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머물기 (17) 법구(法具)의 종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제철 작성일2009.08.17 조회3,015회 댓글1건본문
<P>
<TABLE style="WIDTH: 765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125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65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dadada 0px solid; BORDER-TOP: #dadada 0px solid; BORDER-LEFT: #dadada 0px solid; BORDER-BOTTOM: #dadada 0px solid" width="100%"><SPAN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mso-bidi-font-family: 굴림"><FONT color=#000000><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불교의식을 행하거나 법당을 장엄<SPAN>(</SPAN>莊嚴<SPAN>, </SPAN>장식<SPAN>)</SPAN>하는 데 쓰이는 도구를 불구<SPAN>(</SPAN>佛具<SPAN>) </SPAN>또는 법구<SPAN>(</SPAN>法具<SPAN>)</SPAN>라 한다<SPAN>. </SPAN>의식에 쓰이는 용구로는 범종<SPAN>(</SPAN>梵鐘<SPAN>), </SPAN>법고<SPAN>(</SPAN>法鼓<SPAN>), </SPAN>운판<SPAN>(</SPAN>雲版<SPAN>), </SPAN>목어<SPAN>(</SPAN>木魚<SPAN>), </SPAN>금고<SPAN>(</SPAN>金鼓<SPAN>), </SPAN>요령<SPAN>(</SPAN>搖鈴<SPAN>), </SPAN>죽비, 금강저<SPAN>(</SPAN>金剛杵<SPAN>), </SPAN>불자<SPAN>(</SPAN>拂子<SPAN>) </SPAN>등이 있고<SPAN>, </SPAN>장엄용구로는 천개<SPAN>(</SPAN>天蓋<SPAN>), </SPAN>번<SPAN>(</SPAN>幡<SPAN>), </SPAN>당<SPAN>(</SPAN>幢<SPAN>), </SPAN>화병<SPAN>(</SPAN>花甁<SPAN>) </SPAN>등을 들 수 있다<SPAN>. </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범종은 불교에서 쓰는 종을 말하는데<SPAN>, </SPAN>명부세계의 중생이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얻도록 소리로써 일깨운다고 한다<SPAN>. </SPAN>경종<SPAN>(</SPAN>鯨鐘<SPAN>), </SPAN>조종<SPAN>(</SPAN>釣鐘<SPAN>), </SPAN>당종<SPAN>(</SPAN>撞鐘<SPAN>)</SPAN>이라고도 하며<SPAN>, </SPAN>크기는 작게는 높이<SPAN> 1m </SPAN>이하에서 크게는<SPAN> 3m</SPAN>이상으로 다양하다<SPAN>. </SPAN>범종루 또는 범종각에 걸어 두고<SPAN>, </SPAN>의식을 행할 때는 물론 대중을 집합시키거나 때를 알릴 때에도 울린다<SPAN>. </SPAN>법고<SPAN>, </SPAN>목어<SPAN>, </SPAN>운판과 함께 사물<SPAN>(</SPAN>四物<SPAN>)</SPAN>이라고 한다<SPAN>. </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범종각과 별도로 법당 안에 소종<SPAN>(</SPAN>小鐘<SPAN>)</SPAN>을 걸어 주로 예불의식에 사용한다<SPAN>. </SPAN>소종 대신 금고<SPAN>(</SPAN>金鼓<SPAN>, </SPAN>징<SPAN>)</SPAN>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징의 지름이 보통<SPAN> 1m </SPAN>내외이다<SPAN>.<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법고는 불교에서 쓰는 북을 말한다<SPAN>. </SPAN>북소리는 모든 축생들에게 고통에서 벗어나 즐거움을 갖게 한다고 하며<SPAN>, </SPAN>수행정진을 독려하는 법구라 할 수 있다<SPAN>. </SPAN>선종사찰에서는 법당의 동북쪽에 달아 놓고 각종 의식에 사용하는데<SPAN>, </SPAN>보통 조석(朝夕) 예불 때와 기타 법요식을 행할 때에 친다<SPAN>.