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처드기어의 금강경 법문 > 자유게시판

사이트 내 전체검색

참여마당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참여마당

 

자유게시판

리처드기어의 금강경 법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윤제철 작성일2011.08.01 조회3,459회 댓글1건

본문

<P>
<TABLE class=txc-table style="BORDER-RIGH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FONT-SIZE: 9pt;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BOTTOM: medium none; FONT-FAMILY: ; BORDER-COLLAPSE: collapse" cellSpacing=0 cellPadding=60 width=750 border=0>
<TBODY>
<TR>
<TD style="BORDER-RIGHT: #eaeaea 1px solid; BORDER-TOP: #eaeaea 1px solid; BORDER-LEFT: #eaeaea 1px solid; WIDTH: 100%; BORDER-BOTTOM: #eaeaea 1px solid; BACKGROUND-COLOR: #d5d5d5" rows="1" cols="1">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STRONG> </P>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SPAN style="FONT-SIZE: 14pt; FONT-FAMILY: Batang,바탕"><FONT color=#030066>리처드 기어의 금강경 법문</FONT></SPAN></STRONG></P>
<P style="TEXT-ALIGN: center"><STRONG></STRONG> <img src="http://cfile261.uf.daum.net/image/121F98354E356B06119FD8" class="txc-image" width="266" height="365" style="CLEAR: none; FLOAT: none; WIDTH: 266px; HEIGHT: 365px" actualwidth="313" hspace="20" align="left" vspace="10" border="0" /> </P>
<P></P>
<P style="MARGIN: 0cm 0cm 0pt 2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50%; mso-para-margin-left: 2.0gd"><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50%; FONT-FAMILY: '바탕','serif'"><FONT color=#030066>불교적인 견해로는, 이 세상이 눈에 보이는 대로 존재한다고 믿는 것은 가장 어리석은 일입니다<SPAN>. </SPAN>그렇게 믿는 데서 나와 내 것이라는 관념이 생겨나고<SPAN>, </SPAN>또 그렇게 믿는 데서 모든 그릇된 생각이 잇달아 생겨납니다<SPAN>. </SPAN>불교적인 사고에 의하면 모든 사물은 그 주어진 형상대로<SPAN>, </SPAN>관습적으로 존재할 뿐입니다<SPAN>. </SPAN>사물은 그 자체의 힘에 의해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SPAN>, </SPAN>오직 원인과 조건<SPAN>(</SPAN>인연<SPAN>)</SPAN>에 따라 존재합니다<SPAN>. </SPAN>다시 말하면 우리들도 인연에 따라 존재하는 것이지<SPAN>, </SPAN>독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닙니다<SPAN>. </SPAN>우리는 상호 의존하면서 존재합니다<SPAN>. </SPAN></FONT></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2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50%; mso-para-margin-left: 2.0gd"><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50%; FONT-FAMILY: '바탕','serif'"><FONT color=#030066>우리에게 원래부터 존재하는 것은 없습니다<SPAN>. </SPAN>우리 자신을 가까이 들여다 보면 볼수록 우리들의 모습은 멀어지고<SPAN>, </SPAN>마침내 찾을 수 없게 됩니다<SPAN>. </SPAN>사진과 마찬가지입니다<SPAN>. </SPAN>가까이 갈수록<SPAN>, </SPAN>크게 확대해 보면 볼수록, 사물은 더 멀어지고<SPAN>, </SPAN>미세한 알갱이로 흩어지고<SPAN>, </SPAN>세부적인 파편들만 보이게 됩니다<SPAN>. </SPAN>사진술은 신비스럽기도 하지만 불안정하기도 합니다<SPAN>. </SPAN>깨지기 쉽고<SPAN>, </SPAN>거짓되고<SPAN>, </SPAN>분명하지가 않습니다<SPAN>. </SPAN>그 사물을 구성하는 알갱이들이 바람에 따라 연기처럼 흩어지고<SPAN>, </SPAN>그러다가 마치 무언가 존재하는 것처럼 모습을 나타나기도 합니다<SPAN>.</SPAN></FONT></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2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50%; mso-para-margin-left: 2.0gd"><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50%; FONT-FAMILY: '바탕','serif'"><FONT color=#030066> </FONT></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2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50%; mso-para-margin-left: 2.0gd"><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50%; FONT-FAMILY: '바탕','serif'"><FONT color=#030066>In the Buddhist view, the great ignorance is believing the world exsists in the way it appears to exist. From that follows the concept of I and Mine. All other evils follow from that. According to Buddhist thought, things do exist, but only conventionally by designation. Not powered from their own side, they exist only independence on causes and conditions. In other words, we do exist but in a relative way, not in an absolute way. We exist interdependently. </FONT></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2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50%; mso-para-margin-left: 2.0gd"><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50%; FONT-FAMILY: '바탕','serif'"><FONT color=#030066>We are empty of inherent existence. The closer you look, the more we recede. We can’t be found. As with photographs also. The closer you get, the more you enlarge, blow up, the further away the object becomes, receding into the grain fragments … into the minutiae of parts and particles. The alchemy of photography is mysterious and unstable. Fragile, unreal, and indecisive, its component parts of grain shift like smoke in the wind and somhow emerge as an image with only an illusion of beingness.</FONT></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2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50%; mso-para-margin-left: 2.0gd"><FONT color=#030066> </FONT></P>
<P style="MARGIN: 0cm 0cm 0pt 2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50%; TEXT-ALIGN: center; mso-para-margin-left: 2.0gd"><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50%; FONT-FAMILY: '바탕','serif'"><FONT color=#030066>* * * * * </FONT></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2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50%; mso-para-margin-left: 2.0gd"><FONT color=#030066> </FONT></P>
<P style="MARGIN: 0cm 0cm 0pt 2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50%; mso-para-margin-left: 2.0gd"><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50%; FONT-FAMILY: '바탕','serif'"><FONT color=#030066>위 글은 영화배우 리처드기어가 우리나라(예술의 전당)에서 사진전을 열면서 인사의 말씀으로 게재한 글입니다. 리처드기어는 불교신자이며, 사진작가이기도 합니다. 그는 이번에</FONT></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2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50%; mso-para-margin-left: 2.0gd"><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50%; FONT-FAMILY: '바탕','serif'"><FONT color=#030066>"순례의 길(Pilgrim)"이라는 주제로 64점의 사진을 전시했는데 모두 티벳의 히말라야 지역에서 찍은 사진들이었습니다. 그의 불심(佛心)을 높이 평가하여 총무원장 자승 스님께서 축사를 내려주시기도 했습니다. </FONT></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2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50%; mso-para-margin-left: 2.0gd"><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50%; FONT-FAMILY: '바탕','serif'"><FONT color=#030066>그의 서언이 마치 금강경 법문 같아서 여기에 싣습니다. 그는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중에서 앞 부분만 언급했지만 사진의 원리와 비교해서 우리 가슴에 와 닿도록 말씀해 주신 것 같습니다. 그의 말씀이 너무 훌륭해서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번역해 보았습니다.    </FONT></SPAN></P>
<P style="MARGIN: 0cm 0cm 0pt 20pt; LAYOUT-GRID-MODE: char; LINE-HEIGHT: 150%; mso-para-margin-left: 2.0gd"><SPAN style="FONT-SIZE: 11pt; LINE-HEIGHT: 150%; FONT-FAMILY: '바탕','serif'"><FONT color=#030066>(배경음악; 티벳 명상음악 "영혼을 노래하라")</FONT></SPAN></P>
<P> </P></TD></TR></TBODY></TABLE></P>
<P align=left><EMBED style="WIDTH: 300px; HEIGHT: 41px" src="http://yogatime.co.kr/i-music/pan flu.asf" hidden=true wmode="transparent" autostart="true" volume="0" loop="-1"></P>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강손주님의 댓글

