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에 머물기 (12) 49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제철 작성일2009.06.24 조회3,150회 댓글7건첨부파일
- 20090624165745-49재.bmp (552.3K) 12회 다운로드
본문
<TABLE style="WIDTH: 749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177px" cellSpacing=1 cellPadding=40 width=749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dadada 0px solid; BORDER-TOP: #dadada 0px solid; BORDER-LEFT: #dadada 0px solid; BORDER-BOTTOM: #dadada 0px solid" width="100%"><SPAN style="FONT-SIZE: 12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FONT color=#000000><SPAN lang=EN-US><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SPAN lang=EN-US>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재<SPAN lang=EN-US>(</SPAN>齋<SPAN lang=EN-US>)</SPAN>의 어원은 범어<SPAN lang=EN-US> upavasatha</SPAN>에서 비롯되어 원래는 승려의 식사를 의미하였으나<SPAN lang=EN-US>, </SPAN>점차 승려에게 식사를 공양하는 의식<SPAN lang=EN-US>, </SPAN>또는 공양의식을 중심으로 한 법회를 뜻하게 되었다<SPAN lang=EN-US>. </SPAN>이후<SPAN lang=EN-US> 49</SPAN>재와 같은 천도재가 널리 행해지면서 주로 천도법회를 칭하게 되었다<SPAN lang=EN-US>.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지난 호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SPAN lang=EN-US> 49</SPAN>재는 명부<SPAN lang=EN-US>(</SPAN>冥府<SPAN lang=EN-US>)</SPAN>를 다스린다는 시왕<SPAN lang=EN-US>(</SPAN>十王<SPAN lang=EN-US>)</SPAN>의 신앙에 기초하고 있고<SPAN lang=EN-US>, </SPAN>이 신앙은 중국의 도교와 민속신앙에서 크게 영향 받은 것이라고 한다<SPAN lang=EN-US>. </SPAN>그러나 근본적으로<SPAN lang=EN-US> 49</SPAN>재는 법화경과 지장경<SPAN lang=EN-US>, </SPAN>아미타경<SPAN lang=EN-US>, </SPAN>약사여래경 등 불교사상에 근거하고 있다<SPAN lang=EN-US>. </SPAN>특히 지장경에 의하면 지장보살은 지옥의 중생들을 모두 구원할 것이며, 그 전에는 스스로 성불하지 않겠다고 서원한 분이므로 죽은 사람의 유족들은 지장보살에게 구원을 빈다<SPAN lang=EN-US>. </SPAN>이 때문에 <SPAN lang=EN-US>49</SPAN>재는 지장전에서 지낸다<SPAN lang=EN-US>. </SPAN>지장전은 지장보살을 주불<SPAN lang=EN-US>(</SPAN>主佛<SPAN lang=EN-US>)</SPAN>로 하되 그 좌우에 도명존자<SPAN lang=EN-US>(</SPAN>道明尊者<SPAN lang=EN-US>), </SPAN>무독귀왕<SPAN lang=EN-US>(</SPAN>無毒鬼王<SPAN lang=EN-US>)</SPAN>과 함께 명부 시왕을 모신다<SPAN lang=EN-US>. </SPAN>따라서 지장전은 명부전 또는 시왕전이라고도 한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49</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재를 범패승이 아닌 일반 승려가 집전할 경우에는 삼보통청<SPAN lang=EN-US>(</SPAN>三寶通請<SPAN lang=EN-US>)</SPAN>으로 한다<SPAN lang=EN-US>. </SPAN>삼보통청이란 시방의 모든 삼보님을 청하여 공양을 올리고 축원하는 의식을 말하는데<SPAN lang=EN-US>, </SPAN>이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 FONT-FAMILY: 새굴림">먼저 영가의 묵은 업장<SPAN lang=EN-US>(</SPAN>業障<SPAN lang=EN-US>)</SPAN>의 때를 씻는 관욕<SPAN lang=EN-US>(</SPAN>灌浴<SPAN lang=EN-US>, </SPAN>목욕<SPAN lang=EN-US>), </SPAN>부처님께 공양을 올리고 영가의 극락왕생을 축원하는 헌공<SPAN lang=EN-US>, </SPAN>그리고 영가에게 음식을 베풀고 부처님 법문을 들려주는 시식<SPAN lang=EN-US>(</SPAN>施食<SPAN lang=EN-US>), </SPAN>끝으로 영가를 극락으로 보내는 봉송<SPAN lang=EN-US>(</SPAN>奉送<SPAN lang=EN-US>) </SPAN>등의 의식이 진행된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구체적인 절차는 다음과 같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1)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시련<SPAN