340px  height=40px border=0></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align="center">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A NAME="#40854de0"></A><IMG src="C:\DOCUME~1\Owner\LOCALS~1\Temp\Hnc\BinData\EMB000007d8b09b.gif"  width=621px  height=231px border=0 align="absmiddle"></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left;line-height:16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align="center">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left;'><A NAME="#40854de1"></A><IMG src="C:\DOCUME~1\Owner\LOCALS~1\Temp\Hnc\BinData\EMB000007d8b093.gif"  width=612px  height=468px border=0></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이외에도 다수가 있으며, 이를 근거하여 용주사 가람 배치의 특징을 살펴보면, 창건당시 용주사의 건물구성은 대웅보전[法堂] 9칸, 선당(禪堂) 39칸, 승당(僧堂) 39칸, 천보루(天保樓)15칸, 칠성각(七星閣)6칸, 향로전(香爐殿) 12칸, 제각(祭閣) 6칸, 좌우종루(左右從樓) 4칸, 외삼문(外三門) 3칸, 좌우익랑(左右翼廊) 3칸, 동문(東門)9칸, 춘가(春家) 2칸, 우물 두 곳 등 도합 140여 칸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들
건물들은 현재에도 커다란 변화 없이 당시의 골격을 유지하고 있어 조선후기 능사로서의 면모를 잘 살펴볼 수 있습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지형은 비교적 평탄하지만 석축을 쌓아 네 개의 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외삼문이 있는 첫 번째 단, 천보루와 승당 선당이 있는 두 번째 단, 대웅보전이 있는 세 번째 단, 그리고 칠성각과 제각이 있는 네 번째 단입니다. 이처럼 네 단으로 나누어진 비교적 평탄한 지형에 남북의 직선축 위에 대웅보전과 천보루&middot;외삼문을 정연하게 두고, 대웅보전 앞 중정의 왼쪽과 오른쪽에 대칭으로 □모양의 승당과
선당을 천보루와 같은 단에 두고 있으며, 이 승당과 선당을 천보루와 행각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기하학적인 공간구성을 하고 있습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이와 같이 칠성각과 제각, 대웅보전, 승당과 선당, 천보루와 외삼문을 중심골격으로 하여 가람이 구성되었고, 각 전각의 내용에 따른 의미를 살펴본다면, 먼저 절이 중심이 되는 건물을 대웅보전으로 하고 거기에는 석가여래를 주존으로 하여 좌우에 아미타여래와 약사여래를 모셔놓았습니다. 대영웅 석가모니불과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아미타불, 그리고 무병장수를 발원하는 약사여래불을 모신 것은 당시의 보편적인
일이었기에 용주사가 능사이기는 하나 여타의 사찰과 특별히 다른 점은 없습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대웅보전은 전면 3칸, 측면 3칸이 18세기 전형적인 양식적 특징을 보이고 수미단의 화려한 장식, 본존불 상부의 용두 조각, 닫집 주변의 비천상 조각 등은 세련미와 장엄함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단부, 즉 기단과 초석은 장대석 기단에 방형과 원형이 이중초석으로 되어있어, 당시 일반사찰이 잡석 기단에 자연석 주초를 쓰고 있는 점과 크게 대조됩니다. 보통 장대석 기단과 이중초석은 관청건축에서도 비교적
격이 높은 건물에만 사용되었던 것입니다. 그밖에 기단 상면을 전돌로 깔았고, 지붕의 취두와 용두, 학과 용을 새긴 막새기와 등에서 관 건축의 특성을 강하게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건물은 사원 건축으로서의 일반적 보편성과 아울러 궁궐건축의 특수성도 함께 지니고 있습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대웅보전의 왼편에는 6칸의 칠성각과 12칸의 향로전이 있었고, 오른편에는 6칸의 제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칠성각은 시방칠등각으로 이름이 바뀌었고, 향로전은 언젠가 소실된 후 본래 12칸이던 건물 규모를 6칸으로 축소하여 봉향각으로 다시 세웠다가 1993년에는 천불전으로 고쳐 지어졌습니다. 향로전은 노전(爐殿)이라고도 하는 불전의 부속건물로 불전의 일상예불과 주요 불교신앙행사의 준비를 하는 곳이며,
