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머물기 (7) 자세와 동작 > 자유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참여마당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절에 머물기 (7) 자세와 동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제철 작성일2009.06.02 조회3,583회 댓글6건

본문

<P>
<TABLE style="WIDTH: 746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060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46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e8e8e8 1px solid; BORDER-TOP: #e8e8e8 1px solid; BORDER-LEFT: #e8e8e8 1px solid; BORDER-BOTTOM: #e8e8e8 1px solid" width="10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color=#000000>
<P>  <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우리 불자들은 평상시에도 몸과 마음 가짐을 바르게 해야 하지만<SPAN lang=EN-US>, </SPAN>특히 절에서는 수행자로서 겸허하고 단정한 자세를 가져야 한다<SPAN lang=EN-US>. </SPAN>절에서 취할 수 있는 자세와 동작으로는 서 있는 자세<SPAN lang=EN-US>, </SPAN>앉아 있는 자세<SPAN lang=EN-US>, </SPAN>걷는 동작<SPAN lang=EN-US>, </SPAN>앉고 서는 동작<SPAN lang=EN-US>, </SPAN>절하는 동작 등이 있고<SPAN lang=EN-US>, </SPAN>손가짐으로는 합장과 차수가 있다<SPAN lang=EN-US>.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7.2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8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차수<SPAN lang=EN-US>(</SPAN>叉手<SPAN lang=EN-US>)</SPAN></SPAN></B><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는 두 손을 자연스럽고 공손하게 마주잡는 것을 말한다<SPAN lang=EN-US>. </SPAN>오른손 바닥 위에 왼손 손등을 포개고 양손의 엄지손가락이 교차되도록 하는데<SPAN lang=EN-US>, </SPAN>서 있을 때는 단전 위에 놓고<SPAN lang=EN-US>, </SPAN>앉아 있을 때는 무릎 위에 놓는다<SPAN lang=EN-US>. </SPAN>절 안에서는 일반적으로 차수의 자세를 하고 있다가<SPAN lang=EN-US>, </SPAN>절을 하거나 법회 의식이 있을 때에 합장의 자세로 전환하고<SPAN lang=EN-US>, </SPAN>절이나 의식이 끝나면 다시 차수의 자세로 전환한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8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합장<SPAN lang=EN-US>(</SPAN>合掌<SPAN lang=EN-US>)</SPAN></SPAN></B><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은 두 손바닥을 마주 합하는 것을 말한다<SPAN lang=EN-US>. </SPAN>두 손의 손가락을 펴서 모두 붙이고<SPAN lang=EN-US>, </SPAN>손바닥이 서로 밀착시키는데<SPAN lang=EN-US>, </SPAN>서 있을 때나 앉아 있을 때나 모두 가슴 위에 위치한다<SPAN lang=EN-US>. </SPAN>합장을 할 때는 두 손의 손끝이 곧바로 위를 향하게 하고<SPAN lang=EN-US>, </SPAN>두 팔은 일직선이 되도록 수평을 이루게 하며<SPAN lang=EN-US>, </SPAN>손과 가슴의 간격은 주먹 하나가 들어갈 정도로 한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합장은 마음을 한군데 모아 경건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SPAN lang=EN-US>, </SPAN>지나치게 경직된 자세보다는 자연스러운 몸가짐이 되도록 한다<SPAN lang=EN-US>. </SPAN>합장한 손은 불필요하게 좌우 또는 아래위로 흔들지 말아야 한다<SPAN lang=EN-US>. </SPAN>차수에서 합장으로 들어 갈 때 양손을 높이 올리며 큰 원을 그리는 것은 올바른 합장 동작이 아니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7.2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법회가 진행되는 동안<SPAN lang=EN-US>, </SPAN>혹은 법당 안에서 기도를 하는 동안<SPAN lang=EN-US>, </SPAN>서 있던 자세에서 앉기도 하고<SPAN lang=EN-US>, </SPAN>앉아 있던 자세에서 일어서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이 때 자칫하면 동작이 어정쩡하게 되고<SPAN lang=EN-US>, </SPAN>따라서 마음도 산란해지기 쉽다<SPAN lang=EN-US>. 먼저, </SPAN></SPAN><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서 있던 자세에서 앉으려면</SPAN></B><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우선 손을 모아 합장을 하고 큰 절을 하여 두 손과 팔꿈치, 이마를 바닥에 닿게 한다. 그 상태에서 상체만 일으켜 앉으면서 합장하여 반배를 하면 된다<SPAN lang=EN-US>. </SPAN>그렇게 하면 자연히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상태가 되는데<SPAN lang=EN-US>, </SPAN>그 후에는 형편에 따라 가부좌<SPAN lang=EN-US>, </SPAN>또는 반가부좌의 자세로 변환하면 된다<SPAN lang=EN-US>. </SPAN><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앉아 있던 자세에서 일어서려면</B> 우선 무릎을 꿇고 합장한 자세를 취한 다음<SPAN lang=EN-US>, </SPAN>이마와 두 손을 바닥에 대고 큰 절을 하면서 일어선다. 그리고 반배를 한다.</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7.2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불자들은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들과 다른<SPAN lang=EN-US>, </SPAN>어딘가 기품 있는 자세를 보이는 수가 많은데 이는 특히 앉아 있는 자세에서 나타난다<SPAN lang=EN-US>. </SPAN>앉아 있는 자세는 결가부좌나 반가부좌와 같은 참선자세와 꿇어 앉기<SPAN lang=EN-US>, </SPAN>장궤<SPAN lang=EN-US>(</SPAN>長跪<SPAN lang=EN-US>), </SPAN>우슬착지<SPAN lang=EN-US>(</SPAN>右膝着地<SPAN lang=EN-US>) </SPAN>등의 자세가 있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8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결가부좌<SPAN lang=EN-US>(</SPAN>結跏趺坐<SPAN lang=EN-US>)</SPAN></SPAN></B><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는 오른쪽 발을 왼쪽 넓적다리 위에 올려 놓되 왼쪽 발을 끌어 올려서 발바닥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오른쪽 발과 교차시키는 자세이다<SPAN lang=EN-US>. </SPAN>이때 두 무릎은 모두 바닥<SPAN lang=EN-US>(</SPAN>좌복<SPAN lang=EN-US>)</SPAN>에 밀착되도록 하고<SPAN lang=EN-US>, </SPAN>두 발은 모두 하복부에 가까이 붙도록 하며<SPAN lang=EN-US>, </SPAN>허리는 수직이 되도록 바르게 세워야 한다<SPAN lang=EN-US>. </SPAN>손은 차수 자세에서 두 엄지손가락 끝을 맞붙게 한다<SPAN lang=EN-US>.