lang=EN-US>(</SPAN>侍輦<SPAN lang=EN-US>) – </SPAN>절 입구에서 불보살과 모든 신중<SPAN lang=EN-US>, </SPAN>영가를 연<SPAN lang=EN-US>(</SPAN>輦<SPAN lang=EN-US>, </SPAN>가마<SPAN lang=EN-US>)</SPAN>으로 모시는 의식<SPAN lang=EN-US>. </SPAN>그러나 영산재가 아니면 대부분의 재에서는 시련의식을 생략한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2)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대령<SPAN lang=EN-US>(</SPAN>對靈<SPAN lang=EN-US>) - </SPAN>영가를 불러 불보살님께 인사를 시키고 자리에 앉히는 의식<SPAN lang=EN-US><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3)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관욕<SPAN lang=EN-US>(</SPAN>灌浴<SPAN lang=EN-US>) - </SPAN>재를 올리기 전에 영가를 목욕시키는 의식<SPAN lang=EN-US>. </SPAN>영단 옆에 별도로 관욕단을 차리고 그 단을 병풍으로 가리며<SPAN lang=EN-US>, </SPAN>병풍 속에는 작은 상위에 촛불을 켜고 향로와 영가의 위패<SPAN lang=EN-US>, </SPAN>종이로 접은 영가의 바지저고리<SPAN lang=EN-US>, </SPAN>그리고 옷을 한 벌 놓으며<SPAN lang=EN-US>, </SPAN>깨끗한 대야에 맑은 물을 담아 기왓장을 놓고<SPAN lang=EN-US>, </SPAN>물에 좋은 향을 담가 영가를 목욕시킨다<SPAN lang=EN-US>. <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4)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신중작법<SPAN lang=EN-US>(</SPAN>神衆作法<SPAN lang=EN-US>) – </SPAN>부처님 법을 보호하는 신중을 청해 모시고, 그 신장(神將)의 보호로 재를 무사히 마치도록 기원하는 의식<SPAN lang=EN-US>. </SPAN>법주<SPAN lang=EN-US>(</SPAN>法主<SPAN lang=EN-US>) </SPAN>스님이 이 의식을 행할 때 그 밖의 의식승려들은 태징<SPAN lang=EN-US>, </SPAN>바라<SPAN lang=EN-US>, </SPAN>북<SPAN lang=EN-US>, </SPAN>삼현육각 등을 치면서 신중의 내림<SPAN lang=EN-US>(</SPAN>來臨<SPAN lang=EN-US>)</SPAN>을 표현하고 환영한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5)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설법 및 영가법문<SPAN lang=EN-US> - </SPAN>큰스님을 모시고 영가법문을 듣는 의식<SPAN lang=EN-US>. </SPAN>대부분의 경우는 법주 스님이 재자<SPAN lang=EN-US>(</SPAN>齋者<SPAN lang=EN-US>, </SPAN>재를 지내는 사람<SPAN lang=EN-US>)</SPAN>들에게<SPAN lang=EN-US> 49</SPAN>재의 의미를 설명하거나<SPAN lang=EN-US>, </SPAN>불교의 생사관과 인과응보에 대한 법문을 하거나<SPAN lang=EN-US>, </SPAN>무상게<SPAN lang=EN-US>(</SPAN>無常偈<SPAN lang=EN-US>) </SPAN>등을 낭송하기도 한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6)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상단불공<SPAN lang=EN-US>(</SPAN>上壇佛供<SPAN lang=EN-US>) </SPAN>및 지장청<SPAN lang=EN-US>(</SPAN>地藏請<SPAN lang=EN-US>) - </SPAN>영가에게 공양을 올리기 전에 먼저 부처님의 가호가 영가에게 내리기를 기원하는 의식으로 일반적인 헌공의식 절차와 같다<SPAN lang=EN-US>. </SPAN>다만<SPAN lang=EN-US>, </SPAN>아미타불이나 지장보살님께 불공을 올려 영가의 극락왕생<SPAN lang=EN-US>(</SPAN>極樂往生<SPAN lang=EN-US>)</SPAN>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7)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중단퇴공<SPAN lang=EN-US>(</SPAN>中壇堆供<SPAN lang=EN-US>) - </SPAN>상단에 올려진 공양물을 신중단으로 물리고 신중들을 청해 공양을 올리는 의식<SPAN lang=EN-US>. </SPAN>반야심경 봉독으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다<SPAN lang=EN-US>.