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오천축국전 (16) 고선지 장군 > 자유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참여마당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왕오천축국전 (16) 고선지 장군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제철 작성일2009.04.26 조회3,287회 댓글2건

첨부파일


본문

<P>
<TABLE style="WIDTH: 746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141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46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e8e8e8 1px solid; BORDER-TOP: #e8e8e8 1px solid; BORDER-LEFT: #e8e8e8 1px solid; BORDER-BOTTOM: #e8e8e8 1px solid" width="100%">
<P><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color=#000000>    <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또 이 나라들은 풍속이 매우 고약하여 결혼을 뒤섞어 하며<SPAN lang=EN-US>, </SPAN>어머니나 자매를 아내로 삼기도 한다<SPAN lang=EN-US>. </SPAN>이것은 페르시아도 마찬가지이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투카라국을 비롯한 카피스국<SPAN lang=EN-US>, </SPAN>바미얀국<SPAN lang=EN-US>, </SPAN>자브리스탄국 같은 나라들은 형제가 열 명이건 다섯 명이건 아내 한 사람을 공동으로 데리고 산다<SPAN lang=EN-US>. </SPAN>각자 결혼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SPAN lang=EN-US>. </SPAN>가계<SPAN lang=EN-US>(</SPAN>家系<SPAN lang=EN-US>)</SPAN>가 파괴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라 한다<SPAN lang=EN-US>.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mso-char-indent-count: 1.0; mso-pagination: widow-orphan; mso-layout-grid-align: none"><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강국에서 동쪽으로 가면 페르가나국<SPAN lang=EN-US>(</SPAN>跋賀那國<SPAN lang=EN-US>)</SPAN>이 있다<SPAN lang=EN-US>. </SPAN>이 나라에는 왕이 둘 있는데<SPAN lang=EN-US>, </SPAN>남쪽 왕은 아라비아<SPAN lang=EN-US>, </SPAN>북쪽 왕은 돌궐의 통치를 받고 있다<SPAN lang=EN-US>. </SPAN>이 나라에서도 낙타<SPAN lang=EN-US>, </SPAN>노새<SPAN lang=EN-US>, </SPAN>양<SPAN lang=EN-US>, </SPAN>말을 기르고<SPAN lang=EN-US>, </SPAN>전포가 생산된다<SPAN lang=EN-US>. </SPAN>음식은 대개 떡과 보리가루를 먹는다<SPAN lang=EN-US>. </SPAN>언어는 다른 나라와 다르며<SPAN lang=EN-US>, </SPAN>불법을 알지 못하고 절도<SPAN lang=EN-US>, </SPAN>스님도 없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mso-char-indent-count: 1.0; mso-pagination: widow-orphan;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페르가나국 동쪽에 코탈<SPAN lang=EN-US>(Khothal)</SPAN>국이 있다<SPAN lang=EN-US>. </SPAN>왕은 돌궐족이지만 백성은 반은 오랑캐족이고<SPAN lang=EN-US>, </SPAN>반은 돌궐족이다<SPAN lang=EN-US>. </SPAN>그 땅에서는 낙타와 노새<SPAN lang=EN-US>, </SPAN>양<SPAN lang=EN-US>, </SPAN>말<SPAN lang=EN-US>, </SPAN>소<SPAN lang=EN-US>, </SPAN>당나귀<SPAN lang=EN-US>, </SPAN>포도<SPAN lang=EN-US>(</SPAN>蒲桃<SPAN lang=EN-US>), </SPAN>전포<SPAN lang=EN-US>, </SPAN>담요 등이 생산된다<SPAN lang=EN-US>. </SPAN>의복은 전포와 가죽으로 만든 옷을 입는다<SPAN lang=EN-US>. </SPAN>언어는 반은 투카라 말이고<SPAN lang=EN-US>, </SPAN>반은 돌권 말이며<SPAN lang=EN-US>, </SPAN>또 반은 그 나라 본토 말을 쓴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mso-char-indent-count: 1.0; mso-pagination: widow-orphan;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왕을 비롯하여 수령이나 백성들이 모두 불교를 숭상한다<SPAN lang=EN-US>. </SPAN>절도 있고<SPAN lang=EN-US>, </SPAN>스님도 있으며<SPAN