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머물기 (2) 가람의 배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제철 작성일2009.05.10 조회3,553회 댓글3건본문
<TABLE style="WIDTH: 775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300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75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dadada 0px solid; BORDER-TOP: #dadada 0px solid; BORDER-LEFT: #dadada 0px solid; BORDER-BOTTOM: #dadada 0px solid" width="100%"><SPAN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SPAN style="FONT-SIZE: 11pt">규</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모 있는 큰 절에 가면 일주문을 비롯한 여러 문을 지나 법당에 이르게 된다<SPAN lang=EN-US>. </SPAN>큰 법당 주변에는 여러 채의 전<SPAN lang=EN-US>(</SPAN>殿<SPAN lang=EN-US>), </SPAN>각<SPAN lang=EN-US>(</SPAN>閣<SPAN lang=EN-US>)</SPAN>과 요사<SPAN lang=EN-US>(</SPAN>寮舍<SPAN lang=EN-US>)</SPAN>가 있고<SPAN lang=EN-US>, </SPAN>법당 마당에 탑과 석등이 있으며<SPAN lang=EN-US>, </SPAN>법당 맞은편에는 대개 누각이 있다<SPAN lang=EN-US>. <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SPAN></SPAN>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TRONG>법당(法堂)<SPAN lang=EN-US><o:p></o:p></SPAN></STRONG></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부처님과 보살님을 모신 가장 중심부가 되는 건물이며<SPAN lang=EN-US>, </SPAN>건물 이름에는 전<SPAN lang=EN-US>(</SPAN>殿<SPAN lang=EN-US>) </SPAN>자(字)를 붙인다<SPAN lang=EN-US>. </SPAN>예컨대 대웅전<SPAN lang=EN-US>, </SPAN>관음전<SPAN lang=EN-US>, </SPAN>비로전과 같은 건물이 법당이다<SPAN lang=EN-US>. </SPAN>법당에 대하여는 다음 호에 자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TRONG>탑<SPAN lang=EN-US>(</SPAN>塔<SPAN lang=EN-US>)<o:p></o:p></SPAN></STRONG></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탑은 부처님의 사리를 모신 곳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대개 돌을 쌓아 조성한다<SPAN lang=EN-US>. </SPAN>부처님 사리 대신 불상<SPAN lang=EN-US>, </SPAN>또는 불경을 모시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법당 앞에 탑을 하나 모셨을 때는 일탑식<SPAN lang=EN-US>(</SPAN>一塔式<SPAN lang=EN-US>), </SPAN>둘을 모셨을 때는 쌍탑식<SPAN lang=EN-US>(</SPAN>雙塔式<SPAN lang=EN-US>)</SPAN>이라 한다<SPAN lang=EN-US>. </SPAN>통일신라시대에 세워진 절은 대부분 쌍탑식 구조를 보이고 있으며<SPAN lang=EN-US>, </SPAN>불국사 대웅전 앞에 석가탑과 다보탑을 세운 것이 그 대표적인 예다<SPAN lang=EN-US>. <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TRONG>요사<SPAN lang=EN-US>(</SPAN>寮舍<SPAN lang=EN-US>)<o:p></o:p></SPAN></STRONG></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스님들이 생활하는 건물을 통틀어 요사 또는 요사채라고 한다<SPAN lang=EN-US>. </SPAN>스님들이 수도하고<SPAN lang=EN-US>, </SPAN>일하고<SPAN lang=EN-US>, </SPAN>기거하는 곳이 모두 요사이며<SPAN lang=EN-US>, </SPAN>사무실<SPAN lang=EN-US>, </SPAN>후원<SPAN lang=EN-US>, </SPAN>객실<SPAN lang=EN-US>, </SPAN>창고 등이 모두 