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머물기 (8) 예불 > 자유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참여마당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절에 머물기 (8) 예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제철 작성일2009.06.06 조회3,609회 댓글4건

본문

<P>
<TABLE style="WIDTH: 749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258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49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dadada 0px solid; BORDER-TOP: #dadada 0px solid; BORDER-LEFT: #dadada 0px solid; BORDER-BOTTOM: #dadada 0px solid" width="100%"><SPAN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color=#000000><SPAN lang=EN-US>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7.2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절에서의 하루 일과는 아침예불로 시작하여 저녁예불로 끝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SPAN lang=EN-US>. </SPAN>예불의식은 다른 의식과 달리 절 내의 스님들이 모두 참석할 정도로 매우 중요한 의식이다<SPAN lang=EN-US>. </SPAN>부처님을 공경하여 인사 올리는 것을 모두 예불<SPAN lang=EN-US>(</SPAN>禮佛<SPAN lang=EN-US>)</SPAN>이라 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아침 저녁 법당에서 올리는 예불을 의미한다<SPAN lang=EN-US>. <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7.2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아침예불은 예불에 앞서 도량석<SPAN lang=EN-US>(</SPAN>道場釋<SPAN lang=EN-US>)</SPAN>과 종송<SPAN lang=EN-US>(</SPAN>鍾頌<SPAN lang=EN-US>)</SPAN>이 행해진다<SPAN lang=EN-US>. </SPAN>도량석이란 스님이 남보다 일찍 일어나 도량을 돌며 염불을 하는 것을 말한다<SPAN lang=EN-US>. </SPAN>염불은 주로 천수경을 염송하는데 나무아미타불<SPAN lang=EN-US>, </SPAN>관세음보살 등을 창<SPAN lang=EN-US>(</SPAN>唱<SPAN lang=EN-US>)</SPAN>하기도 하고<SPAN lang=EN-US>, </SPAN>화엄경 약찬게나 금강경을 독송하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도량 내 잡귀를 몰아내어 맑게 하고<SPAN lang=EN-US>, </SPAN>중생의 잠을 깨워 부처님의 위신력에 귀의하게 하는 의식이다<SPAN lang=EN-US>. </SPAN>도량석 목탁소리는 사내<SPAN lang=EN-US>(</SPAN>寺內<SPAN lang=EN-US>) </SPAN>대중들이 놀라지 않고 잠에서 깨어나도록 작게 시작하여 점점 크게 친다<SPAN lang=EN-US>.</SPAN></SPAN><SPAN lang=EN-US style="COLOR: black; LINE-HEIGHT: 140%; mso-bidi-font-size: 10.0pt"><FONT face=바탕 size=2> </FONT></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도량석에 쓰이는 목탁은 보통 목탁보다 대여섯 배 이상 크고 무겁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7.2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도량석이 끝나면 종송<SPAN lang=EN-US>(</SPAN>鍾頌<SPAN lang=EN-US>, </SPAN>혹은 쇳송<SPAN lang=EN-US>)</SPAN>이 시작된다<SPAN lang=EN-US>. </SPAN>종송이란 법당 내 소종<SPAN lang=EN-US>(</SPAN>小鐘<SPAN lang=EN-US>) </SPAN>또는 金鼓<SPAN lang=EN-US>(</SPAN>금고<SPAN lang=EN-US>)</SPAN>를 치면서 게송<SPAN lang=EN-US>(</SPAN>偈頌<SPAN lang=EN-US>)</SPAN>을 창하는 것인데<SPAN lang=EN-US>, </SPAN>아침 종송은 원차종성변법계<SPAN lang=EN-US>(</SPAN>願此鐘聲遍法界<SPAN lang=EN-US>), </SPAN>철위유암실개명<SPAN lang=EN-US>(</SPAN>鐵圍幽暗悉皆明<SPAN lang=EN-US>) ... 