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머물기 (14) 봉축법요식, 점안식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제철 작성일2009.07.30 조회3,142회 댓글2건본문
<P>
<TABLE style="WIDTH: 765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125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65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dadada 0px solid; BORDER-TOP: #dadada 0px solid; BORDER-LEFT: #dadada 0px solid; BORDER-BOTTOM: #dadada 0px solid" width="100%"><SPAN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color=#000000><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8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봉축법요식<SPAN>(</SPAN>奉祝法要式<SPAN>)</SPAN></SPAN></B></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음력<SPAN> 4</SPAN>월 <SPAN>8</SPAN>일은 부처님 오신날로서<SPAN>, </SPAN>전국 사찰에서 축하 법요식<SPAN>(</SPAN>법회<SPAN>)</SPAN>을 봉행한다<SPAN>. </SPAN>법요식은 <?xml:namespace prefix = st1 /><st1:time Minute="0" Hour="10" o:ls="trans" w:st="on">오전<SPAN> 10</SPAN>시</st1:time>에 전국 사찰에서 <SPAN>28</SPAN>번의 타종과 함께 일제히 시작되는데<SPAN>, </SPAN>관불<SPAN>(</SPAN>灌佛<SPAN>)</SPAN>을 비롯한 예경의식과 헌공의식 및 큰스님 법문 등이 행해진다<SPAN>. </SPAN>관불은 청정한 감로수로 아기 부처님을 씻겨 드리는 의식으로<SPAN>, </SPAN>부처님 탄생시 용왕이 공중에서 향수를 솟아나게 하여 몸을 닦아 드린 데서 비롯된 것이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이날 조계종 총무원에서는 조계사에서 법요식을 봉행한다<SPAN>. </SPAN>이 자리에는 불교계 사부대중은 물론<SPAN>, </SPAN>천주교<SPAN>, </SPAN>개신교<SPAN>, </SPAN>원불교<SPAN>, </SPAN>천도교 등 타종교 인사와 정부인사<SPAN>, </SPAN>주한 외교사절 등 축하객들이 참석한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법회는 먼저 명고<SPAN>(</SPAN>鳴鼓<SPAN>)/</SPAN>명종<SPAN>(</SPAN>鳴鍾<SPAN>), </SPAN>도량결계<SPAN>(</SPAN>道場結界<SPAN>), </SPAN>육법<SPAN>(</SPAN>六法<SPAN>)</SPAN>공양 등 식전의식이 행해지고<SPAN>, </SPAN>이어 종정스님과 총무원장스님 등이 등단한 후 본<SPAN>(</SPAN>本<SPAN>)</SPAN>의식이 진행된다<SPAN>. </SPAN>도량결계란 동남동녀<SPAN>(</SPAN>童男童女<SPAN>)</SPAN>들이 도량에 향수를 뿌리고 솔가지로 깨끗이 청소하며 꽃을 뿌리는 의식을 말한다<SPAN>. </SPAN>육법<SPAN>(</SPAN>六法<SPAN>)</SPAN>공양이란 향·등·꽃·과일·차·쌀 등 여섯 가지 중요한 공양물을 올리는 의식을 말한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본의식은 삼귀의<SPAN>, </SPAN>반야심경<SPAN>, </SPAN>관불<SPAN>(</SPAN>灌佛 또는 浴佛<SPAN>) </SPAN>및 