</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목어는 중국 선종사찰에서 쓰던 것으로<SPAN>, </SPAN>나무를 물고기 모양으로 만들고 속을 파내어 두드리면 소리가 나도록 만든 것이다<SPAN>. 역시</SPAN> 조석 예불 때 치며<SPAN>, </SPAN>물 속 생물을 제도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SPAN>. </SPAN>목탁은 목어에서 변형된 것으로 역시 고기 모양을 하고 있으며<SPAN>, </SPAN>예불<SPAN>, </SPAN>염불<SPAN>, </SPAN>독경에 널리 사용된다<SPAN>. </SPAN>눈을 뜨고 있는 물고기와 같이 항상 열심히 수행하도록 일깨운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SPAN>. <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운판은 구름 모양을 한 청동 주조물인데<SPAN>, </SPAN>소리로써 날짐승을 교화<SPAN>, </SPAN>제도한다는 의미가 있다<SPAN>. </SPAN>선종사찰에서는 재당이나 부엌에 매달고 대중에게 끼니 때를 알릴 때 사용하기도 한다<SPAN>. </SPAN>죽비는 참선의 시작과 끝을 알리고<SPAN>, </SPAN>절을 하거나 공양할 때에도 대중의 행동을 통일시킨다<SPAN>. </SPAN>길이는 보통<SPAN> 40~50 cm </SPAN>정도이나<SPAN>, </SPAN>선원에는 길이 약<SPAN> 2m </SPAN>정도의 죽비<SPAN>(</SPAN>장군죽비<SPAN>)</SPAN>가 있어 참선하는 사람들의 졸음이나 자세를 지도하는데 쓰인다<SPAN>. </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불단<SPAN>(</SPAN>佛壇<SPAN>)</SPAN>은 부처님을 모시는 단으로 이 위에 불상을 모시고 예불과 의식에 필요한 법구를 올려 놓는다<SPAN>. </SPAN>주로 나무로 만든다<SPAN>. </SPAN>천개(天蓋)는 불단의 부처님을 보호하고 장식하기 위하여 불상 머리 위에 만들어 단 집<SPAN>(</SPAN>닫집<SPAN>)</SPAN>이다<SPAN>. </SPAN>궁궐의 모습으로 불단<SPAN>(</SPAN>佛壇<SPAN>)</SPAN>의 윗 부분을 화려하게 꾸미며<SPAN>, 4</SPAN>각<SPAN>, 6</SPAN>각<SPAN>, 8</SPAN>각<SPAN>, </SPAN>원형 등 여러 가지가 있다<SPAN>. </SPAN>법상<SPAN>(</SPAN>法床<SPAN>)</SPAN>은 스님이 설법할 때 앉는 자리로 고좌<SPAN>(</SPAN>高座<SPAN>)</SPAN>라고도 한다<SPAN>. 4</SPAN>각형의 높은 단<SPAN>(</SPAN>壇<SPAN>) </SPAN>모양이며<SPAN>, </SPAN>연좌<SPAN>(</SPAN>蓮座<SPAN>)를</SPAN> 만드는 등 여러 가지 장식으로 꾸며진다<SPAN>.</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번<SPAN>(</SPAN>幡<SPAN>)</SPAN>은 불보살의 위덕을 알리고 장엄한 분위기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깃발로 청<SPAN>, </SPAN>황<SPAN>, </SPAN>백<SPAN>, </SPAN>적<SPAN>, </SPAN>흑의<SPAN> 5</SPAN>가지 빛깔을 취한다<SPAN>. </SPAN>당<SPAN>(</SPAN>幢<SPAN>)</SPAN>은 번과 같이 여러 가지 모양의 깃발을 사용하는 장엄구로서 깃발의 한 종류이다<SPAN>. </SPAN>당을 달았던 기둥을 당간<SPAN>(</SPAN>幢竿<SPAN>)</SPAN>이라 하는데<SPAN>, </SPAN>오늘날에는 이를 지탱하였던 지주<SPAN>(</SPAN>支柱<SPAN>)</SPAN>만 전해진다<SPAN>. </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금강저<SPAN>(</SPAN>金剛杵<SPAN>)</SPAN>는 본래 인도의 신과 역사<SPAN>(</SPAN>力士<SPAN>)</SPAN>들이 