요사에 해당된다<SPAN lang=EN-US>. </SPAN>스님들이 수도하는 요사의 명칭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SPAN lang=EN-US>, </SPAN>올바른 행과 참선을 하는 장소라는 뜻으로 해행당<SPAN lang=EN-US>(</SPAN>解行堂<SPAN lang=EN-US>), </SPAN>수선당<SPAN lang=EN-US>(</SPAN>修禪堂<SPAN lang=EN-US>), </SPAN>지혜의 칼을 찾는 곳이라는 뜻으로 심검당<SPAN lang=EN-US>(</SPAN>尋劍堂<SPAN lang=EN-US>), </SPAN>또는 부처님을 선출하는 장소라는 뜻으로 선불당<SPAN lang=EN-US>(</SPAN>選佛堂<SPAN lang=EN-US>)</SPAN>이라는 현판을 붙인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TRONG>문루<SPAN lang=EN-US>(</SPAN>門樓<SPAN lang=EN-US>)</SPAN>와 기타 시설물<SPAN lang=EN-US><o:p></o:p></SPAN></STRONG></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절의 건물배치가 모두 일정하지는 않으나 큰 절의 경우는 일주문<SPAN lang=EN-US>, </SPAN>천왕문<SPAN lang=EN-US>, </SPAN>불이문과 같은 문(門)과<SPAN lang=EN-US>, </SPAN>보제루<SPAN lang=EN-US>, </SPAN>종루 같은 누각이 있다<SPAN lang=EN-US>. </SPAN>절 입구에는 돌로 만든 지주 위에 긴 쇠로 만든 당간<SPAN lang=EN-US>(</SPAN>幢竿<SPAN lang=EN-US>, </SPAN>깃대<SPAN lang=EN-US>)</SPAN>을 세우고<SPAN lang=EN-US>, </SPAN>법회 같은 행사가 있을 때 깃발을 달도록 한다<SPAN lang=EN-US>. </SPAN>또 천왕문에서 누각에 이르는 길 옆에는 스님들의 사리를 모신 부도전<SPAN lang=EN-US>(</SPAN>浮屠殿<SPAN lang=EN-US>)</SPAN>이 있는 것이 보통이다<SPAN lang=EN-US>.<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일주문<SPAN lang=EN-US>(</SPAN>一柱門<SPAN lang=EN-US>)</SPAN>은 절에 들어가는 첫번째 문이다<SPAN lang=EN-US>. </SPAN>문 양쪽에 기둥을 하나씩만 세워서 만든 문이라 일주문이라고 하는데 절에 따라서는 기둥을 두 개씩 세우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여기서 일<SPAN lang=EN-US>(</SPAN>一<SPAN lang=EN-US>)</SPAN>이라는 것은 불교의 진리를 나타낸 일승법<SPAN lang=EN-US>(</SPAN>一乘法<SPAN lang=EN-US>)</SPAN>을 상징한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천왕문<SPAN lang=EN-US>(</SPAN>天王門<SPAN lang=EN-US>)</SPAN>은 양쪽에 네 분의 천왕을 모신 문이다<SPAN lang=EN-US>. 4</SPAN>천왕은 불법을 수호하고 삿된 마귀를 방어하며<SPAN lang=EN-US>, </SPAN>착한 사람을 돕는 호법천왕이다<SPAN lang=EN-US>. </SPAN>네 분은 동방의 지국<SPAN lang=EN-US>(</SPAN>持國<SPAN lang=EN-US>)</SPAN>천왕<SPAN lang=EN-US>, </SPAN>남방의 증장<SPAN lang=EN-US>(</SPAN>增長<SPAN lang=EN-US>)</SPAN>천왕<SPAN lang=EN-US>, </SPAN>서방의 광목<SPAN lang=EN-US>(</SPAN>廣目<SPAN lang=EN-US>)</SPAN>천왕<SPAN lang=EN-US>, </SPAN>북방의 다문<SPAN lang=EN-US>(</SPAN>多聞<SPAN lang=EN-US>)</SPAN>천왕을 말한다<SPAN lang=EN-US>. 4</SPAN>천왕에 대하여 예경은 하지만 신앙의 대상이 될 수는 없다<SPAN lang=EN-US>. </SPAN>천왕문에 앞서 금강문<SPAN lang=EN-US>(</SPAN>金剛門<SPAN lang=EN-US>)</SPAN>을 세우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금강문에는 좌우<SPAN lang=EN-US> 2</SPAN>분의 금강역사<SPAN lang=EN-US>(</SPAN>金剛力士<SPAN lang=EN-US>)</SPAN>를 모셨는데<SPAN lang=EN-US>, </SPAN>금강역사 역시 부처님을 호위하는 수문장 역할을 한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재미있는 것은<SPAN lang=EN-US> 4</SPAN>천왕 중 서방 광목천왕은 