이러한 일상예불은 노전스님이 담당합니다. 대웅보전 오른편에 제각은 사도세자의 위패를 모셨던 곳으로 추측되는 건물이나, 한국전쟁때 불타 없어졌고, 지금은 서고로 쓰이는 새로운 건물이 세워졌으며 호성전, 또는 축성전으로 불리우던 이 제각의 소실은 용주사의 창건의미를 감소시키는 결과를 가져왔는데, 다만 현재 대웅보전에 있는 목조감실이 위패를 모셔놓았던 것으로 생각되어 그 자취를 짐작할 수 있게 합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두 번째 단에는 천보루와 승당 및 선당이 위치하고 있으며, 천보루는 아래층을 모두 돌기둥으로 쓰고 있으며, 누각의 2층은 삼면을 난간으로 돌리고 4각으로 반듯하게 다듬은 장초석과 지붕위의 용두 등은 조선시대 사찰건축에서 보기 어려운 요소로 관 건축의 취향을 느낄 수 있으며 누각건물 자체는 일반사찰의 누각과 그 유형을 같이하여 사찰건축과 관 건축의 모습이 절충된 외관을 구성하고 있습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승당과 선당은 천보루의 좌우에 위치하여 대웅보전 앞 중정을 구획짓고 있으며, 천보루의 양옆에서 각각 통할 수 있는 행각과 문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이절의 중앙부에 □모양의 건축구조로 쌍둥이처럼 대칭을 이루어 지어진 두 건물은 각각 39칸이나 되고 있어서 용주사가 선종사찰로서 적지않은 승려가 이곳에 거주하였음을 알 수 있습니다. </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승당과 선당은 지금 나유타료와 만수리실로 불리웁니다.아랫단의 삼문은 좌우로 줄행랑이 달려 있어 일반사찰에서는 볼 수 없는 특이한 형태를취하고 있는데, 이는 육상궁과 같은 별묘(別廟)의 삼문형태입니다. 또한 용주사의 가람구조는 조선시대에 유사한 기능을 갖고 있던 능사로서 봉선사와 봉은사의 구조와 흡사한 부분이 많습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160%;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용주사는 불교가 정치적&middot;사회적으로 억압을 당하고 있던 당시에 국가적 관심을 기울여 세웠다는 점에 역사적 의미를 갖습니다. 조선전기에는 고려의 전통을 이어, 왕이나 왕실의 무덤을 수호하고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한 사찰이 간혹 세워지기는 하였으나, 조선후기에 와서 사림세력이 부각되고 성리학이 성행하면서 왕실에서의 사찰건립이 쉽지 않았던 것 입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160%;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용주사를 마지막으로 하여 조선왕조에서의 왕실의 원찰은 더 이상 세워지지 못했으며 이처럼 사회적 여건이 좋지 못하던 시대에 거대한 왕실의 원찰이 세워지게 되었던 연유는 정조의 지극한 효성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입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이처럼 용주사는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을 수호하고 그의 명복을 비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능 중에 하나인 것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용주사는 창건이후 지금까지 가람의 구조가 크게 변모되지 않고, 창건당시의 상량문을 비롯하여 발원문등 용주사의 창건과 관련된 문헌 자료들이 많이 남아 있는 편입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160%;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용주사는 불교가 정치적&middot;사회적으로 억압을 당하고 있던 당시에 국가적 관심을 기울여 세웠다는 점에 역사적 의미를 갖습니다. 조선전기에는 고려의 전통을 이어, 왕이나 왕실의 무덤을 수호하고 죽은 사람의 명복을 빌기 위한 사찰이 간혹 세워지기는 하였으나, 조선후기에 와서 사림세력이 부각되고 성리학이 성행하면서 왕실에서의 사찰건립이 쉽지 않았던 것입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용주사를 마지막으로 하여 조선왕조에서의 왕실의 원찰은 더 이상 세워지지 못했으며 이처럼 사회적 여건이 좋지 못하던 시대에 거대한 왕실의 원찰이 세워지게 되었던 연유는 정조의 지극한 효성이 뒷받침되었기 때문입니다. <BR>이처럼 용주사는 사도세자의 무덤인 현륭원을 수호하고 그의 명복을 비는 것이 가장 중요한 기능 중에 하나인 것입니다. 다행스럽게도 용주사는 창건이후 지금까지 가람의 구조가 크게