지니는 무기이나 불교에 들어와서는 마음의 번뇌를 물리치는 법구로 변화되었다<SPAN>. </SPAN>손잡이 양쪽 끝에 뾰족한 창<SPAN>(</SPAN>杵<SPAN>)</SPAN>과 같은 것을 붙인 형태이며<SPAN>, </SPAN>금강령<SPAN>(</SPAN>金剛鈴<SPAN>)</SPAN>과 함께 특히 밀교의식에 많이 쓰인다<SPAN>. </SPAN>금강령은 손잡이 끝이 금강저의 끝과 같은 모양을 한 요령을 말한다<SPAN>. </SPAN>요령은 흔들면 소리를 내는 쇠방울로 염불 할 때 많이 쓰인다<SPAN>. </SPAN>경<SPAN>(</SPAN>磬<SPAN>)</SPAN>은 본래 동이나 옥 및 돌로 만든 악기의 일종이다<SPAN>. </SPAN>주로 선반에 걸어 두거나 책상 위에 두고 치는 법구로 불경을 읽을 때나 범패를 할 때<SPAN>, </SPAN>무리를 이끌어 가는데 사용한다<SPAN>. </SPAN>바라<SPAN>(</SPAN>銅鈸<SPAN>)</SPAN>은 놋쇠로 만든 타악기로 둥글넓적하고 배가 불룩하며<SPAN>, </SPAN>한 손에 하나씩 쥐고 두 짝을 마주쳐서 소리를 낸다<SPAN>. </SPAN>바라춤을 추거나 기타 의식에 사용된다<SPAN>.(사진; 위에서부터 범종, <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Gulim; mso-font-kerning: 1.0pt; mso-bid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hans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법고∙목어∙운판</SPAN>, 닫집, <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Gulim; mso-font-kerning: 1.0pt; mso-bid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hans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금강저∙금강령</SPAN>, 번, 당간지주)</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공양구(供養具)는 불보살님께 공양할 때 음식이나 향<SPAN>, </SPAN>꽃<SPAN>, </SPAN>차<SPAN>, </SPAN>불 등을 담는 갖가지 그릇을 말한다<SPAN>. </SPAN>공양구에는 향로<SPAN>, </SPAN>꽃병<SPAN>, </SPAN>바루<SPAN>(</SPAN>鉢盂<SPAN>), </SPAN>다기<SPAN>(</SPAN>茶器<SPAN>), </SPAN>물병<SPAN>, </SPAN>등<SPAN>(</SPAN>燈<SPAN>), </SPAN>사리구<SPAN>(</SPAN>舍利具<SPAN>) </SPAN>등이 있다<SPAN>. </SPAN>사리구는 사리를 탑 속에 봉안할 때 담는 용기로서<SPAN>, </SPAN>사리를 직접 담는 그릇인 사리용기와<SPAN>, </SPAN>이 용기를 다시 감싸고 장엄하기 위한 외함으로 이루어진다<SPAN>. </SPAN>불자<SPAN>(</SPAN>拂子<SPAN>)</SPAN>는 원래 지푸라기나 먼지를 터는 먼지떨이를 말하는데 더러운 것을 없애는 도구이므로 속세의 더럽고 나쁜 것을 쫓아내는 법구로 인식된다<SPAN>. </SPAN>선종에서 방장스님이 손에 지녀 지휘봉과 권위의 상징으로 삼기도 한다<SPAN>. </SPAN></FONT></SPAN></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SPAN></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style="FONT-FAMILY: Batang"><FONT color=#112a75><STRONG>♬ 법고(法鼓)소리, 김영동 곡</STRONG></FONT></SPAN></SPAN></SPAN></SPAN></SPAN></FONT></SPAN></P></TD></TR></TBODY></TABLE>
<CENTER><EMBED src=http://www.buruna.org/cgi/dbase/./board/media/upfile/bubgo2.mp3 width=300 height=41 hidden=true type=application/octet-stream autostart="true" loop="TRUE" volume="0"></CENTER>