lang=EN-US>, </SPAN>소승불교를 행한다<SPAN lang=EN-US>. </SPAN>이 나라는 아라비아의 지배를 받고 있는데도<SPAN lang=EN-US>, </SPAN>다른 나라들이 이 나라를 독립국이라 한다<SPAN lang=EN-US>. </SPAN>크기는 중국의<SPAN lang=EN-US> 1</SPAN>개 주<SPAN lang=EN-US>(</SPAN>州<SPAN lang=EN-US>) </SPAN>정도에 불과하다<SPAN lang=EN-US>. </SPAN>이 나라 남자들은 수염과 머리를 깎고<SPAN lang=EN-US>, </SPAN>여자들은 머리를 기른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mso-char-indent-count: 1.0; mso-pagination: widow-orphan;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이 오랑캐나라에서 북쪽으로 가면 북해<SPAN lang=EN-US>, </SPAN>서쪽으로 가면 서해에 이르고<SPAN lang=EN-US>, </SPAN>동쪽으로 가면 중국에 이르는데 모두 돌궐족이 지배하는 경계이다<SPAN lang=EN-US>. </SPAN>이들 돌궐족은 불법<SPAN lang=EN-US>(</SPAN>佛法<SPAN lang=EN-US>)</SPAN>을 잘 몰라 절도 없고 스님도 없다<SPAN lang=EN-US>. </SPAN>의복은 가죽옷과 전포 저고리를 입고<SPAN lang=EN-US>, </SPAN>음식은 고기를 많이 먹는다<SPAN lang=EN-US>. </SPAN>성<SPAN lang=EN-US>(</SPAN>城<SPAN lang=EN-US>)</SPAN>을 쌓지 않고 전포로 천막을 쳐서 집으로 사용한다<SPAN lang=EN-US>. </SPAN>거처를 자유롭게 하여 물가와 초원을 따라 이동하며 산다<SPAN lang=EN-US>. </SPAN>살생을 좋아하고 선과 악을 모른다<SPAN lang=EN-US>. </SPAN>그 땅에는 낙타와 노새<SPAN lang=EN-US>, </SPAN>양<SPAN lang=EN-US>, </SPAN>말 등이 풍족하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mso-char-indent-count: 1.0; mso-pagination: widow-orphan;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이 지역을 다녀온 나는 여기서 고구려 출신의 당나라 장수<SPAN lang=EN-US>, </SPAN>고선지<SPAN lang=EN-US>(</SPAN>高仙芝<SPAN lang=EN-US>) </SPAN>장군 이야기를 적지 않을 수 없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mso-char-indent-count: 1.0; mso-pagination: widow-orphan;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내가 인도대륙과 중앙아시아 지역을 여행할 무렵<SPAN lang=EN-US> (720</SPAN>년대<SPAN lang=EN-US>) </SPAN>사라센<SPAN lang=EN-US>(</SPAN>이슬람<SPAN lang=EN-US>)</SPAN>제국은 페르시아<SPAN lang=EN-US>, </SPAN>아프가니스탄<SPAN lang=EN-US>, </SPAN>파키스탄을 지배하고 중앙아시아에 세력을 확장하고 있었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mso-char-indent-count: 1.0; mso-pagination: widow-orphan;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이 시기 티베트고원에는 토번<SPAN lang=EN-US>(</SPAN>吐蕃<SPAN lang=EN-US>: </SPAN>티베트<SPAN lang=EN-US>)</SPAN>왕국이 일어나 중국과 좋은 관계를 맺고 있다가<SPAN lang=EN-US>, </SPAN>세력이 강해지자 사라센과 손을 잡고<SPAN lang=EN-US>, </SPAN>중앙아시아 지역에 패권을 차지하게 되었다<SPAN lang=EN-US>. </SPAN>서역과의 통로가 끊긴 당<SPAN lang=EN-US>(</SPAN>唐<SPAN lang=EN-US>)</SPAN>은 <SPAN lang=EN-US>747</SPAN>년 고선지 장군을 행영절도사<SPAN lang=EN-US>(</SPAN>行營節度使<SPAN lang=EN-US>)</SPAN>로 발탁하고 토번을 정벌하도록 임무를 주었다<SPAN lang=EN-US>. </SPAN>장군은 군사<SPAN lang=EN-US> 1</SPAN>만 명을 이끌고 파미르 고원을 넘어 토번족의 군사기지인 연운보<SPAN lang=EN-US>(</SPAN>連雲堡<SPAN lang=EN-US>)</SPAN>를 격파하였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mso-char-indent-count: 1.0; mso-pagination: widow-orphan;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장군은 진격을 계속하여 험난하기로 이름난 힌두쿠시 준령을 넘고 소발률국<SPAN lang=EN-US>(</SPAN>지금 파키스탄의 최북부<SPAN lang=EN-US>)</SPAN>의 수도 아노월성<SPAN lang=EN-US>(</SPAN>阿弩越城<SPAN lang=EN-US>)</SPAN>을 점령한 후<SPAN lang=EN-US>, </SPAN>사라센 제국과의 교통로를 차단하였다<SPAN lang=EN-US>. </SPAN>또 소발률국에 <SPAN lang=EN-US>3</SPAN>천 