변모되지 않고, 창건당시의 상량문을 비롯하여 발원문등 용주사의 창건과 관련된 문헌 자료들이 많이 남아 있는 편입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A NAME="#40854de2"></A><IMG src="C:\DOCUME~1\Owner\LOCALS~1\Temp\Hnc\BinData\EMB000007d8b091.gif"  width=340px  height=40px border=0></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A NAME="#40854de3"></A><IMG src="C:\DOCUME~1\Owner\LOCALS~1\Temp\Hnc\BinData\EMB000007d8b092.gif"  width=587px  height=231px border=0></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이외에도 다수가 있으며, 이를 근거하여 용주사 가람 배치의 특징을 살펴보면, 창건당시 용주사의 건물구성은 대웅보전[法堂] 9칸, 선당(禪堂) 39칸, 승당(僧堂) 39칸, 천보루(天保樓)15칸, 칠성각(七星閣)6칸, 향로전(香爐殿) 12칸, 제각(祭閣) 6칸, 좌우종루(左右從樓) 4칸, 외삼문(外三門) 3칸, 좌우익랑(左右翼廊) 3칸, 동문(東門)9칸, 춘가(春家) 2칸, 우물 두 곳 등 도합 140여 칸으로 되어 있습니다. 이들
건물들은 현재에도 커다란 변화없이 당시의 골격을 유지하고 있어 조선후기 능사로서의 면모를 잘 살펴볼 수 있습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지형은 비교적 평탄하지만 석축을 쌓아 네 개의 단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외삼문이 있는 첫 번째 단, 천보루와 승당 선당이 있는 두 번째 단, 대웅보전이 있는 세 번째 단, 그리고 칠성각과 제각이 있는 네 번째 단입니다. 이처럼 네 단으로 나누어진 비교적 평탄한 지형에 남북의 직선축 위에 대웅보전과 천보루&middot;외삼문을 정연하게 두고, 대웅보전 앞 중정의 왼쪽과 오른쪽에 대칭으로 □모양의 승당과
선당을 천보루와 같은 단에 두고 있으며, 이 승당과 선당을 천보루와 행각으로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기하학적인 공간구성을 하고 있습니다.</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SPAN>
</P>
<P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60%;text-indent:2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바탕";font-size:11.000pt;color:"#000000";line-height:23.467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A NAME="#40854de4"></A></SPAN>
<TABLE border="1" width="100%" height="871.747px" cellspacing="0.000px" cellpadding="0.000px" style='border-collapse:collapse;border:none;'>
    <TR>
        <TD height="301.333px" width="100%" valign="middle" style='border-left-width:1.000px;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none;border-right-width:1.000px;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none;border-top-width:1.000px;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none;border-bottom-width:1.000px;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none;'>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A NAME="#40854de5"></A><IMG src="C:\DOCUME~1\Owner\LOCALS~1\Temp\Hnc\BinData\EMB000007d8b094.gif"  width=338px  height=292px border=0>용주사를 관장했던 주요인물은 크게 두 분류로 나눌 수 있습니다. <BR><BR>첫째는 용주사에 머물면서 수행에 전념하였던 스님와 용주사의 사상적 전통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했던 스님들로서 이들은 용주사가 사찰로 존재할 수 있게 하였던 가장 중요한 인물들입니다.