마정수기<SPAN>(</SPAN>摩頂授記<SPAN>), </SPAN>헌화<SPAN>, </SPAN>찬불가<SPAN>, </SPAN>헌촉<SPAN>, </SPAN>헌등<SPAN>, </SPAN>헌다<SPAN>, </SPAN>축원 등의 예경 및 헌공의식과 불자대상 시상<SPAN>(</SPAN>施賞<SPAN>), </SPAN>봉축사<SPAN>, </SPAN>대통령 봉축 메시지<SPAN>, </SPAN>종정스님 법어<SPAN>, </SPAN>남북공동 발원문<SPAN>, </SPAN>발원문<SPAN>, </SPAN>봉축가<SPAN>, </SPAN>헌화 등 봉축의식이 진행되고<SPAN>, </SPAN>끝으로 사홍서원을 부르고 폐회한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마정수기는 큰 스님이 어린 동자의 이마를 어루만져 주는 의식으로서<SPAN>, </SPAN>부처님이 당시 보살들의 이마를 만져 주시면서 미래에 반드시 부처가 될 것이라고 예언해 주신 것을 재현하는 것이다<SPAN>. </SPAN>헌화는 내빈 대표가 하며<SPAN>, </SPAN>헌촉<SPAN>, </SPAN>헌등<SPAN>, </SPAN>헌다는 신도 대표<SPAN>, </SPAN>축원은 조계사 주지스님<SPAN>, </SPAN>봉축사는 총무원장 스님<SPAN>, </SPAN>남북공동 발원문과 발원문은 중앙종회 회장과 중앙신도회장이 각각 봉행한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8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점안식<SPAN>(</SPAN>點眼式<SPAN>)</SPAN></SPAN></B></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모든 불상<SPAN>(</SPAN>佛像<SPAN>)</SPAN>이나 불화<SPAN>(</SPAN>佛畵<SPAN>), </SPAN>탑 등이 처음 만들어질 때에는 평범한 작품에 불과하다<SPAN>. </SPAN>이들 법구<SPAN>(</SPAN>法具<SPAN>)</SPAN>가 신앙의 대상이 되도록 불보살님의 위신<SPAN>(</SPAN>威神<SPAN>)</SPAN>과 영성<SPAN>(</SPAN>靈性<SPAN>)</SPAN>을 불어 넣는 의식을 점안식이라 한다<SPAN>. </SPAN>불상 점안이 대표적이지만 나한<SPAN>(</SPAN>羅漢<SPAN>), </SPAN>천왕<SPAN>(</SPAN>天王<SPAN>), </SPAN>불탑<SPAN>(</SPAN>佛塔<SPAN>), </SPAN>불화<SPAN>(</SPAN>佛畵<SPAN>), </SPAN>가사<SPAN>(</SPAN>袈裟<SPAN>)</SPAN>에도 점안을 하며<SPAN>, </SPAN>대상에 따라 의식 내용이 조금씩 달라진다<SPAN>.</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불상 점안식에서는 먼저 팔부신중을 청하여 도량을 옹호하게 하고<SPAN>, </SPAN>시방의 불보살님께 오늘의 불상<SPAN>(</SPAN>또는 탱화<SPAN>)</SPAN>가 조성되기까지의 내력을 설명한다<SPAN>. </SPAN>이어 도량을 청정히 하고 여러 부처님을 청하여 오늘 이 도량에서 점안을 거행함을 아뢰고 증명해 주실 것을 간절히 청한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그 다음<SPAN>, </SPAN>새로 모시는 불상이 육안<SPAN>, </SPAN>천안<SPAN>, </SPAN>혜안<SPAN>, </SPAN>법안<SPAN>, </SPAN>불안<SPAN>, </SPAN>십안<SPAN>, </SPAN>무진안을 원만히 성취하도록 빌고 권공<SPAN>(</SPAN>勸供<SPAN>) </SPAN>예배한 후<SPAN>, </SPAN>오색실을 사용하여 부처님의 천안통과 천이통<SPAN>, </SPAN>타심통<SPAN>, </SPAN>신족통<SPAN>, </SPAN>숙명통<SPAN>, </SPAN>누진통<SPAN>, </SPAN>신통력<SPAN>, </SPAN>용맹력<SPAN>, </SPAN>자비력<SPAN>, </SPAN>여래력이 청정하게 성취되기를 기원한 뒤 불상의 눈을 붓으로 그려 넣는다<SPAN>. </SPAN>이 때 