(</SPAN>法界定印<SPAN lang=EN-US>)<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그러나 이 자세는 익숙해지기가 쉽지 않으므로 초심자들은 조금 수월한 방법으로 반가부좌를 하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반가부좌<SPAN lang=EN-US>(</SPAN>半跏趺坐<SPAN lang=EN-US>)</SPAN></B>는 결가부좌의 자세에서 왼쪽 발 또는 오른쪽 발을 그 반대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 놓기만 하면 된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8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꿇어 앉기</SPAN></B><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는 양 무릎을 모아서 꿇어 앉되<SPAN lang=EN-US>, </SPAN>허리를 곧바로 세우고 몸의 평형을 유지하는 것이다<SPAN lang=EN-US>. </SPAN>이 때 발은 오른발 위에 왼발을<SPAN lang=EN-US> x</SPAN>자로 교차시키는 것이 일반적인데<SPAN lang=EN-US>, </SPAN>그 반대로 하거나 두 발을 나란히 하고 앉아도 무방하다<SPAN lang=EN-US>. </SPAN>장시간 끓어 앉아 있기는 어려우나<SPAN lang=EN-US>, </SPAN>천수경을 독경할 때는 꼭 끓어 앉는 습관을 갖도록 한다<SPAN lang=EN-US>. <SPAN style="mso-spacerun: yes">  </SPAN><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8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장궤<SPAN lang=EN-US>(</SPAN>長跪<SPAN lang=EN-US>)</SPAN></SPAN></B><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는 무릎을 꿇은 자세에서 허벅지와 상체가 수직이 되도록 일으켜 세우고<SPAN lang=EN-US>, </SPAN>두발 끝으로 땅을 버티는 자세이다<SPAN lang=EN-US>. </SPAN>경전에 많이 나오는 <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우슬착지<SPAN lang=EN-US>(</SPAN>右膝着地<SPAN lang=EN-US>)</SPAN></B>는 오른쪽 무릎을 땅에 붙이고<SPAN lang=EN-US>, </SPAN>발끝은 땅을 버티게 하며<SPAN lang=EN-US>, </SPAN>왼쪽 무릎을 세우고 발은 땅을 딛게 하는 자세이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절하는 동작으로는 <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큰절과 반배</B>가 있는데 설명은 생략한다<SPAN lang=EN-US>. </SPAN>다만 큰절을 하려면 양 팔꿈치와 양 무릎과 이마가 땅에 닿게 해야 하므로 오체투지<SPAN lang=EN-US>(</SPAN>五體投地<SPAN lang=EN-US>)</SPAN>라 하는데<SPAN lang=EN-US>, </SPAN>티베트와 같은 나라에서는 배를 땅에 닿게 하고 팔다리를 쭉 뻗으며 온몸으로 오체투지를 한다<SPAN lang=EN-US>. </SPAN>이는 밀교계통에서 절하는 방식이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FONT></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FONT color=#000000><SPAN lang=EN-US><o:p></o:p></SPAN></FONT></SPAN> <SPAN style="FONT-FAMILY: Batang"><SPAN style="FONT-SIZE: 11pt"> </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0.8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 align=center><FONT color=#112a75><FONT size=2><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style="COLOR: blue; LINE-HEIGHT: 140%; mso-bidi-font-size: 10.0pt"></SPAN></B></FONT><B style="mso-bidi-font-weight: normal"><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COLOR: blue;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000099;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font-kerning: 1.0pt;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SPAN lang=EN-US> To </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99;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font-kerning: 1.0pt;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Dori, </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99; FONT-FAMILY: 바탕; mso-bid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font-kerning: 1.0pt;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 mso-hansi-font-family: 'Times New Roman'">Stamatis Spanoudakis </SPAN><SPAN style="FONT-SIZE: 10pt; COLOR: #000099; FONT-FAMILY: 바탕; mso-bidi-font-family: 'Times New Roman'; mso-font-kerning: 1.0pt; mso-ansi-language: EN-US; mso-fareast-language: KO; mso-bidi-language: AR-SA; mso-hansi-font-family: 'Times New Roman'">의 피아노 연주</SPAN></SPAN></B></FONT></P></SPAN></SPAN></TD></TR></TBODY></TABLE></P>
<P><embed src="http://yiboyoung.com/music/new_age/Stamatis_Spanoudakis_To_Dori.mp3" width="300" height="41" hidden="true" type="audio/mpeg" invokeurls="false" autostart="true" loop="TRUE" volume="0"></P>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고등학교 때 지금의 법륜스님(당시최석호법사)님께
5분 늦었다는 이유로 교복입고
자갈밭에 108배 했던기억이납니다.
스타킹은 다 떨어지고 무릅에서는 피가 나도
한배 한배 진심으로 참회하며
했던 참으로 순수했던 그때 기억이 납니다.
지금도 선배님들이 시키시면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글을 대하니 그때 순수했던시절이
그리워집니다.