<BR><BR>둘째는 용주사의 물질적 기반이 되어주었던 단월세력(檀越勢力)을 들 수가 있는데 이들은 용주사가 창건되고 또 운영되는 과정에서 많은 물질적&middot;행정적 도움을 주었던 인물들입니다. 어느 사찰을 막론하고 그 사찰이 존재하면서 사격(寺格)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와같은 두 부류의 인물이 상호역할을 해왔으며 용주사 또한 이런 주요인물들을 소개하고자 합니다.</SPAN></TD>
    </TR>
    <TR>
        <TD height="40.000px" width="100%" valign="middle" style='border-left-width:1.000px;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none;border-right-width:1.000px;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none;border-top-width:1.000px;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none;border-bottom-width:1.000px;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none;'>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A NAME="#40854de6"></A><IMG src="C:\DOCUME~1\Owner\LOCALS~1\Temp\Hnc\BinData\EMB000007d8b095.gif"  width=340px  height=40px border=0></SPAN></TD>
    </TR>
    <TR>
        <TD height="248.000px" width="100%" valign="middle" style='border-left-width:1.000px;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none;border-right-width:1.000px;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none;border-top-width:1.000px;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none;border-bottom-width:1.000px;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none;'>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두 스님은 용주사 창건을 주도하였던 대표적 인물로 용주사 창건을 위해 조직된 물교계에서 각각 8도도화주(八道都化主)와 부화주(副化主)를 맡으면서 실질적인 창건주로써의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이들에 대한 임명이라든가 창건 공사의 총 지휘는 정조의 권한이었겠지만 용주사 창건에 있어서의 역할은 대단히 컸던 것이 분명합니다. 특히 보경당 사일은 정조의 불심을 일으키게 하였던 장본인으로
여러 정황에 의한다면 정조와의 돈독했던 관계를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하지만 아쉽게도 두 분에 관한 자료는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상태로 장흥군(長興郡) 가지산(迦智山) 보림사(寶林寺) 출신이란 단편적인 내용이《조선불교통사》에 실려 있을 뿐이고, 용주사 창건 뒤 바로(1790년 10월) 왕으로부터 팔로도승통(八路都僧統)과 용주사도총섭(龍主寺都摠攝)의 승직을 명받는다는 <교지(敎旨)> 내용 이외에 다른 행적을 알 길이 없습니다. </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철학의 경우는 더욱 심해서 용주사 창건 때의 팔도부화주와 경기&middot;전라 양도의 도화주 책임을 맡고 있었다는 행적이 전부입니다. 다만 앞서 소개한 바 있는 <대사주진신안>이라는 자료의 서문을 지은 등운(等雲)이 그의 글 속에서 철학을 자신으 스승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볼 때, 철학에서 등운으로 이루어지는 사제관계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SPAN></TD>
    </TR>
    <TR>
        <TD height="40.000px" width="100%" valign="middle" style='border-left-width:1.000px;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none;border-right-width:1.000px;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none;border-top-width:1.000px;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none;border-bottom-width:1.000px;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none;'>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A NAME="#40854de7"></A><IMG src="C:\DOCUME~1\Owner\LOCALS~1\Temp\Hnc\BinData\EMB000007d8b096.gif"  width=340px  height=40px border=0></SPAN></TD>
    </TR>
    <TR>