개안광명진언<SPAN>(</SPAN>開眼光明眞言<SPAN>), </SPAN>안불안진언<SPAN>(</SPAN>安佛眼眞言<SPAN>), </SPAN>관욕진언<SPAN>(</SPAN>灌浴眞言<SPAN>), </SPAN>시수진언<SPAN>(</SPAN>施水眞言<SPAN>, </SPAN>안상진언<SPAN>(</SPAN>安相眞言<SPAN>) </SPAN>등으로 새 불상이 부처님 힘을 얻게 한다<SPAN>. (위 사진)</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봉불식<SPAN>(</SPAN>奉佛式<SPAN>)</SPAN>은 불상을 새로 모셨을 때 행하는 의식으로 불상점안의식과 비슷한 의미이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탑을 새로 조성할 때는 조탑<SPAN>(</SPAN>造塔<SPAN>) </SPAN>점안을 한다<SPAN>. </SPAN>점안의식은 불상점안과 같으나<SPAN>, </SPAN>유치<SPAN>(</SPAN>由致, 부처님을 청하는 사유를 아룀<SPAN>) </SPAN>의식에서 오색사리를 칠보함에 넣어 몇 층 무슨 탑 속에 넣으니 삼신<SPAN>(</SPAN>三身<SPAN>) </SPAN>사지<SPAN>(</SPAN>四智<SPAN>)</SPAN>와 오안<SPAN>(</SPAN>五眼<SPAN>) </SPAN>십호<SPAN>(</SPAN>十號<SPAN>)</SPAN>를 구족하여 시방 삼보같이 영험 있는 탑이 되기를 빈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스님들이 걸치는 가사<SPAN>(</SPAN>袈裟<SPAN>) </SPAN>역시 점안절차를 거쳐야만 비로소 권위를 얻게 된다<SPAN>. </SPAN>가사점안 절차도 다른 점안식과 같이 먼저 팔부신중을 청하여 의식을 옹호해 주기를 기원하고<SPAN>, 가사를 상단 부처님 전에 올린(이운, 移運) 후 </SPAN>법신∙보신∙응신 삼신불을 청해 모신다(거불, 擧佛). 이어 보소청진언<SPAN>(</SPAN>普召請眞言</SPAN><SPAN style="COLOR: black; LINE-HEIGHT: 140%"><FONT face=바탕 size=2>, </FONT></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부처님을 청하는 진언<SPAN>)</SPAN>을 하고, 유치와 청사(請詞<SPAN>)</SPAN>를 한다<SPAN>. </SPAN>유치에서는 발원자에게는 천 가지 재해가 소멸하고<SPAN>, </SPAN><st1:PersonName w:st="on">조성자</st1:PersonName>에게는 백가지 복이 일어난다고 찬탄하고, 청사에서는 불보살님들께 이 점안을 증명해 주실 것을 청한다<SPAN>. </SPAN>이어 헌좌게<SPAN>, </SPAN>다게<SPAN>, </SPAN>진언권공을 한 다음 가사정대게<SPAN>(</SPAN>袈裟頂戴偈<SPAN>)</SPAN>를 하고 가사를 받는다<SPAN>.</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SPAN></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style="FONT-FAMILY: Batang"><FONT color=#112a75><STRONG>♬ 국악 명상음악 "휴식"</STRONG></FONT></SPAN></SPAN></SPAN></SPAN></SPAN></FONT></SPAN></P></TD></TR></TBODY></TABLE>
<CENTER><EMBED src=http://pds30.cafe.daum.net/download.php?grpid=MuKD&fldid=8fhP&dataid=1148&fileid=1&regdt=20060225190546&disk=3&grpcode=ok002dncnt=N.MP3 width=300 height=41 hidden=true type=application/octet-stream autostart="true" loop="TRUE" volume="0"></CENTER>
<P> </P>