<o:p></o:p></SPAN></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6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3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30%">(8)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30%">관음시식<SPAN lang=EN-US>(</SPAN>觀音施食<SPAN lang=EN-US>) - </SPAN>시식이란 영가를 청하여 법<SPAN lang=EN-US>(</SPAN>法<SPAN lang=EN-US>)</SPAN>으로 음식을 베풀고 경전을 읽고 법문을 해 주는 의식을 말한다<SPAN lang=EN-US>. </SPAN>시식에는 관음시식과 화엄시식이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는 관세음보살의 가피로 영가를 천도하는 관음시식을 한다<SPAN lang=EN-US>. </SPAN>관음시식은 먼저 영가와 고혼<SPAN lang=EN-US>(</SPAN>孤魂<SPAN lang=EN-US>)</SPAN>들을 청하여 신묘장구대다라니 또는 반야심경<SPAN lang=EN-US>, </SPAN>금강경<SPAN lang=EN-US>, </SPAN>무상게 등을 독송하고<SPAN lang=EN-US>, </SPAN>영가에게 자리에 앉을 것을 권하는 의식을 행한다<SPAN lang=EN-US>. </SPAN>이러한 의식이 끝나면 재주(齋主)와 재자(齋者)들은 영가와 고혼의 마음이 안락하도록 잔을 올리고<SPAN lang=EN-US>, </SPAN>영가로 하여금 공양을 받도록 하며<SPAN lang=EN-US>, </SPAN>이어 부처님의 법문을 들려 드리고<SPAN lang=EN-US>, </SPAN>장엄염불과 함께 아미타불을 염불하여 영가의 왕생극락을 기원한다<SPAN lang=EN-US>. </SPAN></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30%; FONT-FAMILY: 새굴림">특별한 경우 회심곡과 바라춤을 하기도 한다<SPAN lang=EN-US>.</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30%"><o:p></o:p></SPAN></P>
<P style="TEXT-JUSTIFY: inter-ideograph; 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TEXT-ALIGN: justify; mso-char-indent-count: 1.0"><SPAN lang=EN-US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9) </SPAN><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봉송<SPAN lang=EN-US>(</SPAN>奉送<SPAN lang=EN-US>) - </SPAN>부처님의 공덕을 빌어 영가를 극락세계로 보내드리는 의식<SPAN lang=EN-US>. </SPAN>재주<SPAN lang=EN-US>(</SPAN>齋主<SPAN lang=EN-US>)</SPAN>가 영가의 위패와 사진을 들고 상단의 부처님을 향해서고 법주 스님이 봉송게<SPAN lang=EN-US>(</SPAN>奉送偈<SPAN lang=EN-US>)</SPAN>를 읽은 후<SPAN lang=EN-US>, </SPAN>스님과 재자<SPAN lang=EN-US>(</SPAN>齋者<SPAN lang=EN-US>)</SPAN>들이 법성게<SPAN lang=EN-US>(</SPAN>法性偈<SPAN lang=EN-US>)</SPAN>를 하면서 법당을 돈다<SPAN lang=EN-US>. </SPAN>그리고 소대<SPAN lang=EN-US>(</SPAN>燒臺<SPAN lang=EN-US>)</SPAN>로 향하여 영가의 위패와 옷 등을 태우는 것으로 의식을 마친다<SPAN lang=EN-US>.</SPAN></SPAN></P><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40%"><SPAN lang=EN-US><o: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TEXT-INDENT: 11pt; LINE-HEIGHT: 140%;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
<TABLE style="WIDTH: 622px; BORDER-COLLAPSE: collapse; HEIGHT: 120px" cellSpacing=1 cellPadding=20 width=622 align=center bgColor=#e8e8e8>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ffffff 2px solid; BORDER-TOP: #ffffff 2px solid; BORDER-LEFT: #ffffff 2px solid; BORDER-BOTTOM: #ffffff 2px solid" width="100%">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8.4pt 0cm 0pt; LAYOUT-GRID-MODE: char; WORD-BREAK: keep-all; TEXT-INDENT: 10.5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TEXT-ALIGN: left;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 mso-pagination: widow-orphan" align=left><FONT face=바탕><SPAN style="FONT-SIZE: 10.5pt; COLOR: black; LINE-HEIGHT: 140%;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mso-hansi-font-family: 바탕">뜻하지 않게 어른이<SPAN lang=EN-US> </SPAN>돌아가시면 불교신자인 우리들은<SPAN lang=EN-US> </SPAN>당연하게 절에서<SPAN lang=EN-US> 49</SPAN>재를 지내게 됩니다<SPAN lang=EN-US>. </SPAN>이 때에도 스님들께서<SPAN lang=EN-US> </SPAN>어떤 의식을 진행하고 계신지<SPAN lang=EN-US> </SPAN>알고 잔을 올리는 것이<SPAN lang=EN-US> </SPAN>좋을 것 같아 이 글을 썼습니다<SPAN lang=EN-US>. </SPAN>다음 호에서는 영산재에 대해 알아보기로 합니다<SPAN lang=EN-US>. </SPAN></SPAN><SPAN lang=EN-US style="FONT-SIZE: 12pt; COLOR: #333333; LINE-HEIGHT: 140%; FONT-FAMILY: 굴림;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o:p></o:p></SPAN></FONT></P>
