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머물기 (16) 발우공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제철 작성일2009.08.11 조회3,229회 댓글3건본문
<TABLE style="WIDTH: 765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240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65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dadada 0px solid; BORDER-TOP: #dadada 0px solid; BORDER-LEFT: #dadada 0px solid; BORDER-BOTTOM: #dadada 0px solid" width="100%"><SPAN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mso-bidi-font-family: 굴림"><FONT color=#000000><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P style="MARGIN: 0cm 0cm 8.4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발우<SPAN>(</SPAN>鉢盂<SPAN>)</SPAN>란 스님들의 밥그릇을 뜻한다<SPAN>. </SPAN>발우는 그릇<SPAN> 4</SPAN>개 또는<SPAN> 5</SPAN>개가 포개져 한 세트가 되며<SPAN>, </SPAN>제일 큰 그릇에 맞는 발우 뚜껑으로 모두를 덮는다<SPAN>. </SPAN>그릇 외에 발우수건<SPAN>, </SPAN>발우보<SPAN>, </SPAN>무릎수건<SPAN>, </SPAN>발우단<SPAN>, </SPAN>수저집<SPAN>, </SPAN>생반대 등의 부대기구가 있는데<SPAN>, </SPAN>발우수건은 발우를 덮는 수건이며<SPAN>, </SPAN>발우의 물기를 닦기도 한다<SPAN>. </SPAN>발우보는 발우를 싸는 보<SPAN>, </SPAN>발우단<SPAN>(</SPAN>鉢盂單<SPAN>)</SPAN>은 발우를 펼 때 밑에 까는 보<SPAN>, </SPAN>무릎수건은 내프킨에 해당한다<SPAN>. </SPAN>생반대<SPAN>(</SPAN>生飯臺<SPAN>)</SPAN>는 공양하기 전에 귀신에게 밥알 몇 개를 덜어 줄<SPAN>(</SPAN>생반<SPAN>) </SPAN>때 쓰는 작은 숫가락을 말한다<SPAN>.</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8.4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공양시간에는 방에 모신 부처님 맞은 편이 상석<SPAN>(</SPAN>上席<SPAN>)</SPAN>으로 조실<SPAN>, </SPAN>주지<SPAN>, </SPAN>입승스님이 앉고 그 이후는 서열에 따라 좌우로 <SPAN>“</SPAN>ᆮ<SPAN>”</SPAN>자로 앉는다<SPAN>. </SPAN>공양의식의 절차는 매우 복잡하나 약식으로는 다음과 같이 진행한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8.4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먼저 죽비를 한번 치면 불은상기게를 외운다<SPAN>. </SPAN>죽비 <SPAN>3</SPAN>번에 발우를 편다<SPAN>. </SPAN>죽비 한번에 천수물을 돌리고 식사를 돌린다<SPAN>. </SPAN>죽비 한번에 오관게를 외운다<SPAN>. </SPAN>죽비<SPAN> 3</SPAN>번에 머리 숙여 합장하고 공양을 시작한다<SPAN>. </SPAN>죽비<SPAN> 2</SPAN>번에 식수를 돌린다<SPAN>. </SPAN>죽비<SPAN> 1</SPAN>번에 찬상을 물리고 천수물을 거두며 발우를 닦는다<SPAN>. </SPAN>죽비<SPAN> 1</SPAN>번에 천수물을 버린다<SPAN>. </SPAN>발우를 거둔다<SPAN>. </SPAN>죽비<SPAN> 1</SPAN>번에 수발게를 외우고 죽비<SPAN> 3</SPAN>번에 마주 보며 합장 반배하고<SPAN>, </SPAN>공양을 마친다<SPAN>.</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8.4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이 절차를 좀더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SPAN>.