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머물기 (1) 절 이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제철 작성일2009.05.06 조회3,379회 댓글2건첨부파일
- 20090506200831-수덕사와_운부난야.bmp (1.0M) 12회 다운로드
본문
<TABLE style="WIDTH: 746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219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46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e8e8e8 1px solid; BORDER-TOP: #e8e8e8 1px solid; BORDER-LEFT: #e8e8e8 1px solid; BORDER-BOTTOM: #e8e8e8 1px solid" width="100%">
<P><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color=#000000> </FONT></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FONT color=#000000>그 동안 올렸던 왕오천축국전은 여러 가지 부족한 점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많이 읽고<SPAN lang=EN-US>, </SPAN>성원해 주셔서 감사합니다<SPAN lang=EN-US>. </SPAN>더구나 용주사 법회에서 강손주 총무로부터 뜻하지 않은 선물을 받으니 너무 기쁘고<SPAN lang=EN-US>, </SPAN>우리 동문 모두가 한 가족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SPAN lang=EN-US>.<?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SPAN></FONT></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FONT color=#000000>고마움에 보답하기 위해 이번에 새로 <SPAN lang=EN-US>“</SPAN>절<SPAN lang=EN-US>(</SPAN>寺<SPAN lang=EN-US>)</SPAN>에 머물기<SPAN lang=EN-US>”</SPAN>를 연재하고자 합니다<SPAN lang=EN-US>. </SPAN>우리가 절에 가서 부처님께 참배하고<SPAN lang=EN-US>, </SPAN>행사도 하고<SPAN lang=EN-US>, </SPAN>스님 법문도 듣고 하지만 잘 모르고 그냥 지나치기 쉬운 것<SPAN lang=EN-US>, </SPAN>피상적으로 알고 있는 것들이 너무 많은 것 같습니다<SPAN lang=EN-US>. </SPAN>이 글은 우리 불자들이 알아두어야 할 일들을 여러 동문들과 함께 살펴보기 위해 쓰는 글입니다<SPAN lang=EN-US>.<o:p></o:p></SPAN></FONT></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절에 머물기<SPAN lang=EN-US>”</SPAN>는 부처님이 계시는 절<SPAN lang=EN-US>, </SPAN>절에서의 몸가짐<SPAN lang=EN-US>, </SPAN>예절과 의식<SPAN lang=EN-US>, </SPAN>법구<SPAN lang=EN-US>(</SPAN>法具<SPAN lang=EN-US>)</SPAN>의 사용 등의 순서로 진행됩니다<SPAN lang=EN-US>. </SPAN>참고로 이 글은 동료 <?xml:namespace prefix = st1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smarttags" /><st1:PersonName w:st="on"><?xml:namespace prefix = st2 ns = "urn:schemas:contacts" /><st2:Sn w:st="on">김</st2:Sn><st2:GivenName w:st="on">길원</st2:GivenName></st1:PersonName>님의 <SPAN lang=EN-US>“</SPAN>재가불자들이 알아두어야 할 불자예절과 의식<SPAN lang=EN-US>”(</SPAN>불광출판부<SPAN lang=EN-US>, 1993)</SPAN>을 바탕으로 하였음을 말씀 드립니다<SPAN lang=EN-US>. </SPAN><st1:PersonName w:st="on">김길원</st1:PersonName>님은 불광사에서 광덕 큰스님을 가까이 모시면서 불광법회 집전<SPAN lang=EN-US>(</SPAN>執典<SPAN lang=EN-US>)</SPAN>위원<SPAN lang=EN-US>, </SPAN>습의교육 강사를 지냈으며<SPAN lang=EN-US>, </SPAN>저와는 공인회계사 동료입니다<SPAN lang=EN-US>. </SPAN></SPAN></FONT></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FONT color=#00000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 lang=EN-US></SPAN></SPAN></FONT><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o:p><FONT color=#000000> </FONT></o:p></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1.