으로 시작되는 게송에 이어<SPAN lang=EN-US>, </SPAN>극락세계 십종장엄<SPAN lang=EN-US>, </SPAN>석가여래 팔상성도<SPAN lang=EN-US>, </SPAN>오종대은 명심불망 등 장엄염불이 이어진다<SPAN lang=EN-US>. </SPAN>종을 칠 때는 작고 빠르게 시작하여 점차 크고 천천히 치다가 다시 작고 빠르게 변하기를 반복한다<SPAN lang=EN-US>. </SPAN>염불은 고저장단을 변화시켜가며 구성지게 하시는 스님이 많다. 장엄염불이 끝나면 법고<SPAN lang=EN-US>, </SPAN>목어<SPAN lang=EN-US>, </SPAN>운판<SPAN lang=EN-US>, </SPAN>범종<SPAN lang=EN-US>(</SPAN>大鐘<SPAN lang=EN-US>)</SPAN>의 사물을 차례로 울린다<SPAN lang=EN-US>. </SPAN>아침 예불에는 범종을<SPAN lang=EN-US> 28</SPAN>번 친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종성이 끝나면 목탁소리가 울리며 예불이 시작된다<SPAN lang=EN-US>. </SPAN>예불은 먼저 상단<SPAN lang=EN-US>(</SPAN>上壇<SPAN lang=EN-US>)</SPAN>에 부처님을 향하여 오분향례<SPAN lang=EN-US>(</SPAN>五分香禮<SPAN lang=EN-US>)</SPAN>를 함으로써 부처님과<SPAN lang=EN-US>, </SPAN>부처님의 가르침과 부처님 제자와 모든 선지식과 스님들께 예배를 드린다<SPAN lang=EN-US>. </SPAN>오분향례는 계향<SPAN lang=EN-US>(</SPAN>戒香<SPAN lang=EN-US>), </SPAN>정향<SPAN lang=EN-US>(</SPAN>定香<SPAN lang=EN-US>), </SPAN>혜향<SPAN lang=EN-US>(</SPAN>慧香<SPAN lang=EN-US>), </SPAN>해탈향<SPAN lang=EN-US>(</SPAN>解脫香<SPAN lang=EN-US>), </SPAN>해탈지견향<SPAN lang=EN-US>(</SPAN>解脫知見香<SPAN lang=EN-US>) … </SPAN>으로 시작된다<SPAN lang=EN-US>. </SPAN>오분향례 대신 다게<SPAN lang=EN-US>(</SPAN>茶偈<SPAN lang=EN-US>)</SPAN>를 하기도 하는데<SPAN lang=EN-US>, </SPAN>다게는 아금청정수<SPAN lang=EN-US>(</SPAN>我今淸淨水<SPAN lang=EN-US>), </SPAN>변위감로다<SPAN lang=EN-US>(</SPAN>變位甘露茶<SPAN lang=EN-US>), </SPAN>봉헌삼보전<SPAN lang=EN-US>(</SPAN>奉獻三寶前<SPAN lang=EN-US>), </SPAN>원수애납수<SPAN lang=EN-US>(</SPAN>願垂哀納受<SPAN lang=EN-US>) … </SPAN>로 시작된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오분향례에 이어 행선축원<SPAN lang=EN-US>(</SPAN>行禪祝願<SPAN lang=EN-US>)</SPAN>을 한다<SPAN lang=EN-US>. </SPAN>행선축원이란 부처님께 나라와 백성이 평안하기를 기원하고<SPAN lang=EN-US>, </SPAN>수행과 중생교화에 힘쓸 것을 발원하는 것을 말한다<SPAN lang=EN-US>. </SPAN>행선축원에는 나옹선사의 발원문이 많이 쓰이는데<SPAN lang=EN-US>, </SPAN><SPAN style="mso-bidi-font-weight: bold">조석향등헌불전<SPAN lang=EN-US>(</SPAN>朝夕香燈獻佛前<SPAN lang=EN-US>), </SPAN>귀의삼보예금선<SPAN lang=EN-US>(</SPAN>歸依三寶禮金仙<SPAN lang=EN-US>) … </SPAN>으로 시작된다<SPAN lang=EN-US>. </SPAN></SPAN>상단에 대한 예불이 끝나면 이어서 신중단에 대한 예불을 한다<SPAN lang=EN-US>. </SPAN>신중단에 대한 예불문이 별도로 있기도 하나<SPAN lang=EN-US>, </SPAN>대부분 반야심경을 봉독하는 것으로 