smallpond님의 댓글

smallpond 작성일


대단하네요.
스타킹이 터지고 무릎에 피가 나도록
108배를 하였습니까?
그것도 자갈밭에서.

오로지 참회하며
어른의 가르침을 그대로 받아드린
마음이 맑습니다.

이지복님의 댓글

이지복 작성일


윤제철 선배님
우슬착지는 어느 경우에 하는 자세인가요?

앉아 있다가 일어서는 자세 바꾸는 과정을
처음 들었습니다.
고맙습니다.

송혜숙님의 댓글

송혜숙 작성일

불교 연수원시절 시험본생각이나내요 

윤제철님의 댓글

윤제철 작성일

우슬착지는 야외나 좁은 공간에서 오체투지로 예를 표하기 어려운 때에 취하는 자세라고 합니다. 현실적으로는 스님이나 어른 앞에 물건을 놓거나 주고 받을 때, 공양할 때 찬상을 들고 내갈 때 이런 자세를 취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이지복님의 댓글

이지복 작성일


윤선배님
고맙습니다.
하나 하나 배움이 늘어납니다.

 


CONTACT US

  •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총동문회
  • ADDRESS.(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013호
  • TEL.02-720-1963
  • FAX.02-722-5963
  • Email.daebul333@naver.com
Copyright ⓒ 2011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