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머물기 (11) 천도법회와 범패 > 자유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참여마당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절에 머물기 (11) 천도법회와 범패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제철 작성일2009.06.18 조회3,319회 댓글4건

첨부파일


본문

<P>
<TABLE style="WIDTH: 749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104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49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dadada 0px solid; BORDER-TOP: #dadada 0px solid; BORDER-LEFT: #dadada 0px solid; BORDER-BOTTOM: #dadada 0px solid" width="100%"><SPAN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color=#000000><SPAN lang=EN-US><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SPAN lang=EN-US></SPAN></SPAN>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헌공법회가 불법승 삼보를 찬탄하고 초청하여 공양을 올리는 의식이라면<SPAN lang=EN-US>, </SPAN>천도법회는 영가<SPAN lang=EN-US>(</SPAN>靈駕<SPAN lang=EN-US>), </SPAN>즉 죽은 사람의 영혼을 초청하여 공양하고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는 의식이다<SPAN lang=EN-US>. </SPAN>천도법회<SPAN lang=EN-US>, </SPAN>곧 천도재<SPAN lang=EN-US>(</SPAN>薦度齋<SPAN lang=EN-US>)</SPAN>에는 특정한 사람이 죽은 후 일정한 시기에 행하는 재와<SPAN lang=EN-US>, </SPAN>모든 영가들을 위한 재가 있다<SPAN lang=EN-US>.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일정한 시기에 지내는 재의 대표적인 것으로<SPAN lang=EN-US> 49</SPAN>재가 있다<SPAN lang=EN-US>. 49</SPAN>재는 사람이 죽으면 명부<SPAN lang=EN-US>(</SPAN>冥府<SPAN lang=EN-US>)</SPAN>에 들어가 시왕<SPAN lang=EN-US>(</SPAN>十王<SPAN lang=EN-US>)</SPAN>에게 심판을 받는다는 신앙에 기초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명부란 이승과 저승의 중간지점으로<SPAN lang=EN-US>, </SPAN>진광<SPAN lang=EN-US>(</SPAN>秦廣<SPAN lang=EN-US>)</SPAN>대왕<SPAN lang=EN-US>, </SPAN>초강<SPAN lang=EN-US>(</SPAN>初江<SPAN lang=EN-US>)</SPAN>대왕 … 등<SPAN lang=EN-US> 10</SPAN>명의 대왕이 다스리며<SPAN lang=EN-US>, </SPAN>사람이 죽어 명부에 오면<SPAN lang=EN-US> 7</SPAN>일에 한번씩 각 대왕이 차례로 심판하여 지옥이나 극락으로 보낸다<SPAN lang=EN-US>. </SPAN>따라서 유족들은<SPAN lang=EN-US> 7</SPAN>일마다 재<SPAN lang=EN-US>(</SPAN>齋<SPAN lang=EN-US>, </SPAN>유교에서는 제사<SPAN lang=EN-US>)</SPAN>를 지내는데<SPAN lang=EN-US>, </SPAN>시왕 중 영향력이 가장 큰 염라<SPAN lang=EN-US>(</SPAN>閻羅<SPAN lang=EN-US>)</SPAN>대왕이<SPAN lang=EN-US> 7</SPAN>번째<SPAN lang=EN-US> 7</SPAN>일인<SPAN lang=EN-US> 49</SPAN>일에 심판하므로<SPAN lang=EN-US> 49</SPAN>재를 크게 지내는 것이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천도법회는 부처님의 제자 목련존자가 아귀도에 빠진 어머니를 구제하기 위해 부처님께 간청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SPAN lang=EN-US>. </SPAN>목련존자의 효심에 감동한 부처님은<SPAN lang=EN-US> 4</SPAN>번의 천도재를 베풀게 하면서<SPAN lang=EN-US>, </SPAN>마지막 재를 통해 그의 어머니가 천상에 태어나게 하셨다<SPAN lang=EN-US>. </SPAN>마지막 천도재는 하안거<SPAN lang=EN-US>(</SPAN>夏安居<SPAN lang=EN-US>)</SPAN>가 해제되는<SPAN lang=EN-US> 7</SPAN>월 보름에 올렸는데<SPAN lang=EN-US>, </SPAN>이를 본받아 해마다<SPAN lang=EN-US> 7</SPAN>월 보름에는 천도재를 지내는 풍속이 생겨났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그날을 우란분절<SPAN lang=EN-US>(</SPAN>盂蘭盆節<SPAN lang=EN-US>), </SPAN>그날 지내는 재를 우란분재<SPAN lang=EN-US>(</SPAN>盂蘭盆齋<SPAN lang=EN-US>)</SPAN>라 하였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일정한 시기에 지내는 재는<SPAN lang=EN-US> 49</SPAN>재와 우란분재 외에도 매달 음력<SPAN lang=EN-US> 24</SPAN>일<SPAN lang=EN-US>(</SPAN>지장재일<SPAN lang=EN-US>) </SPAN>지장보살님께 조상 천도를 비는 지장재<SPAN lang=EN-US>(</SPAN>地藏齋<SPAN lang=EN-US>)</SPAN>가 있다<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정해진 시기가 없이 수시로 지내는 재<SPAN lang=EN-US>(</SPAN>齋<SPAN lang=EN-US>)</SPAN>도 다양하다<SPAN lang=EN-US>. 