<TABLE style="WIDTH: 765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125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65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dadada 0px solid; BORDER-TOP: #dadada 0px solid; BORDER-LEFT: #dadada 0px solid; BORDER-BOTTOM: #dadada 0px solid" width="100%"><SPAN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color=#000000><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8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봉축법요식<SPAN>(</SPAN>奉祝法要式<SPAN>)</SPAN></SPAN></B></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음력<SPAN> 4</SPAN>월 <SPAN>8</SPAN>일은 부처님 오신날로서<SPAN>, </SPAN>전국 사찰에서 축하 법요식<SPAN>(</SPAN>법회<SPAN>)</SPAN>을 봉행한다<SPAN>. </SPAN>법요식은 <?xml:namespace prefix = st1 /><st1:time Minute="0" Hour="10" o:ls="trans" w:st="on">오전<SPAN> 10</SPAN>시</st1:time>에 전국 사찰에서 <SPAN>28</SPAN>번의 타종과 함께 일제히 시작되는데<SPAN>, </SPAN>관불<SPAN>(</SPAN>灌佛<SPAN>)</SPAN>을 비롯한 예경의식과 헌공의식 및 큰스님 법문 등이 행해진다<SPAN>. </SPAN>관불은 청정한 감로수로 아기 부처님을 씻겨 드리는 의식으로<SPAN>, </SPAN>부처님 탄생시 용왕이 공중에서 향수를 솟아나게 하여 몸을 닦아 드린 데서 비롯된 것이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이날 조계종 총무원에서는 조계사에서 법요식을 봉행한다<SPAN>. </SPAN>이 자리에는 불교계 사부대중은 물론<SPAN>, </SPAN>천주교<SPAN>, </SPAN>개신교<SPAN>, </SPAN>원불교<SPAN>, </SPAN>천도교 등 타종교 인사와 정부인사<SPAN>, </SPAN>주한 외교사절 등 축하객들이 참석한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법회는 먼저 명고<SPAN>(</SPAN>鳴鼓<SPAN>)/</SPAN>명종<SPAN>(</SPAN>鳴鍾<SPAN>), </SPAN>도량결계<SPAN>(</SPAN>道場結界<SPAN>), </SPAN>육법<SPAN>(</SPAN>六法<SPAN>)</SPAN>공양 등 식전의식이 행해지고<SPAN>, </SPAN>이어 종정스님과 총무원장스님 등이 등단한 후 본<SPAN>(</SPAN>本<SPAN>)</SPAN>의식이 진행된다<SPAN>. </SPAN>도량결계란 동남동녀<SPAN>(</SPAN>童男童女<SPAN>)</SPAN>들이 도량에 향수를 뿌리고 솔가지로 깨끗이 청소하며 꽃을 뿌리는 의식을 말한다<SPAN>. </SPAN>육법<SPAN>(</SPAN>六法<SPAN>)</SPAN>공양이란 향·등·꽃·과일·차·쌀 등 여섯 가지 중요한 공양물을 올리는 의식을 말한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본의식은 삼귀의<SPAN>, </SPAN>반야심경<SPAN>, </SPAN>관불<SPAN>(</SPAN>灌佛 또는 浴佛<SPAN>) </SPAN>및 마정수기<SPAN>(</SPAN>摩頂授記<SPAN>), </SPAN>헌화<SPAN>, </SPAN>찬불가<SPAN>, </SPAN>헌촉<SPAN>, </SPAN>헌등<SPAN>, </SPAN>헌다<SPAN>, </SPAN>축원 등의 예경 및 헌공의식과 불자대상 시상<SPAN>(</SPAN>施賞<SPAN>), </SPAN>봉축사<SPAN>, </SPAN>대통령 봉축 메시지<SPAN>, </SPAN>종정스님 법어<SPAN>, </SPAN>남북공동 발원문<SPAN>, </SPAN>발원문<SPAN>, </SPAN>봉축가<SPAN>, </SPAN>헌화 등 봉축의식이 진행되고<SPAN>, </SPAN>끝으로 사홍서원을 부르고 