        <TD height="421.080px" width="100%" valign="middle" style='border-left-width:1.000px;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none;border-right-width:1.000px;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none;border-top-width:1.000px;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none;border-bottom-width:1.000px;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none;'>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인악대사(仁嶽大師, 1746~1796)는 용주사 창건때 정조의 명으로 <용주사불복장봉안문(龍珠寺佛腹藏奉安文)>이라는 글을 써주면서 이곳과 인연을 맺었습니다. 그는 당시 불교계에서 명망을 얻고 있던 고승이었으며 이로 인해 정조의 특별한 부탁을 받기까지 했으며 1797년(정조21) 제자 성안(聖岸)이 편집 간행한《인악집(仁嶽集)》은 그의 시문(詩文)을 수록한 책인데, 여기에는 <용주사불복장봉안문>외에
<경찬소(慶讚蔬)>&middot;<용주사제신장문(龍珠寺祭神將文)> 등 모두 세 편의 용주사 관련기록이 실려 있습니다.인악스님의 속성(俗姓)은 이(李)씨로 법명은 의첨(義沾)으로 1746년(영조 22) 경불 달성의 인흥촌(仁興村)에서 출생하였습니다.</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스님은 8세때 향학(鄕學)에 들어 갔는데, 《소학(小學)》을 세 번 읽고 모두 외우는 등의 뛰어난 자질을 보임으로써 인근 마을에까지 신동(神童)으로 소문이 났다고 합니다. 또한 15세때에도 《시경》&middot;《서경》&middot;《역경》을 모두 읽고 글도 잘 지음으로써 주변으로부터 더욱 총망을 받았습니다. </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그러던 가운데 18세가 되어 용연사(龍淵寺)에서 공부를 하다가 문득 깨달은 바가 있어 출가를 결심하고 벽봉화상(碧峰和尙)에게 나아가 구족계를 받았습니다. 이후 스님은 뛰어난 수행력과 정진을 바탕으로 당대 고승들을 찾아다니며 많은 가르침을 얻었습니다. 특히 당시 화엄학의 종사(宗師)이던 설파(雪坡)는 스님을 '당금(唐今)의 동량이료, 후세의 규구(規矩)'라고 칭찬하며, 잡화엄(雜華嚴)을 비롯해 선송(禪頌)등을
가르쳤습니다.</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스님은 비슬산&middot;팔공산&middot;황악산&middot;계룡산&middot;불영산 등지를 유력하면서 수행과 설법을 거듭하다가 동화사(桐華寺)에 오랫동안 머무르며 후학 양성에 전념했습니다. 1790년(정조 14) 정조가 부친의 원당으로 수원의 용주사를 지으며 당시의 명승으로 이일을 주관하게 하였는데, 이때 스님도 선출되어 세 종의 재문을 지었으며 정조가 그 내용을 보고 경탄해마지 않았다고 합니다. 1760년 (정조
20) 비슬산 명적암(明寂庵)에서 향년 51세, 법랍 34세로 입적한 비는 지금 동화사에 세워져 있습니다. <BR>저서로는 《인악집》 《화엄사기(華嚴私記)》《금강사기(金剛私記)》《기신론사기(起信論私記)》등이 있습니다.<BR></SPAN></TD>
    </TR>
    <TR>
        <TD height="40.000px" width="100%" valign="middle" style='border-left-width:1.000px;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none;border-right-width:1.000px;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none;border-top-width:1.000px;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none;border-bottom-width:1.000px;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none;'>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A NAME="#40854de8"></A><IMG src="C:\DOCUME~1\Owner\LOCALS~1\Temp\Hnc\BinData\EMB000007d8b097.gif"  width=340px  height=40px border=0></SPAN></TD>
    </TR>
    <TR>
        <TD height="530.667px" width="100%" valign="middle" style='border-left-width:1.000px;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none;border-right-width:1.000px;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none;border-top-width:1.000px;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none;border-bottom-width:1.000px;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none;'>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강대련(姜大蓮, 1875~1942)스님은 용주사 뿐 아니라 한국 근세 불교사에서도 큰 오점을 남긴 인물로 평가됩니다. <BR>호는 금허(錦虛), 대련(大蓮)이고 첫 법명은 보영(寶英), 속성은 강(姜)씨로 경남 진주 출신으로 14세때 부친이 죽자 금강산 장안사에서 부친을 천도하고 진허(震虛)스님에게 출가하였습니다. 1901년 순헌비(淳獻妃, 고종의 계비)로부터 만금(萬金)을 받아 해은암(海恩庵) 자렝 해광전(海光殿)
등을 신축하였습니다.</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1906년에도 다시 순헌비에게서 6천원을 하사받아 해인사 대장경판 정장(釘裝)을 보수하고 불경 1,400권을 간행하여 금강산 정양사(正陽寺)에 봉안하면서 빠진 책을 보충하게 하였으며, 1911년 용주사의 주지로 부임했으며, 1914년 11월25일에는 각황사(覺皇寺)에서 <불교진흥회>를 설립하였고, 이 모임은 해인사 주지 회광(晦光)&middot;법주사 주지 진하(震河)등 수십 인이 발기인으로 참석하였는데, 회광이