49</SPAN>재를 지내드리지 못했거나<SPAN lang=EN-US>, 49</SPAN>재를 지냈더라도 천도가 되지 못한 조상의 영가를 위해 하루 만에 천도재를 지내는 단재<SPAN lang=EN-US>(</SPAN>短齋<SPAN lang=EN-US>)</SPAN>가 있고<SPAN lang=EN-US>, </SPAN>친가와 외가 쪽의 모든 영가를 위해 지내드리는 조상<SPAN lang=EN-US>(</SPAN>祖上<SPAN lang=EN-US>) </SPAN>천도재<SPAN lang=EN-US>, </SPAN>물과 육지에서 죽어 헤매는 모든 영가를 천도하기 위한 수륙재<SPAN lang=EN-US>(</SPAN>水陸齋<SPAN lang=EN-US>), </SPAN>유산<SPAN lang=EN-US>(</SPAN>流産<SPAN lang=EN-US>)</SPAN>으로 죽은 태아의 영가를 위한 태장<SPAN lang=EN-US>(</SPAN>胎葬<SPAN lang=EN-US>)</SPAN>영가 천도재<SPAN lang=EN-US>, </SPAN>몸에 붙은 착신영혼<SPAN lang=EN-US>(</SPAN>귀신<SPAN lang=EN-US>)</SPAN>으로 인해 원인 없이 병을 앓고 있는 사람을 구하기 위한 구병시식<SPAN lang=EN-US>(</SPAN>救病施食<SPAN lang=EN-US>) </SPAN>등이 있다<SPAN lang=EN-US>. </SPAN>또 살아있는 사람이 지금까지의 업장을 소멸시키고 내생에 극락왕생하기를 기원하는 생전예수재<SPAN lang=EN-US>(</SPAN>豫修齋<SPAN lang=EN-US>)</SPAN>가 있다<SPAN lang=EN-US>. </SPAN>예수재는 음력 윤달에 지낸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천도재에서는 시식<SPAN lang=EN-US>(</SPAN>施食<SPAN lang=EN-US>)</SPAN>이라는 천도의식이 행해진다<SPAN lang=EN-US>. </SPAN>시식은 대중공양과 함께 영가에게 법문과 독경<SPAN lang=EN-US>, </SPAN>염불을 들려줌으로써 영가를 천도하여 불법의 무상보리를 깨닫도록 하는 의식이다<SPAN lang=EN-US>. </SPAN>다만<SPAN lang=EN-US>, </SPAN>이 시식은 반드시 불보살님에 대한 헌공의식<SPAN lang=EN-US>(</SPAN>불공<SPAN lang=EN-US>)</SPAN>을 끝낸 후에 하며<SPAN lang=EN-US>, </SPAN>절에 중요한 법회가 있는 때에는 그 법회가 끝난 후 행한다<SPAN lang=EN-US>. </SPAN>따라서 천도재는 일반적인 헌공의식에 시식절차를 덧붙인 것으로 보면 된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시식은 스님의 법력에 의지하기 때문에 특별히 많은 스님을 모시는 경우가 많고<SPAN lang=EN-US>, </SPAN>법력이 높은 스님이나 범패<SPAN lang=EN-US>(</SPAN>梵唄<SPAN lang=EN-US>)</SPAN>를 전문으로 하는 스님<SPAN lang=EN-US>(</SPAN>범패승<SPAN lang=EN-US>)</SPAN>이 집전하도록 하기도 한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범패는 절에서 재를 지낼 때 부르는 노래로서<SPAN lang=EN-US>, </SPAN>불교 이전에 인도의 브라만 신앙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SPAN lang=EN-US>. </SPAN>우리나라에는 신라 진감대사<SPAN lang=EN-US>(</SPAN>眞鑑大師<SPAN lang=EN-US>)</SPAN>가 당나라에서 배워온 후 불가에 널리 보급되었고<SPAN lang=EN-US>, </SPAN>후에는 가곡<SPAN lang=EN-US>(</SPAN>歌曲<SPAN lang=EN-US>), </SPAN>판소리와 함께 한국의<SPAN lang=EN-US> 3</SPAN>대 성악곡으로까지 발전하였다<SPAN lang=EN-US>. (</SPAN>여기서 가곡은 국악 관현합주에 맞추어 부르는 시조시<SPAN lang=EN-US>[</SPAN>時調詩<SPAN lang=EN-US>] </SPAN>노래를 말한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SPAN lang=EN-US> 1910</SPAN>년 한일합방 이후 일제<SPAN lang=EN-US>(</SPAN>日帝<SPAN lang=EN-US>)</SPAN>가 범패와 작법<SPAN lang=EN-US>(</SPAN>作法<SPAN lang=EN-US>, </SPAN>춤동작<SPAN lang=EN-US>)</SPAN>을 금지시켜 지금은 불과 몇 분의 스님에 의해 명맥이 유지되고 있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49</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재를 