<TABLE style="WIDTH: 765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125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65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dadada 0px solid; BORDER-TOP: #dadada 0px solid; BORDER-LEFT: #dadada 0px solid; BORDER-BOTTOM: #dadada 0px solid" width="100%"><SPAN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mso-bidi-font-family: 굴림"><FONT color=#000000><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불교의식을 행하거나 법당을 장엄<SPAN>(</SPAN>莊嚴<SPAN>, </SPAN>장식<SPAN>)</SPAN>하는 데 쓰이는 도구를 불구<SPAN>(</SPAN>佛具<SPAN>) </SPAN>또는 법구<SPAN>(</SPAN>法具<SPAN>)</SPAN>라 한다<SPAN>. </SPAN>의식에 쓰이는 용구로는 범종<SPAN>(</SPAN>梵鐘<SPAN>), </SPAN>법고<SPAN>(</SPAN>法鼓<SPAN>), </SPAN>운판<SPAN>(</SPAN>雲版<SPAN>), </SPAN>목어<SPAN>(</SPAN>木魚<SPAN>), </SPAN>금고<SPAN>(</SPAN>金鼓<SPAN>), </SPAN>요령<SPAN>(</SPAN>搖鈴<SPAN>), </SPAN>죽비, 금강저<SPAN>(</SPAN>金剛杵<SPAN>), </SPAN>불자<SPAN>(</SPAN>拂子<SPAN>) </SPAN>등이 있고<SPAN>, </SPAN>장엄용구로는 천개<SPAN>(</SPAN>天蓋<SPAN>), </SPAN>번<SPAN>(</SPAN>幡<SPAN>), </SPAN>당<SPAN>(</SPAN>幢<SPAN>), </SPAN>화병<SPAN>(</SPAN>花甁<SPAN>) </SPAN>등을 들 수 있다<SPAN>. </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범종은 불교에서 쓰는 종을 말하는데<SPAN>, </SPAN>명부세계의 중생이 번뇌를 끊고 깨달음을 얻도록 소리로써 일깨운다고 한다<SPAN>. </SPAN>경종<SPAN>(</SPAN>鯨鐘<SPAN>), </SPAN>조종<SPAN>(</SPAN>釣鐘<SPAN>), </SPAN>당종<SPAN>(</SPAN>撞鐘<SPAN>)</SPAN>이라고도 하며<SPAN>, </SPAN>크기는 작게는 높이<SPAN> 1m </SPAN>이하에서 크게는<SPAN> 3m</SPAN>이상으로 다양하다<SPAN>. </SPAN>범종루 또는 범종각에 걸어 두고<SPAN>, </SPAN>의식을 행할 때는 물론 대중을 집합시키거나 때를 알릴 때에도 울린다<SPAN>. </SPAN>법고<SPAN>, </SPAN>목어<SPAN>, </SPAN>운판과 함께 사물<SPAN>(</SPAN>四物<SPAN>)</SPAN>이라고 한다<SPAN>. </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범종각과 별도로 법당 안에 소종<SPAN>(</SPAN>小鐘<SPAN>)</SPAN>을 걸어 주로 예불의식에 사용한다<SPAN>. </SPAN>소종 대신 금고<SPAN>(</SPAN>金鼓<SPAN>, </SPAN>징<SPAN>)</SPAN>를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징의 지름이 보통<SPAN> 1m </SPAN>내외이다<SPAN>.<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법고는 불교에서 쓰는 북을 말한다<SPAN>. </SPAN>북소리는 모든 축생들에게 고통에서 벗어나 즐거움을 갖게 한다고 하며<SPAN>, </SPAN>수행정진을 독려하는 법구라 할 수 있다<SPAN>. </SPAN>선종사찰에서는 법당의 동북쪽에 달아 놓고 각종 의식에 사용하는데<SPAN>, </SPAN>보통 조석(朝夕) 예불 때와 기타 법요식을 행할 때에 친다<SPAN>.</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목어는 중국 선종사찰에서 쓰던 것으로<SPAN>, </SPAN>나무를 물고기 모양으로 만들고 속을 파내어 두드리면 소리가 나도록 만든 것이다<SPAN>. 