그 대표자였고 대련은 부회주를 맡았고, 또한 용주사 주지를 계속 맡고있던 그는 1915년 조선사찰 30본산 연합사무소를 각황사에 두고 그 위원장을 맡기도 하였습니다. </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그가 참여했던 이들 두 단체는 대표적 친일불교 단체로 평가됩니다.1919년 10월 사이토 총독에게 제출한 <조선불교기관 확장 의견서>라는 일종의 건의서는 그의 불교관이 어느 정도였는가를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자료입니다.</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일본의 조선통치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로 협력할 수 있는 길이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스님으로서는 이를테면 일본 스님과 우리 나라 양반 자제들과의 결혼같은 것을 적극 주선해 본다면 어떠하겠는가. 그리고 거꾸로 우리나라 스님과 일본귀족들과의 통혼을 주선해 본다면 이건 또 어떠할 것인가. 참으로 경악을 금치 못할 망설입니다. <BR>더욱이 이 내용이 3&middot;1운동의 기운이 채 가라
앉지도 않은 1919년 10월에 쓰여진 글이라고 생각하면 형언하기조차 어렵습니다. 결국 그의 이러한 친일 행각은 불문(佛門)으로부터 영원히 추방당하는 결과를 가져왔습니다.</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1922년 3월 각황사에서 열린 「불교유신회」모임에서 김상호(金尙昊)등 청년스님 100여명이 대련의 친일 행각을 성토한 후, 그의 등에 북을 지우고 '불교계대악마강대련 명고축출(佛敎界大惡魔姜大蓮 鳴鼓逐出)'이라고 쓴 장대를 들고 북을 두드리며 종로거리를 행진한 이른바 '명고사건'이 발생한 것입니다. 그는 이 사건이후로도 총독부의 웅호를 계속 받으면서 입적할 때까지 일정한 형태의 권한을 계속 지닐
수 있었지만, 역사속에서 그의 과오는 절대 지울 수 없을 것입니다.이러한 행각으로 인해 용주사라든가 기타 사찰에 대한 그의 순수 불교활동도 부정적 평가를 받을 수 밖에 없음은 물론입니다.<BR></SPAN></TD>
    </TR>
    <TR>
        <TD height="40.000px" width="100%" valign="middle" style='border-left-width:1.000px;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none;border-right-width:1.000px;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none;border-top-width:1.000px;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none;border-bottom-width:1.000px;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none;'>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0.000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A NAME="#40854de9"></A><IMG src="C:\DOCUME~1\Owner\LOCALS~1\Temp\Hnc\BinData\EMB000007d8b098.gif"  width=340px  height=40px border=0></SPAN></TD>
    </TR>
    <TR>
        <TD height="943.747px" width="100%" valign="middle" style='border-left-width:1.000px; border-left-color:#000000; border-left-style:none;border-right-width:1.000px; border-right-color:#000000; border-right-style:none;border-top-width:1.000px; border-top-color:#000000; border-top-style:none;border-bottom-width:1.000px; border-bottom-color:#000000; border-bottom-style:none;'>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BR><A NAME="#40854dea"></A><IMG src="C:\DOCUME~1\Owner\LOCALS~1\Temp\Hnc\BinData\EMB000007d8b09c.jpg"  width=248px  height=335px border=0>전강대종사(1898~1975)는 현대 한국의 대표적 고승이자 용주사의 정신적 지주이기도 합니다. 입적했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용주사 대중들에게 크게 추앙받고 있는 것을 보면 그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인가를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먼저 스님의 행장을
간략하게 살펴보기로 하겠습니다.</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스님의 속성은 정(鄭)씨이며 전남 곡성출신으로 부친은 해룡(海龍), 모친은 황계수(黃桂秀)로 1914년 해인사에서 인공화상(印空和尙)을 득도사(得度師)로, 제산화상(霽山和尙)을 은사로, 응해화상(應海和尙)을 계사(戒師)로 출가하였으며 영신(永信)이라는 법명을 받았습니다. 1918년 해인사 강원에서 대교과(大敎科)를 수료한 뒤, 도반의 죽음을 보고 무상함을 느껴 김천 직지사(直指寺) 천불선원(千佛禪院)으로