범패승이 집전할 경우<SPAN lang=EN-US>, </SPAN>그 의식은 규모나 절차에 따라 상주권공재<SPAN lang=EN-US>(</SPAN>常住勸供齋<SPAN lang=EN-US>), </SPAN>시왕각배재<SPAN lang=EN-US>(</SPAN>十王各拜齋<SPAN lang=EN-US>), </SPAN>영산재<SPAN lang=EN-US>(</SPAN>靈山齋<SPAN lang=EN-US>)</SPAN>로 구분한다<SPAN lang=EN-US>. </SPAN>상주권공재는 가장 기본적인 의식으로 대한 대개 하루가 소요된다<SPAN lang=EN-US>. </SPAN>시왕각배재는 상주권공재의 기본의식에 시왕신앙을 강조한 의식으로 보통<SPAN lang=EN-US> 2</SPAN>일이 걸리고<SPAN lang=EN-US>, <A name=id5></A><A href="http://100.nate.com/dicsearch/pentry.html?i=171687"><SPAN lang=EN-US style="COLOR: windowtext; LINE-HEIGHT: 140%; mso-bidi-font-size: 11.0pt; mso-ansi-font-size: 11.0pt"><SPAN lang=EN-US><FONT face=Verdana>영산재</FONT></SPAN></SPAN></A></SPAN>는 법화<SPAN lang=EN-US>(</SPAN>法華<SPAN lang=EN-US>)</SPAN>신앙을 중심으로 의식의 규모를 크게 확장시킨 것으로<SPAN lang=EN-US> 3</SPAN>일이 걸린다<SPAN lang=EN-US>. </SPAN>영산재는 짓소리 등 전문적인 범패소리와 바라춤이나 나비춤 등 각종 의식무용을 포함하고 있어서 중요한 민족문화유산이며<SPAN lang=EN-US>, </SPAN>중요무형문화재<SPAN lang=EN-US>(</SPAN>제<SPAN lang=EN-US>50</SPAN>호<SPAN lang=EN-US>)</SPAN>로 지정되어 있기도 하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우리나라 영산재 의식은 태고종 총본산인 봉원사<SPAN lang=EN-US>(</SPAN>奉元寺<SPAN lang=EN-US>)</SPAN>에서 잘 계승하여 봉행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위 사진은 봉원사 영산재의 한 장면이다<SPAN lang=EN-US>.</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SPAN lang=EN-US></SPAN></SPAN> </P><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 lang=EN-US><STRONG><FONT color=#112a75><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Batang"><SPAN style="FONT-SIZE: 11pt">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8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 align=center><STRONG><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112a75; LINE-HEIGHT: 140%; FONT-FAMILY: 바탕; mso-bidi-font-family: 굴림">                ♬ 범패 천수바라<SPAN lang=EN-US>(</SPAN>千手哱囉<SPAN lang=EN-US>, </SPAN>신묘장구대다라니를 가사로 함<SPAN lang=EN-US>)</SPAN></SPAN></STRONG><STRONG><SPAN lang=EN-US style="COLOR: #112a75; FONT-FAMILY: 바탕; mso-bidi-font-family: 굴림"><o:p></o:p></SPAN></STRONG></P></SPAN></SPAN></SPAN></FONT></STRONG></SPAN></SPAN></SPAN></FONT></SPAN></TD></TR></TBODY>
<P></P></TABLE>
<P> 
<CENTER><embed src="http://cfs11.planet.daum.net/upload_control/pcp_download.php?fhandle=Mzg1V29AZnMxMS5wbGFuZXQuZGF1bS5uZXQ6LzEwODM4NDQ4LzEvMTYxLndtYQ==&amp;filename=161.wma" width="300" height="41" hidden="true" volume="0" loop="TRUE" autostart="true"></CENTER>
<P> </P>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너무나 사랑했던 언니를
먼저 떠나보내면서
참으로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다가올 미래만큼 살아온 과거도 중요함을
느꼈고 좋은 환경에 태어나는 것 만큼
많은 공덕 쌓아 행복하게 돌아 가야 함도
피부로 느꼈습니다.
친정어머니께서 슬픔을 누르시고
투병생활 중 예수제, 구병시식,대중공양을
많이하셨고 49제, 첫 제사 때 천도제,매년 백중
때는 빠지지 않고 기도를 올립니다.
주위의 모든 사람들이
"살았을 때 그렇게 베풀기만 하더니
죽어서도 제일 행복한 사람이다.
하늘 나라에서 인재가 필요했나보다"
죽기전
"지금 죽어도 난 원도 한도 없다. 어느 누가 이만한 사랑 받을까? 참 고맙다."
죽음이 슬프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어머니께서 연로 하신데
이 후로 남은 우리들은 누가
그렇게 잘 보내줄까?
걱정됩니다.

