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머물기 (10) 헌공법회(불공) > 자유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참여마당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절에 머물기 (10) 헌공법회(불공)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제철 작성일2009.06.14 조회3,209회 댓글2건

본문

<P>
<TABLE style="WIDTH: 749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269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49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dadada 0px solid; BORDER-TOP: #dadada 0px solid; BORDER-LEFT: #dadada 0px solid; BORDER-BOTTOM: #dadada 0px solid" width="100%"><SPAN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헌공<SPAN lang=EN-US>(</SPAN>獻供<SPAN lang=EN-US>)</SPAN>이란 부처님께 공양을 올린다는 뜻으로<SPAN lang=EN-US>, </SPAN>불공<SPAN lang=EN-US>(</SPAN>佛供<SPAN lang=EN-US>)</SPAN>이라 하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헌공법회의 대표적인 것이 사시마지이며<SPAN lang=EN-US>, </SPAN>절에서의 각종 법회도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사시마지 때 헌공의식과 함께 행한다<SPAN lang=EN-US>. </SPAN>법문을 위주로 하는 설법법회나 관음지장재일 등 재일<SPAN lang=EN-US>(</SPAN>齋日<SPAN lang=EN-US>)</SPAN>법회<SPAN lang=EN-US>, 49</SPAN>재를 비롯한 천도법회 역시 부처님 전에 헌공의식을 한 후 진행한다<SPAN lang=EN-US>.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0.5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para-margin-left: .05gd; mso-para-margin-top: 8.4pt; mso-para-margin-right: 0cm; mso-para-margin-bottom: .0001pt;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공양<SPAN lang=EN-US>(</SPAN>供養<SPAN lang=EN-US>)</SPAN>이라면 절에서 먹는 음식만을 생각하기 쉬우나<SPAN lang=EN-US>, </SPAN>실제로는 부처님과 사내<SPAN lang=EN-US>(</SPAN>寺內<SPAN lang=EN-US>) </SPAN>대중에게 올리는 모든 물건을 말한다<SPAN lang=EN-US>. </SPAN>부처님 전에 가장 많이 올리는<SPAN lang=EN-US> 6</SPAN>가지 물건을 육법공양<SPAN lang=EN-US>(</SPAN>六法供養<SPAN lang=EN-US>)</SPAN>이라 하는데<SPAN lang=EN-US>, </SPAN>이는 향<SPAN lang=EN-US>(</SPAN>香<SPAN lang=EN-US>), </SPAN>등불<SPAN lang=EN-US>(</SPAN>주로 양초<SPAN lang=EN-US>), </SPAN>꽃<SPAN lang=EN-US>, </SPAN>과일<SPAN lang=EN-US>, </SPAN>차<SPAN lang=EN-US>(</SPAN>茶<SPAN lang=EN-US>), </SPAN>음식을 말한다<SPAN lang=EN-US>. </SPAN>이 육법공양 외에 의복공양<SPAN lang=EN-US>, </SPAN>음악공양도 하고<SPAN lang=EN-US>, </SPAN>경전을 인쇄하여 대중에게 나눠 드리는 법공양도 한다<SPAN lang=EN-US>. </SPAN>실제로는 음식이나 물건 대신 공양금을 내는 경우가 많다<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0.5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para-margin-left: .05gd; mso-para-margin-top: 8.4pt; mso-para-margin-right: 0cm; mso-para-margin-bottom: .0001pt;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공양물을 