역시</SPAN> 조석 예불 때 치며<SPAN>, </SPAN>물 속 생물을 제도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SPAN>. </SPAN>목탁은 목어에서 변형된 것으로 역시 고기 모양을 하고 있으며<SPAN>, </SPAN>예불<SPAN>, </SPAN>염불<SPAN>, </SPAN>독경에 널리 사용된다<SPAN>. </SPAN>눈을 뜨고 있는 물고기와 같이 항상 열심히 수행하도록 일깨운다는 의미도 담겨 있다<SPAN>. <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운판은 구름 모양을 한 청동 주조물인데<SPAN>, </SPAN>소리로써 날짐승을 교화<SPAN>, </SPAN>제도한다는 의미가 있다<SPAN>. </SPAN>선종사찰에서는 재당이나 부엌에 매달고 대중에게 끼니 때를 알릴 때 사용하기도 한다<SPAN>. </SPAN>죽비는 참선의 시작과 끝을 알리고<SPAN>, </SPAN>절을 하거나 공양할 때에도 대중의 행동을 통일시킨다<SPAN>. </SPAN>길이는 보통<SPAN> 40~50 cm </SPAN>정도이나<SPAN>, </SPAN>선원에는 길이 약<SPAN> 2m </SPAN>정도의 죽비<SPAN>(</SPAN>장군죽비<SPAN>)</SPAN>가 있어 참선하는 사람들의 졸음이나 자세를 지도하는데 쓰인다<SPAN>. </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불단<SPAN>(</SPAN>佛壇<SPAN>)</SPAN>은 부처님을 모시는 단으로 이 위에 불상을 모시고 예불과 의식에 필요한 법구를 올려 놓는다<SPAN>. </SPAN>주로 나무로 만든다<SPAN>. </SPAN>천개(天蓋)는 불단의 부처님을 보호하고 장식하기 위하여 불상 머리 위에 만들어 단 집<SPAN>(</SPAN>닫집<SPAN>)</SPAN>이다<SPAN>. </SPAN>궁궐의 모습으로 불단<SPAN>(</SPAN>佛壇<SPAN>)</SPAN>의 윗 부분을 화려하게 꾸미며<SPAN>, 4</SPAN>각<SPAN>, 6</SPAN>각<SPAN>, 8</SPAN>각<SPAN>, </SPAN>원형 등 여러 가지가 있다<SPAN>. </SPAN>법상<SPAN>(</SPAN>法床<SPAN>)</SPAN>은 스님이 설법할 때 앉는 자리로 고좌<SPAN>(</SPAN>高座<SPAN>)</SPAN>라고도 한다<SPAN>. 4</SPAN>각형의 높은 단<SPAN>(</SPAN>壇<SPAN>) </SPAN>모양이며<SPAN>, </SPAN>연좌<SPAN>(</SPAN>蓮座<SPAN>)를</SPAN> 만드는 등 여러 가지 장식으로 꾸며진다<SPAN>.</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번<SPAN>(</SPAN>幡<SPAN>)</SPAN>은 불보살의 위덕을 알리고 장엄한 분위기를 만들기 위하여 사용하는 깃발로 청<SPAN>, </SPAN>황<SPAN>, </SPAN>백<SPAN>, </SPAN>적<SPAN>, </SPAN>흑의<SPAN> 5</SPAN>가지 빛깔을 취한다<SPAN>. </SPAN>당<SPAN>(</SPAN>幢<SPAN>)</SPAN>은 번과 같이 여러 가지 모양의 깃발을 사용하는 장엄구로서 깃발의 한 종류이다<SPAN>. </SPAN>당을 달았던 기둥을 당간<SPAN>(</SPAN>幢竿<SPAN>)</SPAN>이라 하는데<SPAN>, </SPAN>오늘날에는 이를 지탱하였던 지주<SPAN>(</SPAN>支柱<SPAN>)</SPAN>만 전해진다<SPAN>. </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금강저<SPAN>(</SPAN>金剛杵<SPAN>)</SPAN>는 본래 인도의 신과 역사<SPAN>(</SPAN>力士<SPAN>)</SPAN>들이 지니는 무기이나 불교에 들어와서는 마음의 번뇌를 물리치는 법구로 변화되었다<SPAN>. </SPAN>손잡이 양쪽 끝에 뾰족한 창<SPAN>(</SPAN>杵<SPAN>)</SPAN>과 같은 것을 붙인 형태이며<SPAN>, </SPAN>금강령<SPAN>(</SPAN>金剛鈴<SPAN>)</SPAN>과 함께 특히 밀교의식에 많이 쓰인다<SPAN>. </SPAN>금강령은 손잡이 끝이 금강저의 끝과 같은 모양을 한 요령을 말한다<SPAN>. </SPAN>요령은 흔들면 소리를 내는 쇠방울로 염불 할 때 많이 쓰인다<SPAN>. </SPAN>경<SPAN>(</SPAN>磬<SPAN>)</SPAN>은 본래 동이나 옥 및 돌로 만든 악기의 일종이다<SPAN>. </SPAN>주로 선반에 걸어 두거나 책상 위에 두고 치는 법구로 불경을 읽을 때나 범패를 할 때<SPAN>, </SPAN>무리를 이끌어 가는데 사용한다<SPAN>. </SPAN>바라<SPAN>(</SPAN>銅鈸<SPAN>)</SPAN>은 놋쇠로 만든 타악기로 둥글넓적하고 배가 불룩하며<SPAN>, </SPAN>한 손에 하나씩 쥐고 두 짝을 마주쳐서 소리를 낸다<SPAN>. </SPAN>바라춤을 추거나 기타 의식에 사용된다<SPAN>.