smallpond님의 댓글

smallpond 작성일


목련존자의 어머니를 위한 마음,
이에 감동한 부처님의 마음.

누군가를 보내고 난 뒤의
그 절절한 마음을
이렇게라도 달랠 수 있으니 얼마나 좋을까.

부처님께서 베풀어주신
천도재의 내용은 어떠했나요?

윤제철님의 댓글

윤제철 작성일

간결하게 쓰느라고 내용이 좀 달라져습니다.
좀 풀어서 말하자면 - 목련존자의 어머니는 그 동안 대지옥에 있었는데 부처님의 신통력으로 먼저 흑암지옥으로 나왔답니다. 거기서 부처님은 목련존자로 하여금 모든 보살을 모셔놓고 대승경전을 읽게 하여 어머니가 아귀 몸을 받게 하였답니다. 목련존자는 계속해서 부처님에게 어머니가 아귀 몸도 벗어나게 해달라고 간청하므로, 부처님은 다시 목련존자로 하여금 49등을 켜고 방생을 많이 하게하여 암캐의 몸으로 태어나게 하셨습니다.
또 어머니가 암캐의 몸도 벗어나게 하기 위하여 목련존자로 하여금 안거가 끝나는 7월 15일에 시방(十方)의 대덕 스님들을 모셔다 좋은 음식과 5가지 과일, 향촉과 의복으로 공양을 하도록 하셨습니다. 그렇게 하여 어머니가 개의 몸을 벗어나자 부처님 앞에 나아가 오백계(五百戒)를 받도록 하여 도리천에 태어나도록 하였답니다.

smallpond님의 댓글

smallpond 작성일


윤제철 선배님!
감사합니다.

힘을 주시는군요.

 


CONTACT US

  •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총동문회
  • ADDRESS.(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013호
  • TEL.02-720-1963
  • FAX.02-722-5963
  • Email.daebul333@naver.com
Copyright ⓒ 2011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