어깨와 허리에 사자의 머리를 걸치고 있는데<SPAN lang=EN-US>, </SPAN>이는 간다라 미술이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전해진 양식이다<SPAN lang=EN-US>. </SPAN>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헤라클레스는 힘이 장사여서 사나운 사자를 때려 눕히고 언제나 그 가죽을 쓰고 다녔던 바<SPAN lang=EN-US>, </SPAN>그러한 형상이 간다라 미술에 반영된 것이다<SPAN lang=EN-US>. </SPAN>간다라 미술에서는 금강역사에 사자 머리를 두르게 했던 것이 중국에 오면서<SPAN lang=EN-US> 4</SPAN>천왕이 걸치게 되었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절에 따라서는<SPAN lang=EN-US> 4</SPAN>천왕 모두가 사자 머리를 걸치게 하고 있으나<SPAN lang=EN-US>, </SPAN>서방 광목천왕만 걸치는 것이 원안이다<SPAN lang=EN-US>. </SPAN>삼성동 봉은사에서 몇 해전에<SPAN lang=EN-US> 4</SPAN>천왕상을 여법<SPAN lang=EN-US>(</SPAN>如法<SPAN lang=EN-US>)</SPAN>하게 복원했는데 거기에도 광목천왕만 사자 머리를 두르고 있다. 위 사진은 다른 절의 광목천왕인데 허리에 찬 사자머리가 험상궂다. 어깨에 있는 사자상은 가려서 잘 보이지 않는다<SPAN lang=EN-US>. <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해탈문<SPAN lang=EN-US>(</SPAN>解脫門<SPAN lang=EN-US>)</SPAN>과 불이문<SPAN lang=EN-US>(</SPAN>不二門<SPAN lang=EN-US>)</SPAN>은 이 문을 통하여 법당에 가면 해탈의 경지<SPAN lang=EN-US>, </SPAN>또는 부처님의 불이<SPAN lang=EN-US>(</SPAN>不二<SPAN lang=EN-US>), </SPAN>무상<SPAN lang=EN-US>(</SPAN>無上<SPAN lang=EN-US>)</SPAN>의 진리를 깨달을 수 있다는 의미의 문이다<SPAN lang=EN-US>. <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법당 마당에 올라가는 계단 위에 보제루<SPAN lang=EN-US>(</SPAN>普濟樓<SPAN lang=EN-US>)</SPAN>라고 하는 누각이 있다<SPAN lang=EN-US>. </SPAN>예불 이외의 법요식을 대개 이 곳에서 한다<SPAN lang=EN-US>. </SPAN>절에 따라 만세루<SPAN lang=EN-US>(</SPAN>萬歲樓<SPAN lang=EN-US>), </SPAN>법왕루<SPAN lang=EN-US>(</SPAN>法王樓<SPAN lang=EN-US>), </SPAN>구광루<SPAN lang=EN-US>(</SPAN>九光樓<SPAN lang=EN-US>)</SPAN>라고도 하나<SPAN lang=EN-US>, </SPAN>모든 중생을 두루 제도한다는 뜻에서 보제루라는 명칭을 많이 사용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이런 누각이 있는 절에서는 대개 불이문은 세우지 않는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절에서 사물<SPAN lang=EN-US>(</SPAN>四物<SPAN lang=EN-US>)</SPAN>이라 하면 법고<SPAN lang=EN-US>, </SPAN>목어<SPAN lang=EN-US>, </SPAN>운판<SPAN lang=EN-US>, </SPAN>범종을 말한다<SPAN lang=EN-US>. </SPAN>법고<SPAN lang=EN-US>(</SPAN>法鼓<SPAN lang=EN-US>)</SPAN>는 땅 위에 사는 축생에게<SPAN lang=EN-US>, </SPAN>목어<SPAN lang=EN-US>(</SPAN>木魚<SPAN lang=EN-US>)</SPAN>는 물속에 사는 짐승에게<SPAN lang=EN-US>, </SPAN>운판<SPAN lang=EN-US>(</SPAN>雲版<SPAN lang=EN-US>)</SPAN>은 허공을 떠도는 영혼과 물고기에게 깨달음을 주기 위해 치며<SPAN lang=EN-US>, </SPAN>범종<SPAN lang=EN-US>(</SPAN>梵鍾<SPAN lang=EN-US>)</SPAN>은 하늘 세계에서 지옥까지의 모든 중생에게 부처님의 가르침을 전하기 위해 친다<SPAN lang=EN-US>. </SPAN>절에서는 이들 사물을 누각 또는 종각에 모신다<SPAN lang=EN-US>. <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o:p></o:p></SPAN></SPAN></P></SPAN></FONT></SPAN>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6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2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TEXT-ALIGN: left; mso-char-indent-count: 1.0; mso-pagination: widow-orphan" align=left>