폐회한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마정수기는 큰 스님이 어린 동자의 이마를 어루만져 주는 의식으로서<SPAN>, </SPAN>부처님이 당시 보살들의 이마를 만져 주시면서 미래에 반드시 부처가 될 것이라고 예언해 주신 것을 재현하는 것이다<SPAN>. </SPAN>헌화는 내빈 대표가 하며<SPAN>, </SPAN>헌촉<SPAN>, </SPAN>헌등<SPAN>, </SPAN>헌다는 신도 대표<SPAN>, </SPAN>축원은 조계사 주지스님<SPAN>, </SPAN>봉축사는 총무원장 스님<SPAN>, </SPAN>남북공동 발원문과 발원문은 중앙종회 회장과 중앙신도회장이 각각 봉행한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8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점안식<SPAN>(</SPAN>點眼式<SPAN>)</SPAN></SPAN></B></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모든 불상<SPAN>(</SPAN>佛像<SPAN>)</SPAN>이나 불화<SPAN>(</SPAN>佛畵<SPAN>), </SPAN>탑 등이 처음 만들어질 때에는 평범한 작품에 불과하다<SPAN>. </SPAN>이들 법구<SPAN>(</SPAN>法具<SPAN>)</SPAN>가 신앙의 대상이 되도록 불보살님의 위신<SPAN>(</SPAN>威神<SPAN>)</SPAN>과 영성<SPAN>(</SPAN>靈性<SPAN>)</SPAN>을 불어 넣는 의식을 점안식이라 한다<SPAN>. </SPAN>불상 점안이 대표적이지만 나한<SPAN>(</SPAN>羅漢<SPAN>), </SPAN>천왕<SPAN>(</SPAN>天王<SPAN>), </SPAN>불탑<SPAN>(</SPAN>佛塔<SPAN>), </SPAN>불화<SPAN>(</SPAN>佛畵<SPAN>), </SPAN>가사<SPAN>(</SPAN>袈裟<SPAN>)</SPAN>에도 점안을 하며<SPAN>, </SPAN>대상에 따라 의식 내용이 조금씩 달라진다<SPAN>.</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불상 점안식에서는 먼저 팔부신중을 청하여 도량을 옹호하게 하고<SPAN>, </SPAN>시방의 불보살님께 오늘의 불상<SPAN>(</SPAN>또는 탱화<SPAN>)</SPAN>가 조성되기까지의 내력을 설명한다<SPAN>. </SPAN>이어 도량을 청정히 하고 여러 부처님을 청하여 오늘 이 도량에서 점안을 거행함을 아뢰고 증명해 주실 것을 간절히 청한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그 다음<SPAN>, </SPAN>새로 모시는 불상이 육안<SPAN>, </SPAN>천안<SPAN>, </SPAN>혜안<SPAN>, </SPAN>법안<SPAN>, </SPAN>불안<SPAN>, </SPAN>십안<SPAN>, </SPAN>무진안을 원만히 성취하도록 빌고 권공<SPAN>(</SPAN>勸供<SPAN>) </SPAN>예배한 후<SPAN>, </SPAN>오색실을 사용하여 부처님의 천안통과 천이통<SPAN>, </SPAN>타심통<SPAN>, </SPAN>신족통<SPAN>, </SPAN>숙명통<SPAN>, </SPAN>누진통<SPAN>, </SPAN>신통력<SPAN>, </SPAN>용맹력<SPAN>, </SPAN>자비력<SPAN>, </SPAN>여래력이 청정하게 성취되기를 기원한 뒤 불상의 눈을 붓으로 그려 넣는다<SPAN>. </SPAN>이 때 개안광명진언<SPAN>(</SPAN>開眼光明眞言<SPAN>), </SPAN>안불안진언<SPAN>(</SPAN>安佛眼眞言<SPAN>), </SPAN>관욕진언<SPAN>(</SPAN>灌浴眞言<SPAN>), </SPAN>시수진언<SPAN>(</SPAN>施水眞言<SPAN>, </SPAN>안상진언<SPAN>(</SPAN>安相眞言<SPAN>) </SPAN>등으로 새 불상이 부처님 힘을 얻게 한다<SPAN>. (위 사진)</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봉불식<SPAN>(</SPAN>奉佛式<SPAN>)</SPAN>은 불상을 새로 모셨을 때 행하는 의식으로 불상점안의식과 비슷한 