대신한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저녁예불은 아침예불에 비해 간단하다<SPAN lang=EN-US>. </SPAN>예불 전에 도량석을 행하지 않고<SPAN lang=EN-US>, </SPAN>종성과 사물 울림이 행해진다<SPAN lang=EN-US>. </SPAN>종송은 <SPAN lang=EN-US>5</SPAN>번의 타종과 함께 문종성번뇌단<SPAN lang=EN-US>(</SPAN>聞鐘聲煩惱斷<SPAN lang=EN-US>), </SPAN>지혜장보리생<SPAN lang=EN-US>(</SPAN>智慧長菩提生<SPAN lang=EN-US>) … </SPAN>의 짧은 게송을 창하고<SPAN lang=EN-US>, </SPAN>사물은 법고<SPAN lang=EN-US>, </SPAN>운판<SPAN lang=EN-US>, </SPAN>목어<SPAN lang=EN-US>, </SPAN>범종의 순으로 울린다<SPAN lang=EN-US>. </SPAN>저녁예불 범종은<SPAN lang=EN-US> 33</SPAN>번 타종한다<SPAN lang=EN-US>. </SPAN>아침예불에는 오분향례 대신 다게를 하기도 하나<SPAN lang=EN-US>, </SPAN>저녁예불에는 반드시 오분향례를 한다<SPAN lang=EN-US>. </SPAN>저녁예불에는 행선축원을 하지 않는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점심 때는 사시마지를 올리는데<SPAN lang=EN-US>, </SPAN>아침∙저녁 예불과 사시마지를 포함하여 삼시<SPAN lang=EN-US>(</SPAN>三時<SPAN lang=EN-US>)</SPAN>예불이라고 한다<SPAN lang=EN-US>. </SPAN>사시마지는 매일 사시<SPAN lang=EN-US>(</SPAN>巳時<SPAN lang=EN-US>, </SPAN><?xml:namespace prefix = st1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smarttags" /><st1:time w:st="on" o:ls="trans" Hour="9" Minute="0">오전<SPAN lang=EN-US> 9</SPAN>시</st1:time><SPAN lang=EN-US>~<st1:time w:st="on" o:ls="trans" Hour="11" Minute="0">11<SPAN lang=EN-US><SPAN lang=EN-US>시</SPAN></SPAN></st1:time>)</SPAN>에 부처님께 마지<SPAN lang=EN-US>(</SPAN>摩旨<SPAN lang=EN-US>, </SPAN>부처님께 올리는 밥<SPAN lang=EN-US>)</SPAN>를 올리는 헌공<SPAN lang=EN-US>(</SPAN>獻供<SPAN lang=EN-US>)</SPAN>의식을 말한다<SPAN lang=EN-US>. </SPAN>현재 각 절에서 행해지는 관음재일<SPAN lang=EN-US>, </SPAN>지장재일<SPAN lang=EN-US>, </SPAN>초파일 봉축식<SPAN lang=EN-US>, </SPAN>기도 입재식과 회향식 등 각종 의식은 대부분 이 헌공의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SPAN lang=EN-US>. </SPAN>마지 전에는 조석예불 때처럼 사물<SPAN lang=EN-US>(</SPAN>四物<SPAN lang=EN-US>)</SPAN>을 울리지 않고<SPAN lang=EN-US>, </SPAN>법당 내 소종<SPAN lang=EN-US>(</SPAN>小鐘<SPAN lang=EN-US>)</SPAN>만 울려 공양시간을 알린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부처님 전에 올리는 공양물은 향<SPAN lang=EN-US>, </SPAN>초<SPAN lang=EN-US>, </SPAN>꽃<SPAN lang=EN-US>, </SPAN>청정수<SPAN lang=EN-US>, </SPAN>음식으로 한다<SPAN lang=EN-US>. </SPAN>음식은 마지<SPAN lang=EN-US>(</SPAN>밥<SPAN lang=EN-US>)</SPAN>과 반찬<SPAN lang=EN-US>, </SPAN>과일과 떡으로 하되<SPAN lang=EN-US>, </SPAN>짜거나 매운 음식은 올리지 않는다<SPAN lang=EN-US>. </SPAN>헌공의식은 십여 가지의 순서가 있지만<SPAN lang=EN-US>, </SPAN>크게 나누어 보면 불보살님에 대한 예경<SPAN lang=EN-US>, </SPAN>천수경 독송<SPAN lang=EN-US>, </SPAN>부처님 초청<SPAN lang=EN-US>, </SPAN>권공<SPAN lang=EN-US>(</SPAN>勸供<SPAN lang=EN-US>, </SPAN>공양을 권하여 