</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배식준비가 다 되면 잠시 입정을 한 후 다음의 불은상기게<SPAN>(</SPAN>佛恩想起偈<SPAN>)</SPAN>를 외운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8.4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불생가비라<SPAN>(</SPAN>佛生迦毘羅<SPAN>), </SPAN>성도마갈타<SPAN>(</SPAN>成道摩竭陀<SPAN>), </SPAN>설법바라나<SPAN>(</SPAN>說法波羅奈<SPAN>), </SPAN>입멸구시라<SPAN>(</SPAN>入滅拘尸羅<SPAN>) </SPAN>즉<SPAN>, </SPAN>부처님은 가비라성에서 태어나셨고<SPAN>, </SPAN>마갈타에서 성도하셨으며<SPAN>, </SPAN>바라나시에서 설법하셨고<SPAN>, </SPAN>구시나가라에서 열반에 드셨네<SPAN>.</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8.4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게송 후 죽비<SPAN>(3</SPAN>번<SPAN>)</SPAN>가 울리면 발우를 편다<SPAN>(</SPAN>전발<SPAN>, </SPAN>展鉢<SPAN>). </SPAN>발우를 펼 때는 가장 작은 그릇을 꺼내 가장 큰 그릇 앞에 놓고<SPAN>, </SPAN>그 다음 그릇은 그 오른쪽<SPAN>, </SPAN>그 다음 그릇은 그 뒤에 놓으며<SPAN>, </SPAN>수저는 오른쪽 앞 그릇에 놓는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8.4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그 다음 진지<SPAN>(</SPAN>進旨<SPAN>, </SPAN>배식<SPAN>)</SPAN>를 하는데<SPAN>, </SPAN>천수물<SPAN>, </SPAN>반찬<SPAN>, </SPAN>밥<SPAN>, </SPAN>국의 순으로 돌린다<SPAN>. </SPAN>진지는 상석에서부터 한다<SPAN>. </SPAN>천수물과 밥과 국은 돌리는 사람이 따르거나 떠 주고<SPAN>, </SPAN>반찬은 찬상을 돌리면 각자 양에 맞게 담는다<SPAN>. </SPAN>천수물은 가장 큰 그릇에 받아서 그릇을 헹구고<SPAN>, </SPAN>또 다른 그릇에 부어서 헹구고<SPAN>, </SPAN>최종적으로는 수저 그릇에 붓는다<SPAN>. </SPAN>그 후 가장 큰 그릇에는 밥<SPAN>, </SPAN>그 앞 그릇에는 반찬<SPAN>, </SPAN>나머지 그릇에는 국을 담는다<SPAN>. </SPAN>배식 후에는 밥을 자기 양에 맞게 덜거나 더 담을 수 있도록 밥통을 돌린다<SPAN>.</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배식이 끝나고 죽비가 울리면<SPAN>(1</SPAN>번<SPAN>) </SPAN>오관게<SPAN>(</SPAN>五觀偈<SPAN>)</SPAN>를 외운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계공다소양피래처<SPAN>(</SPAN>計功多少量彼來處<SPAN>) </SPAN>온갖 정성 두루 쌓인 이 공양을</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촌기덕행전결응공<SPAN>(</SPAN>忖己德行全缺應供<SPAN>) </SPAN>덕행이 부족한 데도 감히 받누나</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방심이과탐등위종<SPAN>(</SPAN>防心離過貪等爲宗<SPAN>) </SPAN>탐심을 여의어서 허물을 막고</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정사양약위료형고<SPAN>(</SPAN>正思良藥爲療形枯<SPAN>) </SPAN>육신을 지탱하는 약을 삼으며</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위성도업응수차식<SPAN>(</SPAN>爲成道業應受此食<SPAN>) </SPAN>도업을 이루고자 이제 먹노라</SPAN></P>
<P style="MARGIN: 0cm 0cm 8.4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BR>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이어 죽비가<SPAN> 3</SPAN>번 울리면 합장하고 공양을 시작한다<SPAN>. </SPAN>밥을 먹을 때에 허리를 굽혀서는 안되며<SPAN>, </SPAN>왼손으로 밥 그릇을 들어서 입 높이까지 가져온 다음 밥을 떠먹는다<SPAN>. </SPAN>국이나 반찬을 먹을 때에도 다른 그릇을 바닥에 내려 놓고 다시 국그릇이나 반찬그릇을 들고 먹는다<SPAN>. </SPAN>예컨대 밥그릇을 든 채 바닥에 있는 반찬을 집어 먹으면 안 된다<SPAN>. </SPAN>국을 말아 먹을 때에는 밥그릇에 말지 말고 국그릇에 말아야 한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8.4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죽비가 두 번 울리면 식수를 돌린다<SPAN>. </SPAN>식수는 밥그릇에 받아서 다른 그릇과 수저를 닦은 후에 마신다<SPAN>. </SPAN>이 때 그릇들을 잘 닦기 위하여는 반찬 중에 무 조각 같은 것을 남겨 두었다가 식수와 함께 닦는 것이 좋다. 