들어가 제산화상의 가르침을 받으며 불철주야 정진하고, 이후 예산 보덕사(報德寺), 정혜사(定慧寺) 등에서도 수행에 전념하였습니다.</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이 기간 동안의 수행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여 덩어리 같은 피가 코와 입으로 흘러 나오거나 머리가 터져 삭발조차 할 수 없었다고 하며, 특히 100일 동안 자지않고 수행한 일화는 유명합니다.스님은 23세가 되던 1921년 드디어 크게 깨달은 후 오도송(悟道頌)을 남겼으며, 이후 당대의 선백들을 찾아가 인가(印可)를 받았는데, 1923년 금강산 지장암의 한암(漢巖)스님을 찾아가자 한암스님이 믇기를 &quot;육조스님께서
본래무일물(本來無一物)이라 일렀지만, 나는 본래무일불이라 하여도 인가를 못하겠으니 그대는 어떻게 하여 인가를 받겠는가?&quot; 하였습니다. </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그러자 스님은 손뼉을 세 번 치고 물러나왔다는 일화가 전해집니다. 계속해서 용성(龍城)&middot;혜월(慧月)스님으로부터 인가를 받은 스님은 만공(滿空)스님을 찾아갔다가 더욱 큰 깨달음을 얻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스님은 처음에 만공스님으로부터 인가를 받지 못했다가 재발심을 하고 다시 정진하였으며, 마침내는 전법게(傳法偈)를 전수받으면서 선종 제 77대의 법맥을 계승하게 됩니다. 이후 33세때인
1931년 통도사 보광선원(普光禪院)의 조실(祖室)을 시작으로, 1934년 법주사 복천선원(福泉禪院), 1936년 김천 수도선원(修道禪院), 1948년 광주 자운사(紫雲寺)등 전국 유명선원의 조실을 두루 역임하였습니다.또한 1955년부터 해남 대흥사(大興寺) 주지, 담양 보광사(普光寺) 조실, 인천 보각사(普覺寺) 조실을 역임하였고 1959년 구례 화엄사 주지, 1960년 망월사(望月寺) 조실을 차례로 지냈으며, 스님은 이후 1961년 인천 용화사(龍華寺)에 법보선원(法寶禪院)을 개설하여 15여년에 걸쳐 후학 지도에 전념하였습니다.</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이러한 스님의 선풍은 제자 송담(松潭)스님이 용주사에서 오늘날까지 계승하고 있기도 합니다.1962년 대구 동화사 조실, 1967년 천축사(天竺寺) 무문관(無門關) 조실 및 조계종 장로원 장로를 역임하였으며, 1969년 용주사에 중앙선원을 설립하고 용주사 선풍 진작에 크게 공헌 하였습니다. 끝으로 1974년 지리산 정각사(正覺寺) 조실을 역임한 스님은 1975년 1월13일 앉은 채로 입적에 들었습니다. 스님은 특히
수행자들을 위한 수많은 설법 테이프를 남겨 놓았으며, 《전강법어집이 제자들에게 의해 출판됨으로써 그의 사상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전강스님 오도송(悟道頌) </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昨夜月滿樓(작야월만루) 어젯밤 달빛이 누각에 가득하더니 <BR>窓外蘆花秋(창외노화추) 창 밖엔 갈대꽃 가을이로구나. <BR>佛祖喪身命(불조상신명) 부처와 조사도 몸과 목숨을 잃었는데 <BR>流水過橋來(류수과교래) 흐르는 물은 다리를 지나오는 구나. </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만공스님 전법게(傳法偈) </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示 田岡永信(시 전강영신) </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佛祖未曾傳(불조미증전) 부처와 조사도 일찍이 전하지 못하였고 <BR>我亦無所得(아역무소득) 나 또한 얻은 바 없다네. <BR>此日秋色暮(차일추색모) 오늘 가을 빛 저물어 가니 <BR>猿嘯在後峯(원소재후봉) 원숭이 휘파람은 뒷산 봉우리에 있구나. </SPAN>
            <P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text-align:justify;line-height:120%;text-indent:0.000px;margin-left:0.000px;margin-right:0.000px;margin-top:0.000px;margin-bottom:5.333px;'>
<SPAN STYLE='font-family:"굴림";font-size:10.000pt;color:"#000000";line-height:16.000px;letter-spacing:0.000px;text-align:justify;'>鏡虛門人 滿空(경허문인 만공)</SPAN></TD>
    </TR>
</TABLE>
<SPAN></SPAN>

<p> </p>
</body>

</html>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용주사에 관한 자세한 자료 감사드립니다.
용주사는 융건릉과 함께 세계적인 문화유적지로 손색이 없는데
높이 올라가는 고층아파트가 앞으로 흉물 스럽겠네요.
걱정입니다.
다시 회복하기는 시간과 경제적인 손실이 어머어마 할텐데.....

이지복님의 댓글

이지복 작성일


'명고사건'이라는 내용은 처음 들었습니다.
불교계의 자정능력이 이처럼 크다는데
새삼 놀라고 더욱 몸을 추스리게 합니다.

엊그제 우연히 삼선개헌 관련하여
공화당 전 의원들이 모여
18시간에 걸친 대 토론회가 있었다는 기사를
읽었습니다.
이만섭의원은 당시 비서실장 이후락과
중앙정보부장을 당장 사퇴하라고 하였다고 합니다.

결국은 불교를 믿고 있는 모든 불자들이
책임을 안고 있는 것이지
일부에게 책임을 돌릴 수는 없음을
다시 한 번 더 인식하였습니다.

내 생애 하나라도 이웃을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다면
태어난 보람이 있겠지요.

조항원선배님
자세하고도 흐름을 읽게하시는
내용 정말 감사합니다.

 


CONTACT US

  •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총동문회
  • ADDRESS.(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013호
  • TEL.02-720-1963
  • FAX.02-722-5963
  • Email.daebul333@naver.com
Copyright ⓒ 2011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