올림<SPAN lang=EN-US>), </SPAN>축원<SPAN lang=EN-US>, </SPAN>신중단 퇴공<SPAN lang=EN-US>(</SPAN>退供<SPAN lang=EN-US>)</SPAN>의 순으로 진행된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이들 순서 중 천수경을 독송하는 것은 관세음보살님을 찬탄하고<SPAN lang=EN-US>, </SPAN>참회와 발원을 하며<SPAN lang=EN-US>, </SPAN>신묘장구대다라니를 염송함으로써 자기 자신과 도량을 맑히기 위한 것이다<SPAN lang=EN-US>. </SPAN>권공의식으로 예불과 비슷한 예참<SPAN lang=EN-US>(</SPAN>禮懺<SPAN lang=EN-US>)</SPAN>을 하게 되는데<SPAN lang=EN-US>, </SPAN>예참문에서는 지심귀명례<SPAN lang=EN-US>(</SPAN>至心歸命禮<SPAN lang=EN-US>)</SPAN>가 지심정례공양<SPAN lang=EN-US>(</SPAN>至心頂禮供養<SPAN lang=EN-US>)</SPAN>으로<SPAN lang=EN-US>, </SPAN>대자대비 수아정례<SPAN lang=EN-US>(</SPAN>受我頂禮<SPAN lang=EN-US>)</SPAN>가 대자대비 수차공양<SPAN lang=EN-US>(</SPAN>受此供養<SPAN lang=EN-US>)</SPAN>으로 바뀐다<SPAN lang=EN-US>. </SPAN>신중단 퇴공은 상단에 올렸던 공양물을 물려 신중단에 올리는 것을 말한다<SPAN lang=EN-US>. </SPAN>신중단에 대하여는 상단에서의 차례를 다 지키기도 하지만 대개 반야심경 독송으로 대신한다<SPAN lang=EN-US>. </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 lang=EN-US></SPAN></SPAN>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7.2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 align=center><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 lang=EN-US><STRONG><FONT color=#112a75><SPAN style="FONT-SIZE: 10pt"><SPAN style="FONT-FAMILY: Batang"><SPAN style="FONT-SIZE: 11pt">♬ 예불음악 오분향례</SPAN></SPAN></SPAN></FONT></STRONG></SPAN></SPAN></SPAN></FONT></SPAN></P></TD></TR></TBODY>
<P></P></TABLE>
<P> 
<CENTER><embed src="http://buruna.buddhism.org/cgi/dbase/./board/media/upfile/yebul2.mp3" width="300" height="41" hidden="true" autostart="true" loop="TRUE" volume="0"></CENTER>
<P> </P>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올리신 귀한 글을 대하며
저는 나름대로 자신을 되돌아 보기도 하고
추억으로 묻어 두었던 잔잔한 시간들도 생각나고
그 때는 단지 무서웠는데
그게 그거였구나 하는 생각도 해 봅니다.
20년도 훨씬 전 전등사에서
고등학교 고불지도교사셨던
음악선생님게서
"손주야 신장님 소리가 들리지 않니?
 지금 신장님들께서 경내를 돌고 계셔."
그 때는 무척 무서웠는데
기도 많이 하시는 그 분께는 보이기도 하고
들리기도 했겠구나
생각합니다.
남편이 요즘 저보고 많이 성숙했다고 합니다.

smallpond님의 댓글

smallpond 작성일


願此鐘聲遍法界
鐵圍幽暗悉皆明

오직 나의 어리석음을 깨닫고
작은 힘으로도 삶의 현장에서
도움이 될 수 있는 길을
가고자 가고자 다짐하나이다.

이태경님의 댓글

이태경 작성일

대불동문회 선배님들을 홈피속에서나마
만나는 나는
진정 행복한 사람입니다.
삶의 진실을 따르겠습니다.

옥 천님의 댓글

옥 천 작성일

직장에서 올리는 예불은
또 무엇입니까?
오늘은 직장동료들에게
"모두 조용히 하고 함께 동참!!"

 


CONTACT US

  •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총동문회
  • ADDRESS.(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013호
  • TEL.02-720-1963
  • FAX.02-722-5963
  • Email.daebul333@naver.com
Copyright ⓒ 2011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