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지하 시인 추모글....추기경님, 가시난닷 다시 오쇼서 ... > 자유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참여마당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김지하 시인 추모글....추기경님, 가시난닷 다시 오쇼서 ...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홍경희 작성일2009.02.22 조회3,129회 댓글0건

본문

[김수환 추기경 추모 물결] 추기경님, 가시난닷 다시 오쇼서
● 김지하 시인 추모글
로만칼라 떼어내고 얘기하자던 그분…
하느님 계신곳 묻자 가슴 가리키던 그분 
 
 1972년 봄, 나는 가톨릭종합잡지 '창조'지의 비어(蜚語) 필화사건으로 마산 가포결핵요양원에 연금돼 있었다. 김수환 추기경님을 처음 만난 것은 그때다. 그때 그곳에서 환자들을 위한 김민기·양희은 두 사람의 음악회가 있었다. 나는 그 음악회장 뒤편에 서서 두 사람의 듀엣을 듣고 있었다. 그때 내 등 뒤에 누군가의 묵직한 걸음이 멈춰서는 것을 느끼고 뒤돌아보니 거기 신문 사진에서 뵌 적이 있는 추기경님이 서 계셨다.

"김 시인이죠?"

"네."

바로 그때다. 추기경님이 당신 목에 감고 계시던 흰 로만칼라를 손으로 확 잡아떼셨다. 깜짝 놀랐다. 가톨릭의 엄연한 권위의 상징인 로만칼라가 아닌가. 왜? 그날 밤 마산교구청장 주교님 방에서 둘은 밤새워 이야기를 나누었다.

"분단된 이 나라에서 가톨릭까지 정부를 반대한다면 큰 혼란이 오지 않겠는가?"

"현 정권은 역사상 최강입니다. 군·재벌·중산층·미국과 일본의 지지 등 막강합니다. 쓰러지지 않습니다. 우리는 참다운 조국통일 역량을 구축해야 합니다. 북한의 소아병적 극좌정권 가지고 통일 논의가 가능하겠습니까? 역량 구축의 방법은 정치훈련이 가장 좋습니다. 그러니 현 정권은 우리의 스파링 파트너인 셈입니다. 쓰러질 염려는 없습니다."

"자네는 머리가 좋은 건가 공부를 많이 했나?"

"둘 다 아닙니다. 상황이 인간을 결정하는 실존적인 경우일 뿐입니다."

"나는 촌사람일세. 그런데 자네는 분명 도시사람. 도시사람이 언제나 일을 저지르지. 하지만 뒷마무리는 꼭 우직한 촌사람이 하더군."

이것이 첫 만남이다. 이어서 여러 가지 기억이 떠오른다. 1973년 봄 우리의 결혼식 주례사에서다.

"부부가 일심합력하는 데엔 비상한 결단이 요구된다. 더욱이 당신들은 예상되는 비바람에 대비하여 참으로 비상한 결단을 해야 할 것이다."

잊히지 않는 말씀이다. 아내가 만삭이 되었을 때 나는 모래내에 숨어 있었다. 피신처에서 밤마다 어린애 울음소리의 환청에 시달렸던 때가 그때다. 아내가 걱정되었다. 어느 날 밤 명동 추기경님 방에 스며들어 간 나는 추기경님께 아내의 성모병원 입원과 출산과정에서의 보호를 부탁드렸다. 흔쾌히 수락하시는 답변을 듣고 돌아서는 내 등 뒤에 와서 꽂히던 한 말씀을 지금도 내내 잊지 못한다.

"어떤 고통 속에서도 한 아이의 아버지란 사실을 잊지 말게."

아아. 내가 이 말씀을 어찌 잊을 수 있겠는가! 영등포 감옥에서 출옥하던 그 추운 겨울 밤 맨 먼저 인사차 찾아온 내 앞에 추기경님이 아무 말씀 없이 내민 것은 한 잔 가득히 따른 위스키였다. 술!

술 좋아하는 내게 그분이 제일 먼저 주신 것은 내가 제일 좋아하는 것이었다. 이 일은 지금도 내게 '대인접물(對人接物)'의 모심의 비밀을 일깨워준다. 재구속되어 꽉 막힌 독방에 갇힌 채 책은 물론 성경조차 주지 않던 나의 적막한 긴 세월을 박 대통령에게 직접 간청해서 예수의 깊은 신비를 접하도록 마음 써주신 것도 그분이다. 나의 어린 아들에게 하느님의 참 거처를 가르쳐주신 것도 또한 그렇다. 아들 원보가 추기경님께 물었다.

"하느님은 어디 계세요?"

"여기."

임이 손으로 가리킨 것은 하늘이 아니라 가슴이었다.

긴 독방살이는 정신착란의 원인이 된다. 어느 날 천장이 내려오고 벽이 다가들어 왔다. 가슴을 쥐어뜯고 허벅지를 꼬집으며 마구 외치고 몸부림치게 되었다.

내가 사활을 건 백일참선을 시작한 것이 바로 그때다. 참선은 이상한 것이어서 극에서 극으로, 새하얀 갈대밭에서 새카만 개골창으로, 극도의 혐오감에서 극도의 육욕으로 왔다갔다하다가 어느 날 그 모든 것이 한꺼번에 사라지는 텅 빈 공백이 드러나 며칠을 지속하다가 또다시 흰빛, 또다시 검은 그늘 사이를 왕래한다. 깨달은 것이 있다면 일체집착은 허망하다는 것. 그 허망함 속에서 동터오는 참빛이 다름아닌 사랑이요 화해요 모심이라는 것.

그 목숨을 건 백일참선이 끝난 바로 그 이튿날 정오 소내(所內) 특별방송은 박정희 대통령의 피살 소식을 전했고, 이튿날 정오 역시 소내 특별방송은 고인의 장례식 뉴스를 전했다. 그 첫 번 추도사가 추기경님이었다. 추기경님의 첫마디는 "인생무상."

나는 지금 집안의 신앙을 따라 동학의 길에 서서 그리스도교와 불교의 융합을 고민한다. 그 고민의 바탕에 '인생무상'이 있고, '인생무상'의 저 아득한 첫 샘물자리에 임의 벗겨져 나간 흰 로만칼라가 하얗게, 새하얗게 빛나고 있다. 부디 잘 가소서. 그리고 '가시난닷 다시 오쇼서.'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NTACT US

  •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총동문회
  • ADDRESS.(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013호
  • TEL.02-720-1963
  • FAX.02-722-5963
  • Email.daebul333@naver.com
Copyright ⓒ 2011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