병력을 주둔시켜 당나라와 서역 여러 나라와의 교역이 재개되도록 하였다<SPAN lang=EN-US>. </SPAN>이때 서역 <SPAN lang=EN-US>72</SPAN>개국이 모두 당에 복속되게 되었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mso-char-indent-count: 1.0; mso-pagination: widow-orphan; mso-layout-grid-align: none"><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750</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년에 이르러 사라센의 영향력이 커지자 석국<SPAN lang=EN-US>, </SPAN>토카라 등이 당의 지배를 벗어나려 했다<SPAN lang=EN-US>. </SPAN>당<SPAN lang=EN-US>(</SPAN>唐<SPAN lang=EN-US>) </SPAN>조정은 장군에게 다시 출정명령을 내려 이들 지역을 다시 정벌하도록 하였다<SPAN lang=EN-US>. </SPAN>장군은 군사<SPAN lang=EN-US> 10</SPAN>만명을 거느리고 두 번째 서역정벌에 나서 석국을 점령하고<SPAN lang=EN-US>, </SPAN>계속하여 돌기시<SPAN lang=EN-US>, </SPAN>토카라 등도 정복함으로써 사라센의 영향을 차단했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mso-char-indent-count: 1.0; mso-pagination: widow-orphan;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그러나 이때 석국<SPAN lang=EN-US>(</SPAN>石國<SPAN lang=EN-US>)</SPAN>의 왕자가 도주하여 사라센에 보복을 호소했다<SPAN lang=EN-US>. </SPAN>이에 사라센은 <SPAN lang=EN-US>751</SPAN>년 고선지 장군의 주둔지를 향해 출정했고<SPAN lang=EN-US>, </SPAN>이 소식을 들은 장군은 대식국 공격에 나섰다<SPAN lang=EN-US>. </SPAN>양측은 탈라스강<SPAN lang=EN-US>(</SPAN>현 키르키즈스탄 북서부에 위치<SPAN lang=EN-US>)</SPAN>에서 격돌했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이 싸움에서는 당<SPAN lang=EN-US>(</SPAN>唐<SPAN lang=EN-US>)</SPAN>에 항복하고 있던 한 부족이 배반하여 고장군의 군대가 크게 패했다<SPAN lang=EN-US>.(</SPAN>탈라스 전투<SPAN lang=EN-US>) </SPAN>이 전투 이후 중앙아시아에는 이슬람세력이 확고한 기반을 갖게 되었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mso-char-indent-count: 1.0; mso-pagination: widow-orphan; mso-layout-grid-align: none"><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위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고선지 장군은<SPAN lang=EN-US> 747</SPAN>년부터 <SPAN lang=EN-US>751</SPAN>년까지 이 지역에서 활동했고<SPAN lang=EN-US>, </SPAN>나는<SPAN lang=EN-US> 726</SPAN>년경 투카라국에서 이 지역 나라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었을 뿐이다<SPAN lang=EN-US>. </SPAN>김탁환은 소설<SPAN lang=EN-US><</SPAN>혜초<SPAN lang=EN-US>> </SPAN>속에서 내가 고장군과 만난 것을 가상하여 썼다니 역시 소설은 소설<SPAN lang=EN-US>(</SPAN>픽션<SPAN lang=EN-US>)</SPAN>이다<SPAN lang=EN-US>. </SPAN>읽어보지는 않았으나 재미 있을 것 같다.<P>
<P align=center><SPAN style="FONT-FAMILY: Batang"><SPAN style="FONT-SIZE: 11pt"> </SPAN></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size=+0><FONT color=#112a75><STRONG><SPAN><SPAN style="FONT-FAMILY: Batang"><SPAN style="FONT-SIZE: 11pt">♬ </SPAN></SPAN><FONT face=돋움 size=2><SPAN style="FONT-FAMILY: Batang"><SPAN style="FONT-SIZE: 11pt">영화 글래디에이터 OST</SPAN></SPAN></FONT></SPAN></STRONG></FONT></FONT></SPAN></P></TD></TR></TBODY></TABLE></P>
<P><embed
src=http://wsm.ezsitedesigner.com/share/scrapbook/27/274741/Gladiator_-_Enya_-_Now_We_Are_Free.mp3?unique_id=1129911722953
 width="300" height="41" hidden="true" volume="0" loop="TRUE" autostart="true"></P>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역사 속에는 많은 영웅들이 있지만
이름없이 사라지는 이
민초들 가슴속에 남아
역사와 함께하는 영웅
한시대만 반짝하고 빛나는 이
한 부족 또는 한나라에만 해당 되는 영웅이 있다.