(사진; 위에서부터 범종, <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Gulim; mso-font-kerning: 1.0pt; mso-bid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hans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법고∙목어∙운판</SPAN>, 닫집, <SPAN style="FONT-SIZE: 11pt; FONT-FAMILY: Gulim; mso-font-kerning: 1.0pt; mso-bid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hans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금강저∙금강령</SPAN>, 번, 당간지주)</SPAN></FONT></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FONT face=굴림>공양구(供養具)는 불보살님께 공양할 때 음식이나 향<SPAN>, </SPAN>꽃<SPAN>, </SPAN>차<SPAN>, </SPAN>불 등을 담는 갖가지 그릇을 말한다<SPAN>. </SPAN>공양구에는 향로<SPAN>, </SPAN>꽃병<SPAN>, </SPAN>바루<SPAN>(</SPAN>鉢盂<SPAN>), </SPAN>다기<SPAN>(</SPAN>茶器<SPAN>), </SPAN>물병<SPAN>, </SPAN>등<SPAN>(</SPAN>燈<SPAN>), </SPAN>사리구<SPAN>(</SPAN>舍利具<SPAN>) </SPAN>등이 있다<SPAN>. </SPAN>사리구는 사리를 탑 속에 봉안할 때 담는 용기로서<SPAN>, </SPAN>사리를 직접 담는 그릇인 사리용기와<SPAN>, </SPAN>이 용기를 다시 감싸고 장엄하기 위한 외함으로 이루어진다<SPAN>. </SPAN>불자<SPAN>(</SPAN>拂子<SPAN>)</SPAN>는 원래 지푸라기나 먼지를 터는 먼지떨이를 말하는데 더러운 것을 없애는 도구이므로 속세의 더럽고 나쁜 것을 쫓아내는 법구로 인식된다<SPAN>. </SPAN>선종에서 방장스님이 손에 지녀 지휘봉과 권위의 상징으로 삼기도 한다<SPAN>. </SPAN></FONT></SPAN></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SPAN></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style="FONT-FAMILY: Batang"><FONT color=#112a75><STRONG>♬ 법고(法鼓)소리, 김영동 곡</STRONG></FONT></SPAN></SPAN></SPAN></SPAN></SPAN></FONT></SPAN></P></TD></TR></TBODY></TABLE>
<CENTER><EMBED src=http://www.buruna.org/cgi/dbase/./board/media/upfile/bubgo2.mp3 width=300 height=41 hidden=true type=application/octet-stream autostart="true" loop="TRUE" volume="0"></CENTER>
댓글목록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지나치기 쉬운 자세한 내용에도
귀기울립니다.이제는
누구를 위해서가 아니라
내 자신을 위해서 노력하고 정진해야 겠습니다.
선배님께서도
이렇게 힘든일을 선배님 자신을 위한 마음이
컸으면 좋겠습니다.
여름대회 때
바삐 쫓아다니느라 외장 하드디스크를 가져 갔음에도
자료를 저장 못했습니다.
안타까움이 아직까지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