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절 이름<SPAN lang=EN-US><o:p></o:p></SPAN></SPAN></FONT></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FONT color=#000000>절에는 여러 가지 명칭이 통용되고 있다<SPAN lang=EN-US>. </SPAN>앞에 고유명사를 붙여 ○○사<SPAN lang=EN-US>(</SPAN>寺<SPAN lang=EN-US>), </SPAN>○○암<SPAN lang=EN-US>(</SPAN>庵<SPAN lang=EN-US>), </SPAN>○○정사<SPAN lang=EN-US>(</SPAN>精舍<SPAN lang=EN-US>) </SPAN>○○난야<SPAN lang=EN-US>(</SPAN>蘭若<SPAN lang=EN-US>) </SPAN>등의 명칭이 쓰이며<SPAN lang=EN-US>, </SPAN>절을 가리켜 사찰<SPAN lang=EN-US>, </SPAN>사원<SPAN lang=EN-US>, </SPAN>가람이라고 부르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일반적으로 큰 절은 사<SPAN lang=EN-US>(</SPAN>寺<SPAN lang=EN-US>)</SPAN>라고 하고, 정사<SPAN lang=EN-US>(</SPAN>精舍<SPAN lang=EN-US>)나 암<SPAN lang=EN-US>(</SPAN>庵<SPAN lang=EN-US>)은</SPAN> 대개 사(寺)보다 규모가 작다. 이 외에도 특이하게 </SPAN>난야<SPAN lang=EN-US>(</SPAN>蘭若<SPAN lang=EN-US>)</SPAN>로 부르는 암자도 있다. 암자는 대개 큰 절에 소속되어 있는 경우가 많지만 독립된 경우도 적지 않다<SPAN lang=EN-US>. </SPAN>예컨대 남해 보리암은 대한불교조계종 제<SPAN lang=EN-US>13</SPAN>교구 본사<SPAN lang=EN-US>(</SPAN>쌍계사<SPAN lang=EN-US>)</SPAN>에서 직접 관할한다<SPAN lang=EN-US>. <o:p></o:p></SPAN></FONT></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FONT color=#000000>오늘날 절의 명칭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SPAN lang=EN-US>“</SPAN>사<SPAN lang=EN-US>(</SPAN>寺<SPAN lang=EN-US>)”</SPAN>는 원래 중국 관청의 부서 명칭이었던 것이 절 이름으로 통용되게 되었다<SPAN lang=EN-US>. </SPAN>그 유래를 살펴보면<SPAN lang=EN-US>, </SPAN>후한<SPAN lang=EN-US>(</SPAN>後漢<SPAN lang=EN-US>) </SPAN>명제<SPAN lang=EN-US>(</SPAN>明帝<SPAN lang=EN-US>) </SPAN>때<SPAN lang=EN-US>(AD 67</SPAN>년<SPAN lang=EN-US>) </SPAN>인도의 가섭마등과 축법란이라는 두 스님이 흰 말에 불경을 싣고 와서 불교를 전했는데,<SPAN lang=EN-US> 후한 조정에</SPAN>서는 두 스님이 외국인이므로 외국인을 위한 관청인 홍려사<SPAN lang=EN-US>(</SPAN>鴻廬寺<SPAN lang=EN-US>)</SPAN>에 머물도록 하였다<SPAN lang=EN-US>. <o:p></o:p></SPAN></FONT></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FONT color=#000000>인도에서 오신 두 스님은 그 후 중국에 오래 머물게 되었는데, 마땅히 계실 곳이 따로 없으므로 홍려사에 계속 머물게 하고<SPAN lang=EN-US>, </SPAN>숙소 이름을 백마사<SPAN lang=EN-US>(</SPAN>白馬寺<SPAN lang=EN-US>)</SPAN>로 바꿨다<SPAN lang=EN-US>. 백마사라는 이름은 두 스님이 타고 온 흰말에서 따온 것이다. </SPAN>이것이 중국 불교 사원의 효시가 되었으며<SPAN lang=EN-US>, </SPAN>그 뒤로 중국에서는 불도를 수행하는 스님들의 거처를 사<SPAN lang=EN-US>(</SPAN>寺<SPAN lang=EN-US>)</SPAN>로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SPAN lang=EN-US>.