<P class=MsoNormal style="MARGIN: 0cm 0cm 0pt; LAYOUT-GRID-MODE: char; WORD-BREAK: keep-all; TEXT-INDENT: 10.8pt; LINE-HEIGHT: 140%; TEXT-AUTOSPACE: ideograph-numeric; TEXT-ALIGN: left; mso-char-indent-count: 1.0; mso-layout-grid-align: none; mso-pagination: widow-orphan" align=left><B><SPAN style="FONT-SIZE: 11pt; COLOR: #112a75; LINE-HEIGHT: 140%;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mso-hansi-font-family: 바탕; mso-bidi-font-size: 12.0pt"><FONT face=바탕>♬<SPAN lang=EN-US> 배경음악: 관음시식 염불, 영인스님</SPAN></FONT></SPAN></B><SPAN lang=EN-US style="FONT-SIZE: 10.5pt; COLOR: black; LINE-HEIGHT: 140%; mso-bidi-font-family: 굴림; mso-font-kerning: 0pt; mso-hansi-font-family: 바탕"><o:p></o:p></SPAN></P></TD></TR></TBODY></TABLE></P></o:p></SPAN></SPAN></SPAN></SPAN></SPAN></FONT></SPAN></TD></TR></TBODY>
<P></P></TABLE>
<P align=left> <EMBED style="WIDTH: 300px; HEIGHT: 41px" src=http://daewonsa.x-y.net/music/51.%20Sky1.mp3 loop="-1" volume="0" hidden="true" autostart="true"> </P>
댓글목록
옥 천님의 댓글
옥 천 작성일
선배님께서 올리시는글
저에게는 뼈와 살이 됩니다.
아는만큼 보인다 했습니다.
막연하게 따라 했던 모든 의식의
주인이 된 기분입니다.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참으로 부족하게 살아왔습니다.
배움도 짧았고
아는 것도 없이 지낸 삶
같습니다.
오늘은 부산에서 옥치담선배님께서
유마경을 보내 주셔서
너무 감사했습니다.
좋은 일은 한꺼번에 생기나 봅니다.
선배님의 글을 대할 때마다
고개가 숙여집니다.
요즘은 내 작은 공간에서 예불도 올리고
다라니도 외우고 합니다.
너무 행복합니다.
이러한 불교 음악이 있는줄도 몰랐습니다.
감사합니다.
선배님!
빔 프로젝트
꼭 구입하겠습니다.
smallpond님의 댓글
smallpond 작성일
돌아가신 분을 위하는 천도재의 좋은 뜻과,
절에 대한 경제적 지지효과가 크다는 것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생각을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내생에 대한 확고한 믿음도 없고,
내가 지은 업보를 다른 사람이
대신 풀어줄 수 있나하는 생각에
아직은 적극적으로 마음이 나지는 않습니다.
다만 지극정성으로 망자를 위로하는
그 자체에
참여하는 분들의 고운 마음씨를 찬탄하고
항상 마음 가득히 소망을 빌곤 합니다.
더 공부를 해야겠지요?
윤제철님의 댓글
윤제철 작성일smallpond께: (퍼온 글입니다)불교의 근본 가르침 가운데 `무아설(無我說)'이 있습니다. 무아설은 `나'는 없다는 뜻이며, 더 넓히면 세상 모든 것은 실체가 없다는 뜻입니다. 이 설에 의하면 어떤 한 사람의 행위로 인한 업보(業報)는 그 한 사람에 한정되며, 어떤 방법으로도 자녀나 그 후손 누구에게도 전가될 수가 없다고 합니다. 불교에는 또한 윤회설이 있어서 중생은 천상(天上)•인간(人間)•축생(畜生)•아수라(阿修羅)•아귀(餓鬼)•지옥도(地獄道) 등 여섯 세계를 윤회하고 있다고 합니다. 그리하여 조상의 영가가 삼악도(三惡道; 지옥도•아귀도•축생도)에 들어가지 않도록 기원하면 그 공덕을 입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 두가지 설(說)이 내 안에서 조화를 이루려면 우리는 더 공부하고 수행하여야 하나 봅니다.
윤제철님의 댓글
윤제철 작성일강손주 동문께: 언제나 겸허한 마음으로 작은 것에도 감사하는 자세가 아름답습니다. 빔프로젝터 불사는 내가 우리 동기들을 권선하여 추진하고자 합니다.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선배님 정말 감사드립니다.
저에게도 역할을 주시면 무엇이던 하겠습니다.
smallpond님의 댓글
smallpond 작성일
선배님 감사합니다.
자신을 돌아보면 머리로만 하는
수행은 아닌지 수시로 자책합니다.
더 겸손하게, 더 조용히
마음닦도록 노력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