강손주 작성일

요즘은 가리지않고 보이는데로 경전을 생각없이 무조건 읽습니다. 잡힐 듯 말듯 보일듯 말듯 알것도 같은데.....
보이지도 잡히지도 않습니다.
<리차드기어>의 진솔한 법문은 가슴 가득 다가옵니다.
회장님의 해석이 한 몫 했지만 생활속에서 가까운 사람들에게서 깊숙히 느껴 집니다.
방학이라 하루 9시간씩 연수 받다 잠시 쉬는 시간에 보는 한형조 교수의<붓다의 치명적 농담> 되돌려 보기를 몇번 했는지 모릅니다.그전에는 빨리 봐야 한다는 생각에 책장  넘기기가 빠빴지만 요즘은 이해가 될 때까지 계속 되돌려 보는 여유를 가지면서 자신이 달라지는 걸 느낍니다. <리차드기어> 그 분 표정이 다르지 않나요. 우리 대불 선배님들 중에도 그런 표정 자주 봅니다.

 


CONTACT US

  • 한국대학생불교연합회 총동문회
  • ADDRESS.(03150) 서울 종로구 삼봉로 81
                          두산위브파빌리온 1013호
  • TEL.02-720-1963
  • FAX.02-722-5963
  • Email.daebul333@naver.com
Copyright ⓒ 2011 KOREA BUDDHIST UNIVERSITY FEDERATION All Rights Reserved.