<o:p></o:p></SPAN></FONT></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FONT color=#000000>정사<SPAN lang=EN-US>(</SPAN>精舍<SPAN lang=EN-US>)</SPAN>는 부처님 당시의 죽림정사<SPAN lang=EN-US>(</SPAN><SPAN lang=EN-US>Venuvana-vihara)</SPAN>나 기원정사<SPAN lang=EN-US>(</SPAN><SPAN lang=EN-US>Jetavana-vi-hāra) </SPAN>같은 명칭에서 비롯되었다<SPAN lang=EN-US>. </SPAN>산스크리트어로 절은 <SPAN lang=EN-US>“</SPAN>비하라<SPAN lang=EN-US>”, “</SPAN>상가라마<SPAN lang=EN-US>”, “</SPAN>아란야<SPAN lang=EN-US>” </SPAN>등으로 표현하며, <SPAN lang=EN-US>“</SPAN>비하라<SPAN lang=EN-US>”</SPAN>는 번역하면 유행처<SPAN lang=EN-US>(</SPAN>遊行處<SPAN lang=EN-US>), “</SPAN>상가라마<SPAN lang=EN-US>”</SPAN>는 음역하여 승가람<SPAN lang=EN-US>(</SPAN>僧伽藍 또는 가람<SPAN lang=EN-US>)</SPAN>이라 하지만 모두 정사로 번역된다<SPAN lang=EN-US>. </SPAN>정사는 <SPAN lang=EN-US>“</SPAN>수행에 힘쓰는 사람들이 머무는 곳<SPAN lang=EN-US>”</SPAN>이라는 뜻. 인도의 죽림정사나 기원정사는 천수백명을 수용하는 큰 절이었으나, 우리나라의 정사는 대개 규모가 작다.<SPAN lang=EN-US> <o:p></o:p></SPAN></FONT></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아란야<SPAN lang=EN-US>”</SPAN>는 우리말로 <SPAN lang=EN-US>“</SPAN>난야<SPAN lang=EN-US>(</SPAN>蘭若<SPAN lang=EN-US>)”</SPAN>라고 적는데 산속<SPAN lang=EN-US> </SPAN>또는 들판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으며<SPAN lang=EN-US>, </SPAN>스님들이 머물며 수행하기 좋은 고요한 처소를 의미한다<SPAN lang=EN-US>. </SPAN>우리나라에서 <SPAN lang=EN-US>“</SPAN>난야<SPAN lang=EN-US>”</SPAN>라는 이름을 가진 절은 매우 드물지만 영천 은해사<SPAN lang=EN-US>(</SPAN>銀海寺<SPAN lang=EN-US>) </SPAN>운부암<SPAN lang=EN-US>(</SPAN>雲浮庵<SPAN lang=EN-US>)</SPAN>에 운부난야<SPAN lang=EN-US>(</SPAN>雲浮蘭若<SPAN lang=EN-US>)</SPAN>가 있고<SPAN lang=EN-US>, </SPAN>우리가<SPAN lang=EN-US> 7</SPAN>월에 갈 월정사 경내에 영감난야<SPAN lang=EN-US>(</SPAN>靈鑑蘭若<SPAN lang=EN-US>)</SPAN>가 있다<SPAN lang=EN-US>. </SPAN>위 사진은 수덕사 일주문과 운부난야의 현판이다<SPAN lang=EN-US>. <o:p></o:p></SPAN></SPAN></FONT></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절<SPAN lang=EN-US>”</SPAN>과 더불어 총림<SPAN lang=EN-US>(</SPAN>叢林<SPAN lang=EN-US>)</SPAN>이라는 명칭이 있다<SPAN lang=EN-US>. </SPAN>총림은 숲처럼 많은 스님들이 모여서 규율을 바르게 지키고<SPAN lang=EN-US>, </SPAN>서로 화합하여 도를 닦는 곳이라는 뜻인데<SPAN lang=EN-US>, </SPAN>우리나라에서는 일반적으로 종합수련원을 의미한다<SPAN lang=EN-US>. </SPAN>즉<SPAN lang=EN-US>, </SPAN>선을 수련하는 선원(禪院)과 교학을 공부하는 강원<SPAN lang=EN-US>(</SPAN>講院<SPAN lang=EN-US>), </SPAN>율을 공부하는 율원<SPAN lang=EN-US>(</SPAN>律院<SPAN lang=EN-US>) </SPAN>등의 시설을 갖춘 곳을 말하며 사찰의 명칭은 아니다<SPAN lang=EN-US>. </SPAN>총림을 설치하려면 종단에서 인정을 받아야 한다<SPAN lang=EN-US>. <o:p></o:p></SPAN></SPAN></FONT></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FONT