의미이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탑을 새로 조성할 때는 조탑<SPAN>(</SPAN>造塔<SPAN>) </SPAN>점안을 한다<SPAN>. </SPAN>점안의식은 불상점안과 같으나<SPAN>, </SPAN>유치<SPAN>(</SPAN>由致, 부처님을 청하는 사유를 아룀<SPAN>) </SPAN>의식에서 오색사리를 칠보함에 넣어 몇 층 무슨 탑 속에 넣으니 삼신<SPAN>(</SPAN>三身<SPAN>) </SPAN>사지<SPAN>(</SPAN>四智<SPAN>)</SPAN>와 오안<SPAN>(</SPAN>五眼<SPAN>) </SPAN>십호<SPAN>(</SPAN>十號<SPAN>)</SPAN>를 구족하여 시방 삼보같이 영험 있는 탑이 되기를 빈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스님들이 걸치는 가사<SPAN>(</SPAN>袈裟<SPAN>) </SPAN>역시 점안절차를 거쳐야만 비로소 권위를 얻게 된다<SPAN>. </SPAN>가사점안 절차도 다른 점안식과 같이 먼저 팔부신중을 청하여 의식을 옹호해 주기를 기원하고<SPAN>, 가사를 상단 부처님 전에 올린(이운, 移運) 후 </SPAN>법신∙보신∙응신 삼신불을 청해 모신다(거불, 擧佛). 이어 보소청진언<SPAN>(</SPAN>普召請眞言</SPAN><SPAN style="COLOR: black; LINE-HEIGHT: 140%"><FONT face=바탕 size=2>, </FONT></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부처님을 청하는 진언<SPAN>)</SPAN>을 하고, 유치와 청사(請詞<SPAN>)</SPAN>를 한다<SPAN>. </SPAN>유치에서는 발원자에게는 천 가지 재해가 소멸하고<SPAN>, </SPAN><st1:PersonName w:st="on">조성자</st1:PersonName>에게는 백가지 복이 일어난다고 찬탄하고, 청사에서는 불보살님들께 이 점안을 증명해 주실 것을 청한다<SPAN>. </SPAN>이어 헌좌게<SPAN>, </SPAN>다게<SPAN>, </SPAN>진언권공을 한 다음 가사정대게<SPAN>(</SPAN>袈裟頂戴偈<SPAN>)</SPAN>를 하고 가사를 받는다<SPAN>.</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SPAN></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style="FONT-FAMILY: Batang"><FONT color=#112a75><STRONG>♬ 국악 명상음악 "휴식"</STRONG></FONT></SPAN></SPAN></SPAN></SPAN></SPAN></FONT></SPAN></P></TD></TR></TBODY></TABLE>
<CENTER><EMBED src=http://pds30.cafe.daum.net/download.php?grpid=MuKD&fldid=8fhP&dataid=1148&fileid=1&regdt=20060225190546&disk=3&grpcode=ok002dncnt=N.MP3 width=300 height=41 hidden=true type=application/octet-stream autostart="true" loop="TRUE" volume="0"></CENTER>
<P> </P>
댓글목록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선배님! 우리 법당에는 어떤 불보살님이 오실까요?
유명한 한국화가 전시회 때 본 100호짜리 연꽃 그림이
너무 마음에 들어 내 마음에서 떠나지 않습니다.
1000만원을 호가하는 그림이라 돈 주고 살 수는 없지만
기도로 원력으로 물감값 정도로 살 수 있기를 바라며
우리법당에 탱화라도 모신 후로 미루었습니다.
불보실님 모시는 일은 우리 후배들은 감히 못나섭니다.
석굴암 부처님을 유화로 준비하고 싶다는 동문께
조금만 기다려 달라고 했습니다.
선배님!
대불련 일은 내 생애를 바쳐 일할 만한
가치있는 곳입니다.
윤제철님의 댓글
윤제철 작성일강손주 동문의 염원이 꼭 이루어지기를 함께 기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