올릴 때는 반드시 두 손으로 들어 가슴 높이보다 위로 올려서 드린다<SPAN lang=EN-US>. </SPAN>꽃을 올릴 때는 꽃을 받쳐들기 위해 허리를 굽혀서는 안되며<SPAN lang=EN-US>, </SPAN>우슬착지의 자세로 들어 바른 자세로 헌화한다<SPAN lang=EN-US>. </SPAN>마지<SPAN lang=EN-US>(</SPAN>밥<SPAN lang=EN-US>)</SPAN>을 올릴 때에는 오른손으로 마지 그릇 밑부분을 붙잡고 왼손으로 오른손 손목을 받쳐 잡은 자세로 옮긴다<SPAN lang=EN-US>. </SPAN>마지를 잡은 오른손은 어깨 위에 오도록 한다<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0.5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para-margin-left: .05gd; mso-para-margin-top: 8.4pt; mso-para-margin-right: 0cm; mso-para-margin-bottom: .0001pt;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헌공의식은 곧 사시마지와 같아서 반드시 귀의<SPAN lang=EN-US>, </SPAN>예경<SPAN lang=EN-US>, </SPAN>찬탄<SPAN lang=EN-US>, </SPAN>참회<SPAN lang=EN-US>, </SPAN>염불<SPAN lang=EN-US>, </SPAN>축원<SPAN lang=EN-US>, </SPAN>수행의 의식이 수반된다<SPAN lang=EN-US>. </SPAN>이 의식의 개략적인 것은<SPAN lang=EN-US> "절에 머물기 (8)</SPAN>예불"의 사시마지에서 소개한 바 있으나 좀더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SPAN lang=EN-US>. <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먼저 귀의와 예경의 순서로 <SPAN lang=EN-US>“</SPAN>천지에 두루 계신 삼보전에 예배한다<SPAN lang=EN-US>”</SPAN>는 내용의 보례게<SPAN lang=EN-US>(</SPAN>普禮偈<SPAN lang=EN-US>)</SPAN>에 이어 보례진언 <SPAN lang=EN-US>“</SPAN>옴 바아라 믹<SPAN lang=EN-US>”</SPAN>을 세 번 외운다<SPAN lang=EN-US>. </SPAN>다음에는 천수경을 봉독하는데 이는 자신을 맑게하고 도량 주변의 신들을 안정시키며, 신묘장구대다라니를 염송하여 관세음보살님을 찬탄하고<SPAN lang=EN-US>, </SPAN>참회와 발원을 하는 의식이다<SPAN lang=EN-US>. </SPAN>헌공의식으로 천수경을 읽을 때는 끝에 정삼업진언<SPAN lang=EN-US>, </SPAN>개단진언<SPAN lang=EN-US>, </SPAN>건단진언<SPAN lang=EN-US>, </SPAN>정법계진언을 외워 법단<SPAN lang=EN-US>(</SPAN>法壇<SPAN lang=EN-US>)</SPAN>을 열고 법의 자리를 마련한다<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천수경봉독 후에는 부처님을 초청하는 순서가 되는데 거불<SPAN lang=EN-US>(</SPAN>擧佛<SPAN lang=EN-US>), </SPAN>보소청<SPAN lang=EN-US>(</SPAN>普召請<SPAN lang=EN-US>)</SPAN>진언<SPAN lang=EN-US>, </SPAN>유치<SPAN lang=EN-US>(</SPAN>由致<SPAN lang=EN-US>), </SPAN>청사<SPAN lang=EN-US>(</SPAN>請辭<SPAN lang=EN-US>)</SPAN>가 이에 해당한다<SPAN lang=EN-US>. </SPAN>거불은 <SPAN lang=EN-US>“</SPAN>삼보께서 빛이 되어 이 자리에 임하소서<SPAN lang=EN-US>”</SPAN>하는 요청이며<SPAN lang=EN-US>, </SPAN>보소청진언은 이를 위한 진언이다<SPAN lang=EN-US>. </SPAN>유치와 청사는 삼보님께서 이 도량에 오셔서 공양을 받으실 것을 청하는 의식이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부처님을 청한 후에는 부처님을 찬탄하는 가영<SPAN lang=EN-US>(</SPAN>歌詠<SPAN lang=EN-US>), </SPAN>보리좌에 앉으실 것을 권하는 헌좌<SPAN lang=EN-US>(</SPAN>獻座<SPAN lang=EN-US>)</SPAN>진언을 하고<SPAN lang=EN-US>, </SPAN>권공<SPAN lang=EN-US>(</SPAN>勸供<SPAN lang=EN-US>)</SPAN>의식을 진행한다<SPAN