color=#000000>우리 조계종단에는 <SPAN style="FONT-SIZE: 11pt">불</SPAN><SPAN style="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SIZE: 11pt">법</SPAN><SPAN style="FONT-SIZE: 11pt">·</SPAN><SPAN style="FONT-SIZE: 11pt">승</SPAN><SPAN lang=EN-US>(</SPAN>佛法僧<SPAN lang=EN-US>)</SPAN>을 상징하는 삼보사찰<SPAN lang=EN-US>(</SPAN>三寶寺刹<SPAN lang=EN-US>)</SPAN>이 있다<SPAN lang=EN-US>. </SPAN>양산 통도사는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시고 있어서 불보사찰<SPAN lang=EN-US>(</SPAN>佛寶寺刹<SPAN lang=EN-US>), </SPAN>합천 해인사는 팔만대장경판을 모시고 있어 법보사찰<SPAN lang=EN-US>(</SPAN>法寶寺刹<SPAN lang=EN-US>), </SPAN>순천 송광사는 고승<SPAN lang=EN-US>(</SPAN>高僧<SPAN lang=EN-US>)</SPAN>을 많이 배출하여 승보사찰<SPAN lang=EN-US>(</SPAN>僧寶寺刹<SPAN lang=EN-US>)</SPAN>로 일컫는다<SPAN lang=EN-US>. <o:p></o:p></SPAN></FONT></SPAN></P><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face=바탕 color=#000000 size=2>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20%"><SPAN lang=EN-US style="LINE-HEIGHT: 120%; mso-bidi-font-size: 10.0pt"></SPAN> </P></FONT></SPAN>
<P> </P>
<P>
<P align=center><SPAN style="FONT-FAMILY: Batang"><SPAN style="FONT-SIZE: 11pt"> </SPAN></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size=+0><FONT color=#112a75><STRONG><SPAN><SPAN style="FONT-FAMILY: Batang"><SPAN style="FONT-SIZE: 11pt">♬ Karuna Reiki의 명상음악 "Halu"</SPAN></SPAN></SPAN></STRONG></FONT></FONT></SPAN></P></TD></TR></TBODY></TABLE></P>
<P><embed src="http://vzs3ua.bay.livefilestore.com/y1pmXXELvjPSKltWBy38ybijGR5uzWVjZo7KV75Oz7ZWyFLyVz3bkDZpAsnYXXGaZDzg0VBVm65dvhIFylklVITQIjh0Gm1RCpC/02_-_Halu.wma?download" width="300" height="41" hidden="true" type="audio/mpeg" volume="0" loop="TRUE" autostart="true" invokeurls="false"></P>
댓글목록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선배님! 무어라 감사의 말씀을 전할지?
왕오천축국전은 화제의 대상이었습니다.
몇명만 모여도 사진,배경음악 그리고 풀어쓰신 글
그리고 멀고 험한길을 다녀 오신 혜초스님의 노고가
1000년의 세월이 지난 지금 모두 고개를 숙였습니다.
혜초스님께서 많이 고마워 하실 것입니다.
이대 대학원시절 100점 맞은 과목이 있습니다.
F학점을 각오하고
교수님 강의내용과는 전혀 상관없는 내 어머니로 부터 받은 교육내용을 A4용지에 5장썼습니다. 내 생애 마지막 100점이 아닌가 합니다. 요즘은 또 다른 가르침에 눈을 뜹니다.
분명 지금까지의 세상과는 다른 세상으로 건너 온것 같습니다.
법의 향기에 취하고 사람의 향기에 취해 지냅니다.
<절에 머물기>
함께 동참해서 때론 선정에 들기도 하고
삼매도 경험하고
때론
깊은 산중 암자에서 바람소리 물소리 벗삼아
자연이고 싶습니다.
smallpond님의 댓글
smallpond 작성일
새로운 것을 배운다는 것
이처럼 기분이 좋은 것이 또 있을까요?
혹 병이라 할지라도
모자람을 채우고자 하는 마음 또한
작은 구도의 길일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거듭 거듭 배움의 길을 열어주시는
윤제철 선배님께 감사의 말씀을 올립니다.
물소리가 시원합니다.
바닷물인 듯해요. 아니어도 물소리는 여전히 시원하고.
지평선이 보이는 고향,
친구들이 고기잡으러 배타고 나가는 곳,
늙으신 어머니 모시고
갯가에 숙소를 정했는데
구부러진 허리로
부처님께 삼배도 못하겠다고 하시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