다음 죽비가 한 번 울리면 찬합과 밥통 그리고 국통을 밖으로 내간다<SPAN>. </SPAN>대중은 천수물을 이용하여 손으로 발우를 닦고<SPAN>, </SPAN>다시 발우 수건으로 물기를 닦은 후 원래대로 묶어 놓는다<SPAN>. </SPAN>발우 닦기가 끝나가면 죽비가 한 번 울리고 천수물을 걷는다<SPAN>. </SPAN>천수물 걷기는 말석<SPAN>(</SPAN>末席<SPAN>)</SPAN>에서부터 한다<SPAN>.</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공양이 끝나고 죽비가 한 번 울리면 수발게를 외우고 공양의식을 모두 끝낸다.<SPAN> </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반식이흘색력충<SPAN> (</SPAN>飯食已訖色力充<SPAN>) </SPAN>공양을 먹고 몸에 힘이 가득 차니</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위진시방삼세웅<SPAN> (</SPAN>威振十方三世雄<SPAN>) </SPAN>그 위엄 시방삼세 영웅이로다<SPAN>.</SPAN></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회인전과부재념<SPAN> (</SPAN>回因轉果不在念<SPAN>) </SPAN>인과가 생각 중에 있지 않으니</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일체중생획신통<SPAN> (</SPAN>一切衆生獲神通<SPAN>) </SPAN>일체 중생이 모두 신통을 얻을지어다<SPAN>.</SPAN></SPAN></P>
<P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SPAN></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SPAN style="FONT-FAMILY: Batang"><FONT color=#112a75><STRONG>♬ 명상음악 "청정한 마음"</STRONG></FONT></SPAN></SPAN></SPAN></SPAN></SPAN></FONT></SPAN></P></TD></TR></TBODY></TABLE>
<P align=left><EMBED style="WIDTH: 300px; HEIGHT: 41px" src=http://pds9.cafe.daum.net/download.php?grpid=11TPb&fldid=Hs88&dataid=7&fileid=1?dt=20070320004510&disk=28&grpcode=Jilan&dncnt=N&.mp3 hidden=true type=audio/mpeg loop="-1" volume="0" autostart="true"></P>
댓글목록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요즘은 가정에 바루를 준비해 두는 집이 많습니다.
바루공양이야 말로 친환경 운동이 아닐까?
실제로 환경 단체 강의를 들어 보면 불교식 바루
공양의 장점을 이야기 합니다.
살림을 단촐하게 지금부터 비워 갈려고 합니다.
나중에는 옷 몇벌과 바루와 경전 몇권만 남아도
행복한 삶을 살고 싶습니다.
선배님!
휴가 중 설악산 봉정암,오세암,영시암 다녀 왔습니다.
봉정암 적멸보궁에서 이웃 산봉우리 구름이 나를 지나
적멸보궁을 감싸며 바람따라 흘러가는 모습.....
봉정암에서 오세암 넘어오는 죽을 것 같은
힘든 고비를 넘기며 12시간만에 도착한 오세암에서 본
관세음보살님!!
아직도 눈에 선합니다.
걸망메고 세상일 잊고 여유롭게
기도처를 찾고 싶은데
이번에도 하루일정으로는 너무 빠듯하게
새벽 3시 30분에 출발하여 24시간 후
다음날 새벽에 도착했습니다.
아무리 바빠도 여유를 가져야 겠습니다.
윤제철님의 댓글
윤제철 작성일학교 업무에, 천연염색에, 동문회 활동에 바쁠텐데도 그 틈을 내어 여러 부처님을 뵙고 왔군요. 나는 1박 2일로 동해안을 다녀 오면서 수타사, 낙산사, 건봉사를 들렸습니다. 화재를 입었던 낙산사는 원통보전을 비롯한 거의 모든 건물들이 복원되었고, 새로이 의상기념관이 건립되어 화재 전보다 더 장엄한 가람이 되었습니다. 건봉사 적멸보궁 불사도 거의 끝나 가는데 새로 조성한 사리탑이 매우 장엄해 보였습니다.
송충근님의 댓글
송충근 작성일잊고 있었던 바루공양을 다시한번 생각나게 합니다. 선배님 고맙습니다. 송충근 합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