lang=EN-US>. </SPAN>권공의식은 먼저 정법계진언을<SPAN lang=EN-US> 7</SPAN>번 외운 후<SPAN lang=EN-US>, “</SPAN>공양시방조어사<SPAN lang=EN-US>(</SPAN>供養十方調御士<SPAN lang=EN-US>)…” </SPAN>로 시작되는 공양게를 낭송하며 부처님께<SPAN lang=EN-US> 3</SPAN>배를 올린다<SPAN lang=EN-US>. </SPAN>이어 진언가지<SPAN lang=EN-US>(</SPAN>眞言加持<SPAN lang=EN-US>)</SPAN>를 행하는데 진언가지란 오늘 공양이 정성스럽고 원만하여 삼보님의 위신력이 베풀어지기를 염원하는 진언들을 외우는 것이다<SPAN lang=EN-US>. </SPAN>진언은 변식<SPAN lang=EN-US>(</SPAN>變食<SPAN lang=EN-US>)</SPAN>진언<SPAN lang=EN-US>, </SPAN>감로수진언<SPAN lang=EN-US>, </SPAN>일자수륜관<SPAN lang=EN-US>(</SPAN>一字水輪觀<SPAN lang=EN-US>)</SPAN>진언<SPAN lang=EN-US>, </SPAN>유해<SPAN lang=EN-US>(</SPAN>乳海<SPAN lang=EN-US>)</SPAN>진언<SPAN lang=EN-US>, </SPAN>운심<SPAN lang=EN-US>(</SPAN>運心<SPAN lang=EN-US>)</SPAN>공양진언의<SPAN lang=EN-US> 5</SPAN>가지이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헌공의식을 주관하는 법주스님이 진언가지를 행하는 동안 바라지스님은 예참<SPAN lang=EN-US>(</SPAN>禮懺<SPAN lang=EN-US>)</SPAN>을 진행한다<SPAN lang=EN-US>. </SPAN>예참문이 예불문과 비슷하다는 것은 앞서 말한 바와 같다<SPAN lang=EN-US>. </SPAN>예참 후에는 <SPAN lang=EN-US>4</SPAN>대 진언<SPAN lang=EN-US>, </SPAN>즉<SPAN lang=EN-US>, </SPAN>보공양<SPAN lang=EN-US>(</SPAN>普供養<SPAN lang=EN-US>)</SPAN>진언<SPAN lang=EN-US>, </SPAN>보궐<SPAN lang=EN-US>(</SPAN>補闕<SPAN lang=EN-US>)</SPAN>진언<SPAN lang=EN-US>, </SPAN>원성취<SPAN lang=EN-US>(</SPAN>願成就<SPAN lang=EN-US>)</SPAN>진언<SPAN lang=EN-US>, </SPAN>보회향<SPAN lang=EN-US>(</SPAN>普廻向<SPAN lang=EN-US>)</SPAN>진언을 세 번씩 외운 후 탄백<SPAN lang=EN-US>(</SPAN>嘆白<SPAN lang=EN-US>)</SPAN>을 낭송한다<SPAN lang=EN-US>. </SPAN>탄백이란 부처님의 위신력을 우러러 찬탄하는 게송으로 여러 가지가 있으나 <SPAN lang=EN-US>“</SPAN>찰진심념가수지<SPAN lang=EN-US>(</SPAN>刹塵心念可數知<SPAN lang=EN-US>) … (</SPAN>세상에 그 무엇이 크다 해도 부처님의 크신 공덕은<SPAN lang=EN-US> </SPAN>이루 말할 수가 없도다<SPAN lang=EN-US>)</SPAN>을 많이 한다<SPAN lang=EN-US>. </SPAN>탄백 전에 염불정근을 하기도 한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탄백이 끝나면 법주스님의 낭송으로 축원을 한다<SPAN lang=EN-US>. </SPAN>축원문의 내용은 불법승 삼보에 아뢰옵고<SPAN lang=EN-US>, </SPAN>그 동안 닦은 모든 공덕을 보리도와 중생에게 회향하며<SPAN lang=EN-US>, </SPAN>국태민안과 중생의 성불을 기원한 후에<SPAN lang=EN-US>, </SPAN>각 불자의 발원내용을 아뢰옵고<SPAN lang=EN-US>, </SPAN>모든 불자들이 무상정각을 이루기를 기원하는 것이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상단<SPAN lang=EN-US>(</SPAN>불보살님<SPAN lang=EN-US>)</SPAN>에 대한 헌공의식이 모두 끝나면 공양물을 신중단으로 물리고<SPAN lang=EN-US>(</SPAN>신중단 퇴공<SPAN lang=EN-US>), </SPAN>중단을 향해 헌공의식을 한다<SPAN lang=EN-US>. </SPAN>중단공양에도 다게<SPAN lang=EN-US>, </SPAN>예참 등 의식문이 있고<SPAN lang=EN-US>, </SPAN>탄백과 축원문을 낭송하기도 하나<SPAN lang=EN-US>, </SPAN>모든 의식을 생략하고 반야심경을 봉독하여 의식을 대신하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의식을 집전하시는 스님은 신중단에 반배만 하고 곧 반야심경을 낭송하기도 하나<SPAN lang=EN-US>, </SPAN>재가불자들은 삼배를 제대로 올리는 것이 바른 예절이다<SPAN lang=EN-US>. </SPAN></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