<TABLE style="WIDTH: 269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36px" cellSpacing=1 cellPadding=1 width=269 align=center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dadada 0px solid; BORDER-TOP: #dadada 0px solid; BORDER-LEFT: #dadada 0px solid; BORDER-BOTTOM: #dadada 0px solid" width="100%"><FONT size=2><SPAN style="COLOR: #112a75; FONT-FAMILY: 굴림"><FONT color=#000000><SPAN style="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mso-bidi-font-size: 10.0pt"><SPAN lang=EN-US><o: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2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TEXT-ALIGN: left; mso-pagination: widow-orphan" align=left><SPAN style="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mso-bidi-font-size: 10.0pt"><STRONG><FONT color=#112a75></FONT></STRONG></SPAN>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2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TEXT-ALIGN: left; mso-pagination: widow-orphan" align=center><SPAN style="LINE-HEIGHT: 12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mso-bidi-font-size: 10.0pt"><STRONG><FONT color=#112a75>♬ 무상의 세계, 우리나라 명상음악</FONT></STRONG></SPAN></SPAN></P></o:p></SPAN></SPAN></FONT></FONT></TD></TR></TBODY></TABLE></P></TD></TR></TBODY>
<P></P>
<P></P>
<P></P>
<P></P></TABLE>
<P>
<CENTER><embed src="http://cfile217.uf.daum.net/attach/120A4310499D2F0A28C8E3" width="300" height="41" hidden="true" autostart="true" loop="TRUE" volume="0"></CENTER>
<P> </P>
댓글목록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잠시도 쉬지않고 일을 하다
지치면 잠시 쉬면서 홈피에 들어옵니다.
오늘도 예외는 아니였서
온 몸에(옷) 얼굴에 파란색을 쪽을 뒤집어 쓰고
에너지가 떨어졌는지 더 이상 움직이기 힘들어
커피 한 잔에 홈피를 열었습니다.
온몸에 피로가 다 가십니다.
솔바람 부는 산사 입구
일주문부터
사천왕문을 거쳐 법당을 찾아 부처님께 삼배 드립니다.
계룡사 갑사 일주문에서
화엄사 천왕문을
용주사의 보제루
그리고 대학 재학시절 자주갔던
해인사 법당을 다녀왔습니다.
이제는 힘이 납니다.
또 일을 해야죠?
쪽 염색 마무리하고 뒷 정리하고
새벽에 일어나 호미들고 잡초 뽑고 이랑 만들어 놓은
텃밭에 고추,호박,토마토, 가지,상치,파프리카,깻잎
모두 조금씩 심을 겁니다.
요즘은 모종이 있어 힘들지 않게 가꿀 수 있습니다.
잘 키워 대불연 열린법회 때 손질해서 가져 갈 것입니다.
법회 끝나고 먹기도 하고.....
나누어 가기도 하고.....
운문사 요사채 옆 계곡 물소리가
우리집 거실에 가득합니다.
이태경님의 댓글
이태경 작성일
선배님 좋은글 감사합니다.
많이 배워 가겠습니다. 잊어 버렸던 기억들을 되짚어 갑니다.
끝날때 까지 함께 하겠습니다.
smallpond님의 댓글
smallpond 작성일
언제나처럼 몸은 더 바빠지겠지만
잠시 머리의 긴장을 풀고
'무상의 세계'로 빠져 봅니다.
느릿 느릿 채근하지 않고
마음대로 풀어주면서도
전체로 싸안아주는 듯합니다.
절에 혼자 가본 것이 언제인지
집에 가지 못한 것처럼
조금은 쓸쓸하다.
혼자서 걸으며 걸으며
물도 마시고 법당에 삼배도 하고
스쳐가는 이웃들의 얼굴도 보고잡다.
시골마을 문앞에서 지팡이 내려놓고
한없이 한없이
지나는 객을 보는 할머니처럼
언제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