난 감히
혜초 스님을 인류역사에 길이 남을 영웅이라 말하고 싶다.
통치하는 백성도
거느린 군사도 없이
누더기에 탁발로 걸어다니면서 기록한 생생한 기록들이
지금은 사라진
역사마져도 없는 나라들의 생활 풍습과 습관 기후등등.......
다시 없는 소중한 자료임을
그때는 알았을까?

알아 주는이 없고
위대한 업적 없어도
많은 사람에게 빛이 되는
삶을 생각하게 하는 왕오천축국전

선배님!
전국의 많은 대불련인들이
다운받아 저장하고
가족에게
제자에게,이웃에게,도반에게
전하고 있습니다.
옥석도 다듬어야 보석이 됩니다.
너무 잘 다듬어 주시고 재 해석해 주셔서
대불련에 길이 남을 문화 업적입니다.
감사합니다.

이지복님의 댓글

이지복 작성일


고선지장군
고구려인의 후손으로 중국 땅에서
유목민의 DNA를 여지없이 보여준 장군.
마지막 한번의 패배가 뼈아프기는 하지만
일곱번 싸움에서 여섯번 이겨서
영토를 그만큼 늘렸으면 할만큼은 하였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의도한 것은 아닐지라도
751년의 탈라스전투 이후 종이제조기술 전파는
인류의 보물을 세계가 공유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는 610년 경 일본에 제지술을
전해주었고
중국과 달리 닥나무를 이용한 우리나라의 종이를
중국 문인이나 화가들이 선호하였음에 비해,
요즘 대단한 미국에 제지공장이 세워진 것이
1690년 이라면
우리문화의 옛 모습이 얼마나 대단하였는가를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757 사마르칸트, 795 바그다드, 1150 스페인,
1189 프랑스, 1276 이태리, 1336 독일
나라별 처음으로 종이를 만드는 공장을 세운 연도이다.

종이없는 세상.
상상하기 쉽지 않은 모습이다.
종이는 물적 요소이기도 하지만
그대로 정신적 수준을 말하기도 한다.
언젠가 세계 문화사를 끌어갔던 한국
다시 한번 정신적으로 세계를 이끌어 가면 좋겠다.

 


CONTACT US

  •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총동문회
  • ADDRESS.(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013호
  • TEL.02-720-1963
  • FAX.02-722-5963
  • Email.daebul333@naver.com
Copyright ⓒ 2011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