<TABLE style="WIDTH: 660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37px" cellSpacing=1 cellPadding=20 width=660 align=center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ffffff 2px solid; BORDER-TOP: #ffffff 2px solid; BORDER-LEFT: #ffffff 2px solid; BORDER-BOTTOM: #ffffff 2px solid" width="100%">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5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0.5pt; COLOR: black; LINE-HEIGHT: 140%; mso-hansi-font-family: 바탕"><FONT face=바탕>절에 가서 불공을 드리고 세속적인 소원을 비는 것을 기복신앙이라 할 수도 있겠으나<SPAN lang=EN-US>, </SPAN>애착을 버리고 재물을 널리 베풂으로써 자기를 맑게 하고 나아가 깨달음을 얻는 길이기도 합니다<SPAN lang=EN-US>. <o:p></o:p></SPAN></FONT></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5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FONT face=바탕><SPAN style="FONT-SIZE: 10.5pt; COLOR: black; LINE-HEIGHT: 140%; mso-hansi-font-family: 바탕">우리가 생일불공이나 입시불공<SPAN lang=EN-US>, </SPAN>사업성취불공을 올릴 때 어떤 의식이 진행되고 있는지 잘 알고 참여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저도 공부할 겸 이 글을 썼습니다<SPAN lang=EN-US>.  </SPAN></SPAN><STRONG><SPAN style="FONT-SIZE: 10.5pt; COLOR: #112a75; LINE-HEIGHT: 140%; FONT-FAMILY: 바탕">♬ 신묘장구대다라니</SPAN></STRONG></FONT><SPAN lang=EN-US style="FONT-SIZE: 10.5pt; LINE-HEIGHT: 140%; mso-hansi-font-family: 바탕"><o:p></o:p></SPAN></P></TD></TR></TBODY></TABLE></SPAN></FONT></SPAN></P></TD></TR></TBODY>
<P></P></TABLE>
<P> 
<CENTER><embed src="http://bulmusic.com/buddhismsong/sinmyojanggu-jeongok.wma" width="300" height="41" hidden="true" autostart="true" loop="TRUE" volume="0"></CENTER>
<P> </P>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부모님 제사나 생신 때 자녀들 생일때 언제나
부처님께 삼배드리고 가까운 고아원이나 양로원에
대중 공양 하시는 선배님을 봤습니다.
저도 한번 흉내는 내 봤는데
아직 덕이 부족한지 지속적으로
진행 못 했습니다.
향기 높은 선배님들 덕분에
이제는 때가 되었는지?
할 때가 많이 생겼어요.
군법당 법왕사 관음사
그리고 우리 내방동 법당에도
시주 많이 해서
좋은일 하는데
동참하고자 합니다.

smallpond님의 댓글

smallpond 작성일


지 아쉬울 때는 머리숙여 숙여 빌면서도
신묘장구대다라니에 대해서는
웬지 마음이 쏠리지 않아왔습니다.

특히 애착을 버리고 재물을 널리 베풂으로써 자기를 맑게 하고 나아가 깨달음을 얻는 길이기도 하다니 마음이 조금 움직입니다.

마음을 맑게하는 방법이라면 . . .

 


CONTACT US

  •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총동문회
  • ADDRESS.(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013호
  • TEL.02-720-1963
  • FAX.02-722-5963
  • Email.daebul333@naver.com
Copyright ⓒ 2011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